본문 바로가기
뉴라클사이언스(Neuracle Science)는 지난달 29일부터 이번달 1일까지 열린 제17차 미국 알츠하이머병 임상학회(CTAD 2024)에서 자사의 FAM19A5 항체 후보물질 ‘NS101’의 알츠하이머병(AD) 임상1a상의 안전성 결과와 비임상 결과를 포스터로 발표했다고 밝혔다. 발표에 따르면 이번 임상1a상에서는 NS101의 안전성, 약동/약력학(PK/PD), 면역원성 데이터를 발표했다. 임상은 캐나다에서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무작위배정, 위약대조, 단회투여 용량증량시험으로 진행했으며, 최소 0.25mg/kg에서 최대
셀트리온(Celltrion)이 자가면역질환 치료제인 ‘스텔라라(Stelara, ustekinumab)’의 바이오시밀러 ‘스테키마(SteQeyma)’를 유럽에 출시한다고 4일 밝혔다. 회사에 따르면 셀트리온은 지난 1일(현지시간) 독일에서 스테키마를 출시했다. 셀트리온 독일법인은 제품 출시 일정을 고려해 사전에 약가 등재 및 처방시스템 등록 절차를 마치고 시장 맞춤형 전략을 통해 제품 출시를 빠르게 진행했다. 특히 출시 전부터 독일 최대 규모의 소화기 학회인 독일 소화기 학회(German Gastroenterology Congres
알테오젠 헬스케어(Alteogen Healthcare)는 파마리서치(PharmaResearch)와 인간유래 히알루로니다제 제품인 ’테르가제(Tergase®, recombinant human hyaluronidase injection)’의 국내 판매 마케팅 및 영업에 대한 공동 프로모션(co-promotion)계약을 체결했다고 4일 밝혔다. 알테오젠 헬스케어는 코스닥 상장사 알테오젠의 자회사로 알테오젠 자체 제품의 영업, 마케팅을 담당하는 통합 법인이다. 지난 7월 식약처 허가를 받은 테르가제는 현재 양산과정을 거쳐 시판준비를 마쳤
한미약품(Hanmi Pharmaceutical)이 드디어 궁금증을 자아냈던 신규 비만 에셋으로, GLP-1 계열 인크레틴(incretin) 약물의 한계점인 근육손실을 막는 신약 후보물질을 공개한다. 인크레틴 약물은 비만 환자에게서 우수한 효능을 보이고 있지만 체중감량의 20~40%는 근손실을 수반하며, 투약 중단 후 다시 살이 찌는 과정에서 주로 지방이 늘어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근손실을 줄이거나 근육을 보존하기 위해 여러 접근법이 모색되고 있으며, 아직 임상에서 개념입증(PoC) 결과가 도출되지 않은 경쟁 초기단
동아에스티(Dong-A ST)는 올해 3분기 매출액이 전년동기 대비 19.5% 증가한 1795억원, 영업이익은 51.4% 증가한 198억원으로 집계됐다고 1일 공시했다. 매출은 전문의약품(ETC), 해외사업 부문이 성장하며 증가했고, 영업이익 증가는 ‘그로트로핀(Growtropin)’ 판매량 증가와 R&D비용 감소로 인한 것이라고 회사는 설명했다. 올해 3분기 동아에스티의 R&D비용은 203억으로 전년 대비 7.7% 줄었다. ETC 부문은 재조합 인성장호르몬제 그로트로핀 및 기능성소화불량치료제 ‘모티리톤(Motilitone)’ 성
와이바이오로직스(Y-Biologics)는 오는 4일부터 7일까지(현지 시간) 미국 샌디에고에서 개최되는 '제15회 월드ADC(World ADC 2024)'에 참가해 자사의 항체 디스커버리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한 항체-약물접합체(ADC) 파이프라인 ‘AR153’을 발표한다고 1일 밝혔다. 올해로 15회를 맞은 월드ADC는 전세계 제약·바이오 기업들과 연구진들이 모여 ADC 분야의 최신 연구성과와 기술동향을 공유하는 세계 최대규모의 ADC 전문 학술대회다. 매년 1000명 이상의 글로벌 ADC 전문가들이 참석하며, ADC 신약 개발
에임드바이오(AimedBio)의 리드 항체-약물접합체(ADC) 프로그램이 첫 임상 진입을 앞두고 있다. 에임드바이오는 삼성 라이프사이언스펀드(Life Science Fund)가 첫 투자한 국내회사로 알려져 있으며, 올해 7월 시리즈B로 400억원을 유치한 바 있다. 에임드바이오는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토포이소머라아제1(TOP1) 저해제 기반 FGFR3 ADC ‘AMB302’가 임상1상 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았다고 1일 밝혔다. AMB302는 파트너사인 중국 진퀀텀 헬스케어(GeneQuantum Healthcar
이중항체 전문기업 에이비엘바이오(ABL Bio)는 11월 4일부터 7일까지(현지시간) 미국 샌디에고에서 개최되는 월드 ADC 2024(World ADC 2024)에 참석해 이중항체 항체-약물접합체(ADC) 개발 전략을 소개할 예정이라고 1일 밝혔다. 월드 ADC는 올해로 15주년을 맞은 가장 큰 규모의 ADC 전문 행사로, ADC에 관심 있는 다양한 참가자들이 모여 ADC 개발 전략과 새로운 기술 등을 논의하는 자리다. 이번 행사에 에이비엘바이오는 프로그램 연자로 초청받아 참석하며, 발표 주제는 ‘현재의 임상적 한계를 극복할 것으
비욘드바이오(BeyondBio)는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알츠하이머병(AD) 치료제로 개발하고 있는 ‘BEY2153’의 임상2상 시험계획서(IND)를 제출했다고 31일 밝혔다. BEY2153은 뉴런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인산화효소(neuron specific kinase)를 저해하는 저분자화합물로, 타깃은 공개하지 않았다. 1일1회 경구투여하는 약물로 개발하고 있다. 비욘드바이오에 따르면 BEY2153은 알츠하이머병의 주요 병리 단백질로 여겨지는 타우(tau)와 아밀로이드베타(Aβ)를 동시에 타깃할 수 있다. 민창희 비욘드바이오 대표는
한미약품(Hanmi Pharmaceutical)이 올해 3분기까지 누적 매출 1조1439억원을 기록, 1조1000억원을 돌파하며 사상최대 기록을 경신했다. 전년동기 대비 7.1% 증가한 금액이다. 하지만 3분기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0.7% 감소해 주춤했으며, 영업이익도 11.4% 감소했다. 한미약품은 올해 3분기 연결기준 잠정 실적으로 매출 3621억원과 영업이익 510억원을 기록했다고 31일 공시했다. R&D에는 매출의 15.1%에 해당하는 548억원을 투자했으며, 이는 전년동기 대비 21.5% 증가한 액수다. 한미약품의 이같
대웅제약(Daewoong Pharmaceutical)은 셀트리온제약(Celltrion Pharm)과 골다공증 치료제 ‘프롤리아(Prolia, denosumab)’의 바이오시밀러 ‘CT-P41’의 공동판매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대웅제약과 셀트리온제약은 내년 상반기 출시 예정인 CT-P41의 전국 종합병원 및 병·의원 공동 프로모션에 나선다. CT-P41은 셀트리온(Celltrion)이 내년 3월 특허가 만료되는 오리지널 의약품 프롤리아의 바이오시밀러로 개발한 골다공증 치료제다. 프롤리아는 1회 주사로
롯데바이오로직스(Lotte Biologics)는 다음달 4일부터 7일까지 미국 샌디에고에서 개최되는 월드ADC 샌디에고(World ADC 2024)에 참석한다고 31일 밝혔다. 월드ADC는 올해 15회를 맞이하는 항체-약물접합체(ADC)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권위있는 행사다. 이번 컨퍼런스에는 140여명의 ADC 전문가들이 연사로 참여하고, 1200명 이상의 전문가들이 모여 기조연설, 포스터발표, 토론세션을 통해 최신연구와 기술동향을 공유한다. 아울러 행사 현장에서는 제약∙바이오 기업들과의 활발한 기술교류 및 사업 파트너링도 이뤄진
씨드모젠(CdmoGen)은 31일 보건복지부가 국가 난제 해결을 위해 올해 새롭게 시작한 ‘제1차 한국형 ARPA-H 프로젝트 과제’에 선정돼 협약체결을 마쳤다고 밝혔다. 이번 과제는 씨드모젠이 주관하고 애스톤사이언스, 서울아산병원, 이셀, 넥사, 씨엔에스 등 총 6개 기관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향후 5년간 ‘펜데믹 대응 mRNA 백신 모듈형 초신속생산 시스템 개발’을 추진한다. 이번 mRNA 생산시스템 개발을 통해 신규 감염병에 대응한 백신 개발 및 생산시스템 확립을 위한 기반기술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3단계로 구성된 본 개
셀비온(CellBion)과 프로엔테라퓨틱스(ProEn Therapeutics)는 30일 항체-방사성동위원소접합체(antibody-radionuclide conjugate, ARC) 공동 연구개발을 추진하기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셀비온의 독자적인 방사성의약품(RPT) 링커기술(Rap linker) 및 동위원소인 루테튬-177(177Lu) 등과, 프로엔의 독자적인 타깃 바인더(binder) 개발 플랫폼인 ArtBody™ 기술을 활용한 차세대 ARC 신약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지노믹트리(Genomictree)는 30일 기존 동물성 콜레스테롤을 식물성 물질로 대체한 신규 지질나노입자(LNP) 전달체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노믹트리는 mRNA 약물을 세포내로 전달하는데 쓰이는 LNP에서, 인삼에서 유래한 사포닌 물질로 콜레스테롤을 대체한 LNP를 개발했다. 이어 세포실험에서 회사의 LNP 기술을 화이자(Pfizer), 모더나(Moderna)의 코로나19 백신에 적용된 LNP와 비교했을 때 더 높은 단백질 발현효율을 확인했다. 또한 동물성이 아닌 식물에서 유래한 물질을 사용했기 때문에 콜레스테롤 산화(
한올바이오파마(HanAll Biopharma)가 결국 면역항암제(immuno-oncology, IO) 프로젝트 개발을 중단했다. 한올바이오파마는 앞서 올해 1월 R&D 현황을 업데이트하면서 면역항암제 프로젝트에 대해 ‘전략적 포토폴리오 검토’를 통해 개발 방향성을 수립할 예정이라고 설명하면서, 어느정도 우선순위 조정의 조짐을 보였었다. 이어 한올바이오파마는 30일 올해 3분기 실적을 발표하면서 대웅제약과 공동개발하는 TIGIT 항체 ‘HL187’과 TIM-3 항체 ‘HL186’의 개발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한올바이오파마
지투지바이오, 공모가 5.8만원 확정.."밴드 상단"
아이엠바이오, 코스닥 기술성평가 'A, A' 통과
SK바팜, 연내 2nd '상업화 제품' 도입.."CNS 치료제"
머크, "인력 6000명 감축"..30억弗 절감 일환
스파인, 유한 ‘TGF-β 길항제’ 만성요통 3상 “실패”
퍼스트바이오-디앤디, 'RIPK2 저해제' 美특허 등록
中레푸, New co에 '전임상 TCE 2건' 8.5억弗 L/O
4DMT, ‘아일리아 AAV’ DME 2상 "성공"..허가3상 직행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삼진제약, HR담당에 신승원 이사 영입
대웅제약, '셀트리온 출신' 홍승서 본부장 영입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롯데벤처스, 분당서울대병원과 ‘기업발굴’ 협약
애스톤, 'mRNA 항암백신' 개발 "복지부 과제선정"
히츠, 美이몰레큘스와 ‘AI 플랫폼’ 판매 파트너십
HLB펩, 인도 바이오서브와 ‘펩타이드’ 독점 공급계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