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아에스티(Dong-A ST)는 지난 14일 서울시 동대문구 용두동 본사에서 국내 증권사 애널리스트를 대상으로 ‘동아ST R&D day 2024’를 개최했다고 15일 밝혔다. 행사에서 박재홍 동아에스티 R&D 총괄 사장, 유준수 R&D 전략실장, 김미경 연구본부장이 회사의 R&D 성과 및 향후 계획, 파이프라인 등을 발표했다. 박재홍 R&D 총괄 사장은 동아에스티 전체 파이프라인, AhR 길항제 기전의 면역항암제 ‘DA-4505’, 타우응집 저해 기전의 치매치료제 후보물질 ‘DA-7503’ 등 주요 임상에셋의 경쟁력, 개발현황 및
셀트리온(Celltrion)이 스위스 제약유통사인 아이콘 헬스케어(iQone Healthcare Switzerland)를 약 300억원 규모에 인수한다고 15일 밝혔다. 이번달에 셀트리온 헝가리법인을 통해 아이콘 인수 절차가 완료됐으며 아이콘은 자회사 형태로 편입되는 구조다. 아이콘은 지난 2016년부터 셀트리온의 스위스 유통 파트너사였다. 이번 인수를 통해 셀트리온은 이미 구축된 현지 유통망과 전문인력을 확보해 직판 성과를 빠르게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셀트리온 제품 외에도 아이콘에서 자체적으로 라이선스인(L/I)한 제품들
LG화학(LG Chem)은 통풍치료제로 개발하고 있는 잔틴옥시다제(xanthine oxidase, XO) 저해제 ‘티굴릭소스타트(tigulixostat)’의 EURELIA-1 임상3상의 탑라인(top-line) 결과를 14일 공시했다. 이번 임상3상은 고요산혈증을 동반한 통풍 환자 353명을 대상으로 티굴릭소스타트를 투여해 혈중 요산을 낮추는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하는 시험으로 디자인됐다(NCT05586958). 티굴릭소스타트 투여그룹은 3개로 100mg, 200mg, 300mg 또는 위약을 1일1회(QD) 투여했다. 임상3상은 지
대웅제약(Daewoong Pharmaceutical)은 15일 미국 파트너사 비탈리바이오(Vitalli Bio)로부터 자가면역질환을 대상으로 한 BTK/ITK 이중저해제 ‘DWP213388’에 관한 기술수출 계약 해지를 통보받았다고 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두 회사는 계약에 따라 60일간의 협의후 계약해지를 최종 확정할 예정이다. 향후 비탈리가 DWP213388의 권리를 반환한 이후에도 대웅제약이 수령한 계약금 1100만달러(약147억원)에 대한 반환의무는 없다. 이번 공시에서 비탈리가 DWP213388의 계약을 해지한 이유에 대
머스트바이오(MUSTBIO)는 지난 6일부터 10일(현지시간) 미국 휴스턴에서 열린 미국 면역항암학회(SITC 2024)에서 αPD-1/IL-2v 이중융합단백질(bispecific fusion protein) ‘MB5029’의 연구결과에 대해 포스터 발표를 진행했다고 14일 밝혔다. MB5029는 IL-2 수용체 알파에 결합하지 않는(non-α) 다른 수용체인 IL-2Rβγ에 결합하는 약물이며, 추가로 IL-2Rγ에 대한 결합력을 낮췄다. 이에 따라 PD-1 발현이 낮은 전신 말초혈액에서 면역세포가 활성화되지 않으나, PD-1이
네오이뮨텍(NeoImmuneTech)은 14일 반감기를 늘린 IL-7 면역치료제 ‘NT-I7(efineptakin alfa)’과 CAR-T 병용투여를 평가하는 림프종 임상1b상에서 안전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번 NIT-112 임상1b상은 거대B세포림프종(large B-cell lymphoma, LBCL) 환자를 대상으로 NT-I7과 ‘킴리아’, ‘예스카타’, ‘브레얀지’ 등 3종의 CD19 타깃 CAR-T 치료제와의 병용투여를 평가하고 있다(NCT05075603). 발표에 따르면 데이터안전성모니터링위원회(data and saf
× 제일약품(Jeil Pharmaceutical)은 14일부터 16일까지 서울 그랜드 워커힐호텔에서 열리는 소화기연관학회 국제학술대회 ’Korea Digestive Disease Week 2024(KDDW 2024)’에 참가한다고 14일 밝혔다. 올해 8회를 맞이한 KDDW는 국내 8개 소화기연관학회(대한소화기학회,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대한간학회,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대한상부위장관·헬리코박터학회, 대한장연구학회, 대한췌장담도학회, 대한소화기암연구학회)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국제학술대회로, 연간 2000여명이 참가하는 국내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Lunit)은 연결재무제표 기준으로 올해 3분기 누적 매출액이 341억원을 기록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73.4% 증가한 수치다. 올해 3분기 매출은 167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413.4% 증가했다. 이 가운데 해외 매출은 152억원으로 전체 매출의 91%를 차지하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성장세를 이어갔다. 3분기 영업손실은 164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36.7% 늘어났다. 다만, 볼파라 인수 관련 일회성 비용이 정리되고 통합 효율화가 진행되면서 전분기 대비 영업손실은 17.6% 개
의료 인공지능(AI) 뷰노(VUNO)는 올해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이 69억원을 기록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는 전년동기 매출 36억원 대비 92%, 전분기 매출 64억원 대비 7% 증가한 실적으로, 뷰노는 7분기 연속 매출증가 추세를 이어가게 됐다. 또한 3분기 누적매출은 188억원으로 전년 연간매출 133억원을 뛰어넘었으며, 4분기에는 전년대비 연간기준 2배이상의 누적 매출 실현이 가능할 것으로 회사는 전망하고 있다. 회사에 따르면 올해 3분기에는 주력제품인 AI기반 심정지발생 위험감시 의료기기 ‘뷰노메드 딥카스(VUNO Me
동아에스티(Dong-A ST)의 항체-약물접합체(ADC) 전문 자회사인 앱티스(AbTis)는 지난 5일부터 7일까지(현지시간) 미국에서 개최된 세계 최대규모의 ADC 컨퍼런스 'World ADC San Diego 2024'에서 파이프라인과 링커플랫폼을 소개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컨퍼런스에서 앱티스는 리드에셋으로 개발중인 클라우딘18.2(Claudin18.2, CLDN18.2) 타깃 ADC인 ‘AT-211’의 비임상결과와 회사의 차세대 링커플랫폼인 '앱클릭(AbClick®)'을 홍보했다. 정상전 앱티스 최고과학책임자(CSO)가
스파크바이오파마(Spark Biopharma)는 동아에스티(Dong-A ST)와 업무협력 및 상호교류에 대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MOU에 따라 스파크바이오가 보유한 신약발굴 플랫폼인 'PhenoCure+'를 활용한 신약유효 및 선도물질 발굴, 그리고 양사가 관심있는 신약개발 분야에 대한 포괄적인 협업을 진행하게 된다. PhenoCure+는 스파크바이오의 표현형(phenotype) 기반 혁신신약 개발 플랫폼으로, 약물유사 분자다양성(pDOS library), 표현형 검출 형광체(Seoul-Fluor)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Lunit)은 프랑스 최대 규모의 민간 영상진단 네트워크 비디그룹(Groupe VIDI)과 AI 유방암 검진 솔루션 ‘루닛 인사이트 MMG’ 공급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비디는 프랑스 전역 400곳 이상의 의료기관과 1200명 이상의 영상의학 관련 의료진을 보유했다. 연간 약 1000만건의 영상검사를 진행하며, 프랑스 민간 영상의학 부문 점유율 23%를 차지하고 있다. 루닛과 비디의 협력은 지난 2021년 비디 네트워크 소속 일부 의료기관들이 루닛 AI 솔루션을 실제 임
CJ바이오사이언스(CJ Bioscience)는 인공지능(AI) 모델을 활용해 약물반응성을 확인할 수 있는 기술개발 성과를 미국 면역항암학회(SITC 2024)에서 발표했다고 13일 밝혔다. 최근 CJ바이오사이언스는 CJ그룹 AI실과 공동연구를 진행해 ‘약물반응성 마이크로바이옴 바이오마커 AI 예측모델’을 개발했다. 이 AI 예측모델은 암환자를 대상으로 특정 약물의 반응성을 환자의 장내 미생물을 통해 예측하는 기술이다. 암치료에 자주 쓰이는 면역관문억제제(ICI)와 같은 약물은 환자 반응률이 20~30%이기 때문에 사전 반응성 확인
한미약품(Hanmi Pharmaceutical)이 차세대 인터루킨-2(IL-2) 약물로 개발하고 있는 ‘랩스 IL-2 아날로그(LAPS IL-2 analog, HM16390)’의 개발 전략과 차별성을 보여주는 연구결과를 업데이트했다. 한미약품은 지난 6일부터 10일(현지시간) 미국 휴스턴에서 열린 면역항암학회(SITC 2024)에서 HM16390의 차별화된 기전과 효능을 확인한 연구결과 2건을 포스터로 발표했다고 12일 밝혔다. HM16390은 면역세포 분화 및 증식을 조절하는 IL-2 변이체로, 한미약품의 반감기 증대 플랫폼 기
에이비엘바이오(ABL Bio)는 공동개발 파트너사 아이맵(I-Mab)이 9일(현지시간) 미국 텍사스 휴스턴에서 개최된 미국 면역항암학회(SITC 2024)에 참석해 CLDN18.2x4-1BB 이중항체 ‘지바스토믹(givastomig, ABL111/TJ033721)’의 임상1상 약동학(PK) 모델링 데이터를 포스터로 발표했다고 12일 밝혔다. ABL111은 이중항체를 통해 클라우딘18.2(claudin18.2, CLDN18.2)을 발현하는 종양미세환경(TME) 내에서 4-1BB를 매개로 T세포를 활성화시키는 기전이다. 아이맵은 현재
메드팩토(MedPacto)는 ALK5(TGF-βR1) 저해제 ‘백토서팁(vactosertib)’으로 진행한 진행성 비소세포폐암(NSCLC) 임상1b/2a상 데이터를 미국 면역항암학회(SITC 2024)에서 공개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SITC는 지난 6일부터 10일까지 개최됐으며, 메드팩토는 8일(현지시간)에 이번 임상결과를 포스터로 발표했다. 이번 임상1b/2a상은 국내 NSCLC 환자를 대상으로 백토서팁과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의 PD-L1 항체 ‘임핀지(성분명: 더발루맙)’의 병용요법을 평가하는 임상이다(N
지투지바이오, 공모가 5.8만원 확정.."밴드 상단"
아이엠바이오, 코스닥 기술성평가 'A, A' 통과
SK바팜, 연내 2nd '상업화 제품' 도입.."CNS 치료제"
머크, "인력 6000명 감축"..30억弗 절감 일환
스파인, 유한 ‘TGF-β 길항제’ 만성요통 3상 “실패”
퍼스트바이오-디앤디, 'RIPK2 저해제' 美특허 등록
中레푸, New co에 '전임상 TCE 2건' 8.5억弗 L/O
4DMT, ‘아일리아 AAV’ DME 2상 "성공"..허가3상 직행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삼진제약, HR담당에 신승원 이사 영입
대웅제약, '셀트리온 출신' 홍승서 본부장 영입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롯데벤처스, 분당서울대병원과 ‘기업발굴’ 협약
애스톤, 'mRNA 항암백신' 개발 "복지부 과제선정"
히츠, 美이몰레큘스와 ‘AI 플랫폼’ 판매 파트너십
HLB펩, 인도 바이오서브와 ‘펩타이드’ 독점 공급계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