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미약품(Hanmi Pharmaceutical)은 지난 22일부터 25일(현지시간)까지 이탈리아 로마에서 열린 유럽유전자세포치료학회(ESGCT 2024)에 참가해 각각 KRAS 변이 고형암을 타깃하는 KRAS mRNA 항암백신, p53 변이 암을 타깃하는 p53 mRNA 항암백신 후보물질에 대한 연구결과에 대해 포스터발표를 진행했다고 30일 밝혔다. KRAS 변이는 폐암과 대장암, 췌장암 등에서 매우 높은 빈도로 발견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KRAS G12C 변이에 대해서만 표적치료제가 시판돼 있다. 이에 따라 한미약품은 mRNA
젬백스(GemVax)가 캐나다 토론토에서 열린 뉴로2024(Neuro2024: The PSP and CBD International Research Symposium) 심포지엄에서 지난 24일(현지시간) 펩타이드 약물 ‘GV1001’의 진행성핵상마비(PSP) 임상2상 탑라인 결과를 발표했다고 30일 영문보도자료를 통해 밝혔다. GV1001은 텔로머라아제(telomerase) 서열을 기반으로 하는 16개 아미노산으로 이뤄진 합성 펩타이드 약물이다. 젬백스 주장에 따르면 GV1001은 교세포(glial cell)의 표현형과 신경염증(
셀트리온(Celltrion)은 25~30일(현지시간) 미국 펜실베니아에서 열린 미국 소화기학회(ACG 2024)에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짐펜트라(Zympentra, infliximab SC)의 글로벌 3상 장기 사후분석 결과를 구두 발표로 처음 공개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임상3상 결과는 2년(102주) 동안 확인한 장기 추적연구(follow-up)에 대한 내용이다. 크론병 환자 192명, 궤양성 대장염 환자 237명을 각각 짐펜트라 단독투여군과 면역억제제 병용투여군으로 나눠 유효성, 안전성, 면역원성 등을 비교평가했다. 평
티움바이오(TiumBio)는 29일 천연화장품 OEM/ODM 기업인 페트라온을 흡수합병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티움바이오는 안정적 매출을 통한 기업가치 제고 및 재무안정성 확보를 위해 페트라온을 합병한다고 설명했다. 페트라온은 지난 2022년 매출 33억원, 2023년에는 매출 43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적자를 기록중이다. 티움바이오와 페트라온의 합병비율은 1:5.7477333로, 페트라온 1주당 티움바이오 주식 5.7477333가 교부될 예정이다. 합병기일은 오는 12월27일이다. 이번 합병은 티움바
셀트리온(Celltrion)은 24~28일(현지시간)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미국 알레르기 천식 면역학회(ACAAI 2024)에서 '옴리클로(Omlyclo, 성분명: 오말리주맙)'의 글로벌 임상3상 40주 결과와 임상1상 결과를 각각 구두 발표 및 포스터 발표 형식으로 공개했다고 29일 밝혔다. 셀트리온은 이번 학회에서 만성 특발성 두드러기 환자 409명에 옴리클로, 오리지널 의약품 ‘졸레어(Xolair)’ 300mg을 비교평가하는 임상3상의 40주 평가 결과를 처음으로 공개했다. 옴리클로와 졸레어는 4주1회 투여했다. 셀트리온은
한미약품(Hanmi Pharmaceutical)이 신규 항암제로 합성치사(synthetic lethality) 기전의 MAT2A 저해제를 첫 공개했다. MAT2A 저해제는 글로벌에서 초기 개념입증(PoC) 임상개발 단계에 있는 타깃이다. 한미약품은 지난 23일부터 25일(현지시간)까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글로벌 암학회 ENA 2024(EORTC-NCI-AACR 2024)에서 ▲MAT2A 저해제 ‘HM100760’ ▲선택적 HER2 엑손20 삽입 변이 저해제 ▲SOS1 저해제 ‘HM99462’ 등 3건의 연구결과를 포스터로
차바이오텍 계열사 차백신연구소(CHA Vaccine Institute)가 보건복지부가 주관하는 ‘2024년 백신실용화기술개발사업’ 정부과제의 주관기관으로 선정됐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과제의 기간은 2027년 12월까지며, 과제금액은 총 12억원 규모다. 차백신연구소는 조선대 산학협력단(김동민 의과대 교수 연구팀)과 전남바이오진흥원 생물의약연구센터와 협력해 ‘일본뇌염 바이러스(JEV)에 의한 급성 뇌염을 예방할 수 있는 차세대 재조합 단백질 백신’ 개발에 주력한다. 이번 연구의 목표는 국내에서 주로 출현하는 ‘신종 5형 유전자형
인벤티지랩(Inventage Lab)은 29일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주관한 한국형 ARPA-H 프로젝트의 핵심 과제인 ‘백신 탈집중화 생산시스템 구축(DeCAFx)’ 과제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과제는 국제백신연구소(IVI)가 주관하며 가톨릭대, 인벤티지랩, 엔지노믹스와 함께 컨소시엄을 이뤄 전염병이 발생할 경우 mRNA 백신 100만도즈를 100일 내에 신속하게 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을 최종 목표로 한다. 과제 기간은 4년6개월이며 과제 규모는 176억원이다. 인벤티지랩은 미세유체공학(microfluidics
메디맵바이오(MediMabBio)는 29일 피노바이오(Pinotbio)와 함께 차세대 항체-약물접합체(ADC)인 항체-면역조절약물접합체(antibody-drug immune modulator conjugate, ADIC)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메디맵바이오는 항체개발과 함께 면역효과 조절을 위한 여러종의 사이토카인 라이브러리 플랫폼(Artikine Platform)을 개발했다. 기술적으로 효능을 향상시킨 사이토카인을 특정 항체에 융합해 암과 자가면역질환 치료효능을 높이는 접근법이다. 이번 MOU를 바탕으
제약바이오기업 HK이노엔(HK inno.N)은 노바셀테크놀로지(Novacell Technology)로부터 면역질환 신약 후보물질을 도입했다고 29일 밝혔다. 회사측에 따르면 후보물질 발굴 단계로 아직 비임상 시험에는 들어가지 않았다. 자세한 계약사항은 공개하지 않았다. HK이노엔이 도입한 신약 후보물질은 FPR2 길항제(FPR2 agonist) 기전의 합성 펩타이드 물질로, 체내 면역반응을 조절하는 FPR2를 활성화한다는 회사측 설명이다. HK이노엔은 후보물질이 가진 염증 억제, 세포재생 촉진 기전에 기반해 안과, 피부, 호흡기
미국 AI 의료기업 템퍼스(Tempus)는 JW중외제약(JW Pharmaceutical)과 종양학 개발 분야에 대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28일(현지시간) 밝혔다. JW중외제약은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국내 실제 처방 데이터(Real-World data, RWD)와 템퍼스의 AI기반 생물학적 모델링을 활용해 종양학 치료제 초기 연구에서 효율적으로 가설을 세우고 신속하게 검증하는 것이 목표다. JW중외제약 연구팀은 템퍼스의 생물학적 모델링 플랫폼과 환자 유래 오가노이드 모델로 구성된 패널을 활용해 초기 파이프라인을 선별하고, 반응 바
HLB그룹이 제노포커스(Genofocus) 총 800억에 인수한다고 28일 밝혔다. 제노포커스는 맞춤형 산업용 특수 효소를 생산하는 바이오헬스케어 소재 전문기업이다. 이번 인수는 HLB를 중심으로 한 HLB계열사들이 인수와 증자로 250억원을 투자해 지분의 26.48%를 확보하고, 투자자 그룹이 550억원 규모의 전환사채(CB)를 인수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제노포커스 공시에 따르면 이번 인수에는 HLB, HLB파나진, HLB생명과학, HLB테라퓨틱스, HLB인베스트먼트, 에포케, HLB네트웍스 등 7개 그룹사가 참여했다. 이번
앱클론(AbClon)은 28일 이사회를 열고 사모 전환사채(CB) 발행과 제3자배정 전환우선주(CPS) 발행 유상증자를 통해 310억원을 조달하기로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이번 투자 라운드에는 바이오·헬스케어 전문 데일리파트너스가 리드투자자로 참여하고, 웰컴자산운용, BNB자산운용, 포커스자산운용이 참여한다. 특히 데일리파트너스는 200억원 규모의 CB 전량을 인수하며, 제3자 유증에도 50억원 등 총 250억원을 투자한다. CB는 표면이자율 0%, 만기이자율 5%이며 전환에 따라 발행되는 주식수는 123만1223주다. 제3자배정
액체생검으로 암 정밀진단 및 치료를 구현하는 아이엠비디엑스(IMBDx)는 진행암 프로파일링 제품 ‘알파리퀴드® 100’을 활용해 분당차병원 전홍재 교수팀과 공동으로 수행한 담도암(BTC) 환자 임상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간장학 저널(Journal of Hepatology, IF=26.8)에 발표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임상은 전신치료 경험이 없는 진행성 담도암 환자 120명을 대상으로 조직과 혈액 ctDNA(circulating tumor DNA) 유전자와의 일치성을 평가하고, 액체생검을 통한 중증의 담도암 환자 치료 가능성을
네오이뮨텍(NeoImmuneTech)은 다음달 6일부터 10일까지 미국 휴스턴에서 열리는 미국 면역항암학회(SITC 2024)에서 반감기를 늘린 IL-7 면역치료제인 ‘NT-I7’의 연구성과 2건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28일 밝혔다. 네오이뮨텍은 고형암을 대상으로 NT-I7(물질명: efineptakin alfa)과 PD-1 항체인 ‘키트루다(Keytruda)’ 병용투여를 평가하는 NIT-110 임상1b/2a상의 바이오마커 분석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NIT-110의 이번 바이오마커 결과는 미국 임상종양학회(ASCO 2024)에서
이중항체 전문기업 에이비엘바이오(ABL Bio)는 사노피에 파킨슨병 등 퇴행성뇌질환 치료 이중항체 후보물질 ‘ABL301’의 제조기술 이전(manufacturing technology transfer)을 완료하고, 이에 따른 마일스톤(단계별 기술료) 500만달러(약 70억원)를 수령한다고 28일 밝혔다. ABL301은 에이비엘바이오의 ‘그랩바디-B(Grabody-B)’ 플랫폼 기술 적용으로 파킨슨병의 발병원인인 알파시뉴클레인(alpha-synuclein, αSyn)의 축적을 억제하는 항체를 뇌 안으로 효과적으로 전달해 치료 효과를
지투지바이오, 공모가 5.8만원 확정.."밴드 상단"
아이엠바이오, 코스닥 기술성평가 'A, A' 통과
SK바팜, 연내 2nd '상업화 제품' 도입.."CNS 치료제"
머크, "인력 6000명 감축"..30억弗 절감 일환
스파인, 유한 ‘TGF-β 길항제’ 만성요통 3상 “실패”
퍼스트바이오-디앤디, 'RIPK2 저해제' 美특허 등록
中레푸, New co에 '전임상 TCE 2건' 8.5억弗 L/O
4DMT, ‘아일리아 AAV’ DME 2상 "성공"..허가3상 직행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삼진제약, HR담당에 신승원 이사 영입
대웅제약, '셀트리온 출신' 홍승서 본부장 영입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롯데벤처스, 분당서울대병원과 ‘기업발굴’ 협약
애스톤, 'mRNA 항암백신' 개발 "복지부 과제선정"
히츠, 美이몰레큘스와 ‘AI 플랫폼’ 판매 파트너십
HLB펩, 인도 바이오서브와 ‘펩타이드’ 독점 공급계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