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암 분자진단 전문 기업 젠큐릭스(Gencurix)는 로슈진단(Roche Diagnostics)의 한국법인인 한국로슈진단과 디지털 중합효소연쇄반응(digital PCR) 기술을 활용한 암 진단 키트 개발 및 상업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두회사는 디지털 PCR 기반 암 체외진단(IVD)제품을 개발하고 오는 2026년 사업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두회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4가지 주요 영역에서 협력할 계획이다. 주요 영역에는 공동 시장조사, 제품개발 및 원재료 공급, 허가 및 보험적용 규제 대응, 상업화 활
글로벌 토탈 메디컬 에스테틱 전문기업 휴젤(Hugel)이 연결 기준으로 올해 3분기 매출 1051억원, 영업이익 534억원, 당기순이익 420억원을 기록했다고 6일 밝혔다. 휴젤은 글로벌 시장에서의 선전으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사상 처음으로 각각 1000억원과 500억원을 돌파하며 역대 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전년동기 대비 매출액은 23.9%, 영업이익은 54.5% 증가했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보툴리눔 톡신 제제 '보툴렉스’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약 41% 증가한 647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지난 7월과 9월에 진행된
셀트리온(Celltrion)은 이번달 4~7일 열리는 World ADC 2024에 참가해 개발 중인 항체-약물접합체(ADC) 신약 파이프라인의 비임상 연구결과를 처음으로 공개했다고 6일 밝혔다. 셀트리온은 5일(현지시간) 세포성장인자수용체(cMET)을 타깃하는 ‘CT-P70’, 넥틴-4(nectin-4)를 타깃하는 ‘CT-P71’ 등 개발중인 ADC 신약 파이프라인 2개의 비임상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번에 발표한 셀트리온의 신약 항암 파이프라인 2개는 모두 오픈이노베이션 파트너사인 피노바이오(Pinotbio)의 ADC 플랫폼을
동아에스티(Dong-A ST)는 지난 5일 서울 동대문구 용두동 본사에서 에이아이트릭스(AITRICS)와 디지털헬스케어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6일 밝혔다. 협약에 따라 양사는 △디지털헬스케어 분야 국내사업 확장 △글로벌 사업기회 발굴 △해외수출 품목 포트폴리오 다각화에 적극 협력한다. 이를 위해 에이아이트릭스는 ‘AITRICS-VC(바이탈케어)’ 등 다양한 인공지능(AI) 솔루션을 동아에스티에 공급한다. 동아에스티는 국내외 유통망을 활용해 에이아이트릭스의 AITRICS-VC와 AI 솔루션을 국내 및 해외 시장에
금창원 쓰리빌리언(3billion) 대표는 “이제 희귀질환 진단분야에서는 전장유전체분석(WGS), 전장엑솜분석(WES)은 일반적인 검사방식이 되고 있으며 실제 차별점을 갖추기 위해서는 수많은 유전자변이를 정확하고 빠르게 해석할 수 있는 유전변이 해석기술을 갖춰야 한다”며 “쓰리빌리언은 인공지능(AI) 해석 기술을 이용해 경쟁사보다 높은 정확도로 희귀질환을 찾아내는 기술을 구축해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고 말했다. 금 대표는 지난달 25일 코스닥 기업공개(IPO)를 앞두고 서울 여의도에서 개최한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하며 쓰리빌리언
와이바이오로직스(Y-Biologics)는 이번달 6일부터 10일까지(현지시간) 미국 휴스턴에서 개최되는 미국 면역항암학회(Society for Immunotherapy of Cancer, SITC 2024)에서 자사의 신약 후보물질 2건에 대한 연구성과를 발표한다고 6일 밝혔다. SITC는 지난 1984년 설립된 전세계 70여개국 의료계와 산업계 전문가 4600여명이 활동하는 국제 면역항암학회다. 면역항암치료제 분야의 최신 연구성과와 치료전략을 공유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이번 학회에서 단백질 구조분석 및 모델
휴온스(Huons)는 팬젠(Pangen)을 143억원에 인수한다. 휴온스는 6일 팬젠 주식 264만7378주 취득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휴온스는 구주 인수 및 제3자배정 유상증자로 팬젠의 주식을 취득한다. 휴온스는 이사회 결의를 통해 팬젠의 기존 최대주주인 CG인바이츠와 주식양수도계약을 체결했으며 팬젠이 발행하는 신주도 취득한다. 이후 휴온스는 팬젠 398만3167주, 지분율 31.53%로 최대주주가 된다. 주식 취득이 완료되면 휴온스는 팬젠 임시주주총회를 통해 경영권을 확보하고 종속회사로 편입할 계획이다. 휴온스는 바이오의약품
인공혈소판 개발 바이오스타트업 듀셀(DewCell)은 지난달 24~25일 진행된 2024 아시아 연골 및 골관절염 컨퍼런스(Asian Conference of Cartilage and Osteoarthritis, ACCO)에 참가해 인공혈소판 ‘DCB-103(i-aPLPTM)’의 골관절염 치료효과에 대한 연구 결과를 구두 발표했다고 5일 밝혔다. 이와함께 듀셀은 골관절염에 인공혈소판 DCB-103(i-aPLPTM)을 활용한 근본적치료제(DMOAD) 개발에 대한 새로운 전략을 공유하고 조직재생의학 분야에서 다양한 활용 가능성을 제시
티움바이오(TiumBio)가 희귀 호흡기질환 치료제로 개발하고 있는 NE 항체 및 조성물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다고 5일 밝혔다. 티움바이오가 이번에 출원한 특허는 NE 항체 및 이를 포함하는 NE-과활성화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Anti-NE antibody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NE-hyperactivation related diseases comprising the same)이다. 해당 특허는 NE 항체인 ‘NBX005’에
차바이오텍(CHA Biotech)의 미국 자회사인 마티카 바이오테크놀로지(Matica Biotechnology)가 자체 개발한 바이러스벡터(viral vector)의 캡시드(capsid) 분리 분석법을 프론티어인 바이오엔지니어링 앤드 바이오테크놀로지(Frontiers in Bioengineering and Biotechnology)에 게재했다고 5일 밝혔다. 바이러스 벡터는 세포·유전자치료제(CGT) 개발 과정에서 DNA나 RNA와 같은 유전물질을 체내로 전달하기 위한 운반체로 쓰인다. 이때 바이러스 껍데기인 캡시드에 유전물질을
아이진(Eyegene Inc.)은 지난 1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수막구균 4가 백신 ‘EG-MCV4’에 대한 국내 임상3상 신청을 완료했다고 5일 밝혔다. 회사에 따르면 이번 임상시험은 수막구균 감염 이력이 없는 만 18~55세의 건강한 성인 약 800명을 대상으로 EG-MCV4 투약군과 GSK의 ‘멘비오(Menveo)’ 투약군으로 1:1 배정해 평가할 계획이다. 약물은 각 1회 투여해 6개월동안 관찰하며 멘비오와 비교해 비열등성의 면역원성, 안전성 등을 확인하게 된다. 아이진은 임상3상 후 오는 2026년말까지 품목허가를 받아 그
동아에스티(Dong-A ST)의 자회사 뉴로보 파마슈티컬스(NeuroBo Pharmaceuticals)는 5일 대사이상관련지방간염(MASH) 치료제로 개발중인 GPR119 작용제(agonist) ‘DA-1241’의 글로벌 임상2상 파트1, 파트2의 마지막환자 투약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DA-1241의 임상2상 파트1, 파트2는 각각 16주간 다기관에서 무작위 배정, 이중눈가림, 위약 대조, 평행비교 방식으로 진행했으며 총 95명의 MASH 환자에게 투약을 완료했다. 파트1에서는 DA-1241 50mg, 100mg 투약군으로 나눠
의료 인공지능 기업 숨빗AI(Soombit.AI)가 알토스벤처스(Altos Ventures)로부터 시드(seed) 투자를 유치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투자 규모는 360만달러(약 50억원)이며, 알토스벤처스가 단독으로 참여했다. 숨빗AI는 카카오브레인에서 흉부 엑스레이 판독보조 AI 사업을 개발한 팀이 설립한 회사이며, 설립 이후 지난달 카카오브레인에서 물적분할한 흉부 엑스레이 판독 부문인 씨엑스알랩을 흡수합병했다. 숨빗AI 공동 창업자는 카카오브레인 최고헬스케어책임자(CHO)였던 배웅 대표와 이미지 생성 연구 총괄을 맡았던 김
보령(BORYUNG)은 4일 보령파트너스를 대상으로 1750억원 규모의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실시하기로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발행되는 신주는 보통주 1809만7207주이며, 신주는 주당 9670원이다. 납입일은 11월13일이며, 신주의 상장 예정일은 11월 29일이다. 보령파트너스는 김정균 보령 대표가 88%의 지분을 갖고 있으며 대표이사로 등재돼있다. 김 대표는 이번 3자배정 유증 결정과 관련, “어려운 시장환경 속에서 장기적으로 성장을 지속하기 위해선 적극적인 투자와 시장 선점이 필수적”이라며 “앞으로도 견고한 재무실적과 주
셀(CELL) 의학자매지인 메드(Med) 저널에 앱클론의 신규 에피토프(epitoep) HER2 항체 ‘HLX22(AC101)’에 대한 병용요법 임상2상 결과가 주목할 논문(featured article)으로 표지논문을 장식했으며, 하버드대의대 부속병원 MGH(massachusetts general cancer center) 임상의가 이에 대한 견해를 밝힌 리뷰 논문을 같이 발표했다. 저널측은 이번 표지논문 선정에 대해 위암은 글로벌에서 암으로 인한 4번째 사망 원인이며, 진행성 단계에 들어서면 환자의 예후가 나빠 더 효과적인 치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Lunit)은 자회사 볼파라 헬스(Volpara Healt)가 미국 국방보건국(The U.S. Defense Health Agency, DHA)과 유방암 검진 소프트웨어 공급 및 검진 시스템 고도화 계약을 체결했다고 4일 밝혔다. DHA는 미 육해공군, 해병대 등 약 960만명의 현역군인, 퇴역군인, 그 가족들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 국방부 산하 기관이다. 이번 계약은 총 730만달러(한화 약 100억원) 규모이며, 볼파라의 주력 제품 '페이션트 허브(Patient Hub™)'가 미군 의료시
지투지바이오, 공모가 5.8만원 확정.."밴드 상단"
아이엠바이오, 코스닥 기술성평가 'A, A' 통과
SK바팜, 연내 2nd '상업화 제품' 도입.."CNS 치료제"
머크, "인력 6000명 감축"..30억弗 절감 일환
스파인, 유한 ‘TGF-β 길항제’ 만성요통 3상 “실패”
퍼스트바이오-디앤디, 'RIPK2 저해제' 美특허 등록
中레푸, New co에 '전임상 TCE 2건' 8.5억弗 L/O
4DMT, ‘아일리아 AAV’ DME 2상 "성공"..허가3상 직행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삼진제약, HR담당에 신승원 이사 영입
대웅제약, '셀트리온 출신' 홍승서 본부장 영입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롯데벤처스, 분당서울대병원과 ‘기업발굴’ 협약
애스톤, 'mRNA 항암백신' 개발 "복지부 과제선정"
히츠, 美이몰레큘스와 ‘AI 플랫폼’ 판매 파트너십
HLB펩, 인도 바이오서브와 ‘펩타이드’ 독점 공급계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