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테고사이언스는 16일 ‘케모카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조성물’에 대한 국내 특허를 취득했다고 밝혔다. 케모카인은 상처 치유의 첫 단계에서 분비돼 상처 부위로 세포의 이동을 유도하는 물질이다. 이번 특허는 케라틴 세포의 증식과 이동 및 콜라겐 Ⅳ 합성과 분비를 유도해 피부의 탄력 유지, 재생, 상처치유를 돕는 소재를 개발한 것으로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표피의 90%를 차지하는 케라틴세포(keratinocyte)는 피부 노화, 상처 및 피부 병변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생리활성이 저하된다. 테고사이언스는
녹십자셀이 중국 항암제 시장에 진출한다. 녹십자셀은 하얼빈후박동당생물기술유한회사(후박동당생물)와 면역세포치료제 중국 진출을 위한 합작협약 계약을 체결했다고 16일 밝혔다. 하얼빈시에 본사를 둔 후박동당생물은 2015년 약 13조원의 매출을 기록한 용강환보그룹의 피아오용지엔(朴庸健) 대표가 바이오 및 제약사업을 위해 설립한 기업이다. 후박동당생물은 면역세포치료제 ‘이뮨셀-엘씨’의 중국 내 진출을 위한 임상 데이터 구축 및 의약품 허가절차 추진을 진행하게 된다. 암 치료 목적으로는 동북 3성(흑룡강성, 길림성, 요녕성)의 종합병원,
안트로젠은 이영양성 수포성표피박리증에 대한 'ALLO-ASC-sheet'의 미국 식품의약품국(FDA)의 임상1상시험 계획을 승인받았다고 16일 공시했다. 'ALLO-ASC-sheet'는 지방유래줄기세포를 3차원 배양한 시트제형으로 국내에서 이영양성 수포성표피박리증 1/2상 임상시험을 진행중이다. 이영양성 수포성표피박리증은 '콜라겐7(Collagen 7)을 만드는 유전자(COL7A1)에 결함이 생겨 표피와 진피를 결합시키는 'Anchoring fibril'의 부족으로 인해 경미한 자극에도 피부에 물집이 생기면서 피부가 벗겨지
지난 몇 년간 국내 제약업계에서 가장 큰 이슈는 보험 약가제도로 지목된다. 장기간 막대한 비용을 투자해 신약을 개발해도 보건당국이 제 값을 쳐주지 않는다는 불만이 팽배했다. 보건당국은 지난해 약가제도 개편을 통해 글로벌 혁신신약과 바이오시밀러(바이오복제약)의 약가 산정기준을 종전보다 상향 조정하며 제약업계 달래기에 나섰다. 하지만 약가제도에 대한 불만은 여전하다. 제약사들이 의약품을 시장에 출시한 이후에도 다양한 사후관리 장치에 지속적으로 약가인하 가능성이 노출되기 때문이다. 보건당국은 약가 사후관리도 재정비하겠다는 움직임을 보
신신제약 아스타 피씨엘 등이 내달 코스닥 상장 절차에 돌입한다. 아스타 피씨엘은 작년 12월 공모시장 침체로 상장 시기를 한차례 미룬 바 있어 이번 결과에 관심이 모아진다. 1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신신제약 아스타 피씨엘은 오는 2월 기관 수요예측을 통한 공모가 확정, 기관·일반 투자자 청약 등의 절차를 거쳐 코스닥 상장한다는 계획을 확정했다. 먼저 신신제약은 코스닥 상장을 위해 2월 8~9일 수요예측, 16~17일 기관·일반 투자자 청약 등의 절차를 밟는다. 2월 28일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희망공모가
차바이오텍은 나스닥 상장사인 플루리스템사(Pluristem Therapeutics)와 공동으로 개발 중인 간헐성 파행증 세포치료제에 대한 글로벌 임상 2상 시험의 마지막 피험자 투여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13일 밝혔다. 태반유래 간헐성 파행증 세포치료제의 글로벌 임상 2상은 한국을 비롯해 미국, 독일, 이스라엘 등 총 30개의 임상기관에서 전세계 총 172명의 피험자가 참여했다. 차바이오텍은 한국에서 총 2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을 완료했다. ‘간헐성 파행증(Intermittent Claudication)’은 동맥 내 콜레스테
녹십자랩셀은 특허청으로부터 T세포를 이용한 자연살해세포의 배양방법 특허를 취득했다고 13일 공시했다. 이 특허는 면역세포 일종인 T세포를 이용해 소량의 원료 세포로부터 자연살해세포만 선택적으로 증식시켜 안정적으로 자연살해세포 치료제의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자연살해세포는 우리 몸에서 암세포나 비정상 세포를 즉각적으로 파괴하는 선천면역세포다. 배양이 어렵고 활성 기간이 짧아 활성 지속 기간을 늘리고 분리 배양 후 대량생산할 수 있는 기술이 상용화의 핵심이다. 녹십자랩셀 측은 "자체개발한 항암 자연살해세포
보건당국이 올해 줄기세포치료제, 보툴리눔독소제제 등의 불법·무허가 제조 또는 유통 행위를 집중 단속한다. 생약 성분의 천연물의약품은 발암물질 검출에 대한 사후관리가 집중적으로 이뤄질 전망이다. 10일 식품의약품안전처의 ‘2017년 2017년 의약품 제조‧유통관리 기본계획’에 따르면 올해 보툴리눔독소제제, 인태반제제, 백신, 성장호르몬, 인슐린 등의 온라인 불법 유통에 대한 상시 감시체계를 가동한다. 의사의 처방을 받지 않고 허가된 적응증 이외 용도로 불법 유통될 가능성이 큰 약물에 대해 유통과 광고 점검을 강화한다. 식약처는 지난
“지난 몇 년간 한국 제약산업은 비약적인 발전을 이뤄냈습니다. 빠른 시일내 선진 제약클럽에 진입할 것으로 확신합니다.” 6년 반 회장 임무를 마치고 한국제약협회를 떠나는 이경호 회장이 제약산업에 대한 무한한 애정을 드러냈다. 제약협회는 약 200개의 제약사가 가입된 국내 대표 제약관련 단체다. 이경호 회장은 내년 2월 임기 만료를 1년 앞두고 사퇴를 선언했다. 12일 이 회장은 서울 서초구 제약협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사퇴 의사를 밝혔다. 제약산업이 맞이한 새로운 환경에서 제약협회도 새로운 리더십도 필요하다는 판단에 용퇴를 결
올해 1호 상장 바이오텍인 유바이오로직스가 공모가를 희망공모밴드 최하단인 6000원으로 확정했다. 1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유바이오로직스는 지난 9~10일 진행한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 결과 최종 공모가를 6000원으로 결정했다. 총 공모금액은 192억원이다. 이번 수요예측에는 299개 기관이 참여해 단순 경쟁률 31.09대 1을 기록해 나쁘지 않았다. 하지만 142개 기관(43.14%)이 희망공모밴드보다 낮은 5500원 미만을 선택했다. 신청수량은 3741만 4000주로 전체의 62.69%에 달했다. 수요예측
글로벌 바이오시밀러 시장의 선두주자 셀트리온이 올해 2분기에 자가면역 진단키트를 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를 통해 류마티스 등 자가면역질환 치료제인 ‘램시마’의 마케팅을 강화하겠다는 설명이다. 셀트리온이 내놓겠다고 발표한 진단키트는 도대체 어떤 것일까? 셀트리온이 올해 2분기 출시를 목표로 준비하고 있는 자가면역질환 진단키트는 혈액에서의 약물농도와 약물에 대한 항체(anti-drug antibody; ADA)농도를 측정함으로써 의료진에게 맞춤의료의 진단근거를 제공하기 위한 키트다. 이를 통해 약물의 용량을 조절하거나 다른 치
이경호 한국제약협회 회장이 내달 퇴임을 결정했다. 회장 임기는 1년 남았지만 새로운 리더십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용퇴를 결정했다. 12일 이 회장은 서울 서초구 제약협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내달 정기총회를 마지막으로 (회장직을) 그만둔다”고 퇴임 의사를 밝혔다. 이 회장은 지난 2010년 7월 취임한 이후 2012년 재선임, 2014년 3연임에 이어 지난해 4연임이 결정되며 내년 2월 임기 만료 예정이었다. 이 회장은 “제약산업이 맞이한 새로운 환경에서 제약협회도 새로운 리더십도 필요하고, 이노베이션 차원에서 볼 때
셀트리온이 올해 2분기중에 맞춤형 자가면역 진단키트를 출시, 이를 통해 맞춤의료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고 자가면역질환에 대한 적극적인 마케팅에 나설 계획이다. 김명훈 셀트리온 의학부문 부사장은 11일(현지시각)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에서 램시마의 유럽 진출성과와 추가 임상데이터(NOR SWITCH, Norwegian Switch Study)를 공개하면서 이같이 말했다고 회사측이 밝혔다. 특히 이번 발표에서 세계 최초의 바이오시밀러로 류마티스 등 자가면역치료제인 램시마의 향후 마케팅 전략을 발표
“바이오 CMO 시장을 더욱 확대하고 바이오제약 산업도 반도체 산업과 같이 생산전문업체들이 주도해 나갈 수 있도록 시장의 패러다임을 바꿔나가겠다." 김태한 삼성바이오로직스 사장은 10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서 열린 글로벌 투자자 대상의 기업설명회에서 "앞으로 자체 공장을 보유하지 않은 바이오테크 기업들에게는 안정적인 생산 서비스를 제공하고, 글로벌 제약사들에게는 플랜트 건설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겠다”면서 이같이 강조했다.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는 글로벌 금융사인 J
KB증권은 12일 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에 대해 일본 다케다와 올 하반기 기술이전 본 계약 체결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레고켐바이오는 전날 다케다의 항암 전문 자회사인 밀레니엄 파마슈티컬과 ADC 후보물질을 공동 발굴하는 리서치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 이에 대해 KB증권은 이번 계약은 다케다가 레고켐 바이오의 기술적 우위를 확인한 것으로 평가했다. 김태희 연구원은 "세계 첫 ADC인 애드세트리스 판매하고 있고, 시애틀제네틱스 이뮤노젠 머사나와 ADC 연구 제휴를 맺는 등 대형 제약사 가운데 ADC 개발에 가장 적극적"이라고 설명
한미약품은 지난 9일부터 12일까지(현지시각)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제35회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에 참가해 2017년 R&D 전략을 발표했다고 12일 밝혔다.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는 글로벌 제약·바이오 분야 최고 권위의 행사다. 한미약품은 이관순 대표이사 사장 등 주요 경영진이 참석했다. 이관순 사장은 지난 11일 진행된 기업설명회에서 북경한미약품에서 개발 중인 혁신신약 플랫폼 기술 '펜탐바디(PENTAMBODY)'와 이를 적용한 면역항암제 파이프라인에 대해 설명했다. 펜탐바디는 하나의 항체가 서로 다른
에이비엘, 사노피와 'BBB 이중항체' 차별성 "논문 게재"
셀트리온, ‘사이언스&이노베이션 데이’ 개최
디티앤씨알오, 루다큐어와 신약개발 협력 MOU
'의료AI' 템퍼스, '병리 선두‘ 페이지 8100만弗 인수
美크리스탈, 흑색종 OV "중단"..레플리뮨 OV거절 '파장'
루닛, 이탈리아 지방보건국 11곳에 AI솔루션 공급
中그린밸리, ‘해초 유래’ AD치료제 “中정식승인 실패”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뉴로핏, 과학자문위원에 '이와타 아츠시' 박사 영입
차백신연구소, 대표이사에 한성일 부사장 내정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코오롱생과, ‘TG-C 연골재생 핵심기술’ 印尼 특허등록
리가켐바이오, 오노서 'LCB97' 4th 단기 마일스톤 수령
대웅제약, '보툴리눔 톡신' 콜롬비아 341억 수출계약
삼진제약, 독감백신 '플루아드쿼드' 런칭 심포지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