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디포스트는 지난 2분기 영업이익이 11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했다고 31일 공시했다. 매출액은 121억원으로 전년보다 69.0% 늘었고 당기순이익은 14억원으로 흑자전환했다. 메디포스트의 2분기 매출액은 창립 이후 신기록이다. 주력 사업인 제대혈 분야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8.5% 증가했고 줄기세포 치료제 사업 매출도 국내외 기술료 수입 등을 합쳐 지난해 2분기보다 83.4% 늘었다. 건강기능식품과 화장품 부문 매출이 전년대비 각각 101.6%, 809.2% 증가하며 실적 개선에 기여했다. 메디포스트 관계자는 “줄
씨티씨바이오는 사료첨가제 '루미나R'이 세계적인 낙농국가인 뉴질랜드 정부로부터 반추동물용 사료첨가제로 수입승인을 받았다고 31일 밝혔다. 루미나R은 씨티씨바이오의 간판 사료효소제 씨티씨자임의 축우용 제품으로 주원료인 베타-만난아제는 일종의 소화효소 제품이다. 곡물에 들어있는 헤미-셀룰로스를 분해해 사료의 소화효율을 극대화하는 기능을 갖고 있는데, 돼지, 닭 등 주로 단위동물이 이용 대상이었다. 소와 같은 추동물은 위가 4개가 있으며 그 중 하나는 미생물에 의한 발효통 역할을 하기 때문에 별도의 효소가 필요치 않다고 알려져 있어
케어젠은 Saudi Centre for Pharmaceuticals(RONESCA)와 혈당조절 식품 등의 공급 계약을 체결햇다고 31일 공시했다. 사우디아라비아에 오는 2027년까지 총10년 동안 2411억원 규모의 제품을 공급하는 내용이다. 오는 8월부터 내년 7월까지 50억원 규모에서 2026년 8월부터 2027년 7월까지는 397억원 규모로 순차적으로 공급 규모가 확대된다. 공급 제품은 Deglusterol, Dermaheal 등 10개 품목이다. 계약 금액은 최소주문수량이며 이달까지 100만달러의 계약금이 입금될 예정
동화약품은 캄보디아 프놈펜 소카 호텔에서 현지 식음료ㆍ생활용품 유통업체 재규어 캐피탈 로열 인베스트먼트(JCRI와 에너지드링크 '지파크(G.PARK)'의 수출계약을 체결했다고 31일 밝혔다. JCRI는 향후 5년 간 캄보디아 전 지역에 지파크의 판매를 담당한다. 오는 2019년까지 800만달러 규모를 공급키로 했다. 이날 행사에는 JCRI 경영진 외에도 캄보디아 내 전국 도소매 유통사와 지파크 홍보를 담당한 미스 캄보디아 사절단, 현지 연예인 등 약 250명이 참석했다. 동화약품 관계자는 “사전에 캄보디아 에너지드링크
셀트리온은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제출한 항체 바이오시밀러 ‘허쥬마’(CT-P6, 성분명 트라스주맙)의 바이오의약품 품목허가신청(BLA)이 최근 접수됐다고 31일 밝혔다. 셀트리온은 지난 5월 허쥬마의 FDA 허가를 신청했고 FDA는 규정대로 60일 동안 셀트리온이 제출한 서류의 적정성을 판단해 검토 요청을 승인했다. ‘허쥬마’는 유방암과 위암 등의 치료에 쓰이는 항암 항체 바이오시밀러로 오리지널의약품은 제넨텍이 개발하고 로슈가 판매하는 ‘허셉틴’이다. 허셉틴은 연간 7조9000억원의 매출을 올리는 대형 약물이다. 지난해
한미약품이 올해 상반기 주요 제약사 중 가장 많은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지난해 사노피와의 기술수출 계약 수정으로 기술료가 큰 폭으로 줄었음에도 제넨텍으로부터 받은 계약금 등에 힘입어 유일하게 두 자리수 영업이익률을 기록했다. 유한양행은 수출과 도입신약의 선전으로 연 매출 신기록 경신을 예약했다. ◇한미, 사노피 기술료 소멸에도 제넨텍 계약금 등으로 두 자리수 영업이익률 31일 금융감독원에 공시된 주요 제약사들의 상반기 잠정 실적에 따르면, 한미약품이 올해 상반기에 가장 많은 529억원을 기록하며 유일하게 10%
미국 머크(Merck)가 유럽 등에 판매하는 존슨앤존스(J&J)의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제 '레미케이드'의 매출이 지속하락하고 있다. 셀트리온의 레미케이드 바이오시밀러 '램시마'가 유럽 시장을 장악하는 추세와 반비례한다. 머크는 28일(현지시간) 2분기 실적 발표를 통해 레미케이드의 매출액이 2억 800만 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38.6%, 전분기 대비 9.2% 감소한 것이다. 머크는 유럽, 러시아 등의 레미케이드 판권을 가지고 있다. 머크에 따르면 레미케이드의 매출은 2016년 1분기 이후 한번도 반등하지
보령제약은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7억 7900만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2.2%, 전분기 대비 84% 감소했다고 28일 공시했다. 매출액은 1089억 4700만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5% 늘었다. 전분기 대비해서도 9.1% 증가했다. 당기순이익 역시 7억 8000만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1%, 전분기 대비 70.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엔지켐생명과학은 구강점막염 치료를 위한 'EC-18'의 임상 2상에 대해 미국 FDA의 승인을 받았다고 28일 공시했다. 이번 임상은 구강, 구인두암, 하인두암, 비인두암 등 두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항암화학방사선요법 치료시 유발되는 구강점막염에 대해 EC-18을 병용투여 함으로써 구강점막염 치료제로서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두경부암을 비롯한 다수의 고형암에서 치료에 사용되는 항암제 및 방사선 치료는 다양한 부작용을 야기하는데 그 중에서 구강점막염의 경우, 중증 세균감염, 궤양 등으로 발전하게 돼 항암치료의
유한양행은 지난 2분기 영업이익이 194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0.5% 늘었다고 28일 공시했다. 매출액은 3526억원으로 전년보다 6.7%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226억원으로 122.2% 늘었다.
종근당은 지난 2분기 영업이익이 163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54.5% 늘었다고 28일 공시했다. 매출액은 2110억원으로 전년보다 2.6%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112억원으로 53.6% 늘었다.
셀트리온헬스케어가 코스닥 시장에 화려하게 데뷔했다. 셀트리온헬스케어는 28일 오전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신규상장 기념식을 갖고 코스닥 시장에 상장했다. 오전 9시 50분 기준으로 시총은 6조 4927억으로 상장하자마자 단번에 셀트리온 다음인 코스닥 시총 2위 자리를 꿰찼다. 거래금액은 시초가보다 8.8% 오른 4만 7500원이다. 공모가(4만 1000원)와 비교하면 15.9% 높은 수준이다. 지난 1999년 설립된 셀트리온헬스케어는 셀트리온의 유일한 유통·마케팅 채널이자 공동개발사다. 셀트리온이 개발하는 바이오시밀러의 독
바이로메드는 전 미 FDA 심사관 박준태 박사와 동아에스티 천연물제품 개발 책임자였던 손미원 박사를 영입했다고 28일 밝혔다. 박준태 박사는 바이로메드의 부사장으로서 기술이전 및 인허가 부문[약칭 LARA (Licensing and Regulatory Affairs)]을 총괄할 예정이다. LARA는 성공적인 기술 이전과 선진국 시장 진출을 위해 필요한 사항들을 총괄하기 위해 신설된 조직이다. 박준태 박사는 1990년 박사학위 취득 후 미국에 거주하며 미국 Alpha-Beta Technology, Inc., 미국 국방성(DOD) 등
국내에서 의약품 불법 리베이트로 적발된 제약사는 다양한 처벌을 감수해야 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리베이트 의약품의 판매금지 처분을 받고 보건복지부는 건강보험급여제한 조치를 내린다. 검찰 조사 결과에 따라 리베이트를 주고 받은 자는 징역이나 벌금의 형사처벌을 받을 수 있고 공정거래위원회의 과징금 폭탄도 감수해야 한다. 정부의 강력한 리베이트 척결 의지를 읽을 수 있는 대목이다. 보험급여제한과 공정위의 과징금은 리베이트 규모에 따라 달라진다. 리베이트 규모가 클수록 처분 수위도 가혹해진다. 하지만 식약처의 판매금지 처분은 리베이트
한미약품은 지난 2분기 연결재무제표 기준 영업이익이 215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236.9% 늘었다고 27일 공시했다. 매출액은 2228억원으로 전년보다 5.0% 감소했고 당기순이익은 121억원으로 43.5% 줄었다. 한미약품 측은 “작년 계약변경에 따른 사노피 기술료 감소분을 제외할 경우 매출과 영업이익, 순이익 등 모든 부문의 경영지표가 대폭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한미약품은 지난 2015년 사노피와 퀀텀프로젝트(당뇨약 3건) 기술이전 계약을 맺으면서 계약금 4억유로(약 4800억원)를 받았다. 하지만 지난해 말 일부 과제(
한미약품은 지난 2분기 연결재무제표 기준 영업이익이 215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236.9% 늘었다고 27일 공시했다. 매출액은 2228억원으로 전년보다 5.0% 감소했고 당기순이익은 121억원으로 43.5% 줄었다.
에이비엘, 사노피와 'BBB 이중항체' 차별성 "논문 게재"
셀트리온, ‘사이언스&이노베이션 데이’ 개최
한미약품, 내달 EASD서 '비만 신약' 연구 "6건 발표"
길리어드 "여지없이", in vivo CAR-T '선두' 3.5억弗 인수
다인메디컬, 스위스 EMS와 "1020억 공급계약"
루닛, 이탈리아 지방보건국 11곳에 AI솔루션 공급
中그린밸리, ‘해초 유래’ AD치료제 “中정식승인 실패”
라이트, ’치주염균 타깃’ AD 2상 “美NIH, 5천만弗 지원”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뉴로핏, 과학자문위원에 '이와타 아츠시' 박사 영입
차백신연구소, 대표이사에 한성일 부사장 내정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대웅제약, '보툴리눔 톡신' 콜롬비아 341억 수출계약
삼진제약, 독감백신 '플루아드쿼드' 런칭 심포지엄
한국얀센, 'IL-23 항체' 적응증 확대 "CD∙UC 승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