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디포스트가 줄기세포치료제의 첫 매출 100억원 돌파를 앞세워 설립 이후 최대 매출을 올렸다. 메디포스트는 별도재무제표 기준 지난해 영업이익이 7억원으로 전년대비 흑자전환했다고 30일 공시했다. 매출액은 423억원으로 전년보다 47.4% 늘었다. 메디포스트의 작년 매출 423억원은 2000년 설립 이후 사상 최대 기록이다. 줄기세포치료제 부문 매출이 전년보다 77.9% 증가한 100억3000만원을 기록했다. 메디포스트 뿐만 아니라 국내 기업이 개발한 줄기세포치료제 중 처음으로 연 매출 100억원을 넘어섰다. 제대혈은행 사업은
탄탄대로를 걷는 스타트업(벤처)은 없다. 반복된 위기와 좌절을 자양분 삼아 성공의 길을 찾는 것이 스타트업의 숙명이다. 2016년 인천 송도에 설립된 바이오벤처 폴루스(POLUS)도 2년이 조금 못 미치는 기간동안 우여곡절을 겪었다. 이제 도약을 위한 새로운 출발점에 섰다. 1세대 바이오시밀러 기업을 표방한 폴루스는 첫해 국내외에서 500억원의 투자를 유치하고 그다음해 초 경기도 화성 장안지구에 바이오시밀러 공장을 착공하는데 성공했다. 대규모 채용도 진행했다. 바이오의약품 개발부터 생산까지를 모두 하는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시장의
펩트론이 255억원 규모의 자금을 유치하면서 약효지속성 및 파킨슨병 치료제 개발에 속도를 내게 됐다. 펩트론은 255억원 규모의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 전환사채를 발행한다고 30일 공시했다. 자금 조달 목적은 '운영자금'으로 표면이자율 0.5%, 만기이자율 2%의 조건이다. 전환에 따라 발행할 주식은 31만 6086주로 주식총수 대비 4%에 해당한다. 전환청구기간은 2019년 1월 31일부터 2023년 1월 24일이다. 이번에 참여한 투자자는 중소기업은행이 출자한 '멀티에셋 성장바이오 전문투자형 사모투자신탁 제2호'다. 운용사인
한미약품이 지난 3년동안 기술료로 약 6000억원의 수익을 낸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 기준 연 매출에 근접한 수치며 3년간 투자한 연구개발(R&D) 비용보다 많은 금액을 기술료로 벌어들였다. 최근 대형 기술이전 계약을 따내지는 못했지만 기존에 체결한 대규모 기술수출이 지속적으로 수익을 내면서 추가 R&D 비용으로 투입하는 선순환 구조를 갖췄다는 평가다. 30일 한미약품에 따르면 이 회사는 지난해 4분기에 92억원의 기술료 수익을 기록했다. 2016년 제넨텍과 체결한 기술이전 계약으로 수취한 계약금의 분할 인식에 따른 수익이다.
원희목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회장이 취임 11개월만에 사임했다. “국회의원 재직시 입법활동이 업무관련성이 있다”며 취업 제한 사유에 해당한다는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의 결정을 수용키로 했다. 29일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원 회장이 이날 개최된 긴급 이사장단회의에서 사임 의사를 표명했다고 밝혔다. 제약바이오협회에 따르면 앞서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지난달 22일 원 회장의 제약바이오협회 회장 취임에 대해 취업제한 결정을 내렸다. 2008년 국회의원 시절 ‘제약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을 대표하는 등 당시 입법활동이 협회외 밀접
한미약품은 지난해 연결 재무제표 기준 영업이익이 837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212.5% 늘었다고 29일 공시했다. 매출액은 9166억원으로 3.8%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705억원으로 132.6% 늘었다. 회사 측은 “자체 개발한 주력 제품들이 고르게 성장하면서 안정적 성장세를 이어갔다”라고 설명했다. 간판 의약품 고혈압복합제 ‘아모잘탄’과 아모잘탄을 활용한 복합제 ‘아모잘탄큐’, ‘아모잘탄플러스’ 등 아모잘탄패밀리를 비롯해 고지혈증복합제 ‘로수젯’, 발기부전치료제 ‘팔팔’과 ‘구구’ 등 주력제품들이 안정적인 성장세로 실적 상
신규타깃인 '펠리노-1'을 저해하는 염증성면역질환 신약후보물질이 최초로 임상돌입을 앞두고 있다. 브릿지바이오가 궤양성대장염 신약후보물질인 'BBT-401'의 미국 임상을 위한 임상허가 신청(IND, Investigational New Drug)을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제출했다고 29일 밝혔다. 앞으로 30일간 FDA의 심사를 거치며 임상중단이나 추가자료 요구와 같은 조치가 없으면 바로 임상1상을 진행하게 된다. 브릿지바이오에 따르면 계획대로 진행될 경우 올해 임상1상이 완료된다. 임상은 미국 초기 임상전문 CRO인 셀레리온(
대웅제약은 자체 개발한 보툴리눔독소제제 ‘나보타’를 브라질과 이집트에 수출하는 계약을 최근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총 5년간 2100만달러(약 220억원) 규모를 공급하는 내용이다. 대웅제약은 브라질 제약사 목샤8(Moksha8)과 5년간 약 1600만 달러 규모의 공급 계약을 체결했고 이집트 카이로에 위치한 ‘이아이엠에스(EIMS Company)’와 5년간 약 500만 달러 규모의 나보타 독점 공급계약을 맺었다. 목샤8은 미국에 본사를 두고, 멕시코, 브라질 등지에서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중추신경계(CNS) 의약품 분야 전
휴온스는 최근 경기 성남시 본사에서 호주 브랜드뉴코스메틱스(BNC, Brand New Cosmetics)와 의료장비 ‘더마샤인 밸런스’의 호주 시장 독점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더마샤인 밸런스’는 피부 보습 효과가 뛰어난 고분자·고함량 히알루론산인 ‘엘라비에 밸런스’를 압력 감지 자동 주사 시스템을 통해 얼굴 전체에 주입해주는 에스테틱 의료장비다. 2014년 국내 출시된 1세대 ‘더마샤인’의 업그레이드 버전이다. BNC는 전세계 에스테틱 분야에서 뛰어난 기업과 브랜드만을 엄선해 호주 시장에 독점 공급하는 리
파마리서치프로덕트가 보툴리눔독소제제를 개발 중인 바이오씨앤디의 인수를 확정했다. 인수 금액은 257억원이다. 28일 파마리서치프로덕트는 바이오씨앤디의 주식 142만8137주(41.02%)를 총 257억원에 인수키로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지분 양수목적은 사업다각화와 시너지 창출이며 양수예정일자는 3월28일이다. 파마리서치는 계약 체결일에 매매대금의 10%를 납입하고 3월28일 주식 인수 잔금을 납입해 바이오씨앤디 주식을 취득할 예정이다. 파마리서치는 바이오씨앤디 주식 취득을 목적으로 자사주 11만9632주를 71억원에 처분키로 했
바이오시밀러 지속적인 상승세, 면역치료제 개발 및 병용요법의 확산,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개발을 위한 투자 확대, 유전자·RNAi 치료제 시대의 도래... 조영국 글로벌벤처네트워크 대표가 말하는 올해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 핵심 이슈다. 조 대표는 지난 26일 쉐라톤 팔레스서울 강남호텔에서 열린 바이오산업계 신년인사회에서 이달 초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 참관 후기를 소개했다.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는 전세계 바이오산업의 트렌드를 살펴볼 수 있는 행사로 올해는 500개 회사 1만명 이상이 참
"올해를 바이오 빅데이터 규제를 풀어 창업을 활성화하는 원년으로 삼겠습니다." 서정선 바이오협회 회장이 올해의 화두로 '바이오 빅데이터 규제 개선'을 꼽았다. 이를 위해 관련 위원회를 설치하는 등 본격적인 행보에 나설 계획이다. 서 회장은 26일 쉐라톤 팔레스서울 강남호텔에서 열린 바이오산업계 신년인사회에서 바이오 빅데이터 규제 개선을 위한 의지를 나타냈다. 이날 행사에는 바이오업계 종사자 및 미국, 중국, 영국, 스웨덴, 스위스 및 태국 대사관 등에서 130여 명이 참석했다. 서정선 회장은 바이오 분야 시장확대와 창업을 통한 고
폴루스바이오팜(옛 암니스)이 새로운 바이오시밀러 개발 기업으로 출발을 알렸다. 암니스는 26일 인천시 남구에서 열린 임시주주총회를 통해 사명변경 및 신규 경영진 선임 건 등을 원안대로 가결시켰다고 공시했다. 이번 주주총회를 통해 암니스는 ‘폴루스바이오팜’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또한 남승헌 폴루스 대표이사, 박주호 폴루스 사장, 김브라이언 폴루스 부회장 등이 신규 경영진으로 선임됐다. 남승헌 대표와 박주호 사장은 셀트리온과 삼성바이오로직스 등을 거친 바이오시밀러 분야 최고의 전문가다. 셀트리온 부사장과 셀트리온 헬스케어 수석부
GC녹십자랩셀은 지난해 영업이이익 17억원으로 전년대비 17.4% 줄었다고 26일 공시했다. 매출액은 458억원으로 전년보다 8.0% 늘었고 당기순이익 11억원을 기록했다. 회사 측은 “최대 사업부문인 검체검사서비스 부문 매출이 전년보다 약 10% 증가했고, 바이오물류 부문 또한 약 30% 성장하며 전체 매출액 상승에 기여했다”라고 설명했다. 다만 현재 개발 중인 NK세포치료제 ‘MG4101’의 임상 2상 진행에 따른 연구개발비 증가로 인해 지난해 수익성이 다소 둔화됐다. 이 회사가 개발중인 NK세포치료제 ‘MG4101’은 비혈
동아에스티는 민장성 대표이사 사장의 사임으로 인사위원회를 통해 엄대식 한국오츠카제약 회장을 영입하는 인사를 단행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엄대식 회장의 선임은 동아에스티가 외부에서 최초로 영입하는 최고경영진 인사다. 회사 측은 "투명성 제고와 책임경영 강화를 위해 영입했다"라고 설명했다. 엄대식 회장은 동아에스티 비상근이사를 역임하면서 회사 사정에 정통할 뿐만 아니라, 한국오츠카제약에서 15년의 대표이사 재직 기간 동안 회사를 한 단계 도약시킨 뛰어난 역량과 탁월한 리더십을 갖추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동아쏘시오그룹 관계
지난해 유럽시장에서 4000억원에 가까운 판매매출을 올린 삼성바이오에피스의 엔브렐 바이오시밀러 ‘베네팔리(Benepali)’가 오리지널 의약품보다 면역원성과 주사반응에 의한 부작용이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삼성바이오에피스가 26일 밝혔다. 지난해 10월 British Journal of Dermatology 저널에 발표된 연구결과에 따르면, 베네팔리가 오리지널과 비교시 효능에 대한 동등성은 유지하면서도 주사부위반응 부작용과 면역원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려움증, 발진, 경화를 포함하는 주사부위반응(Injection site
셀트리온제약, 신규 '이중페이로드' 플랫폼 "첫 공개"
유한양행, ‘TKI’ EGFR 엑손20도 효능..‘EGFRx4-1BB’ 공개
릴리, ‘GLP-1/GIP’ 폭발적 증가 "1Q 매출, 전년比 45%↑”
펩트론, ADC의 "세포유입∙효능↑" 플랫폼 초기결과 '공개'
머크, ‘키트루다' 美 생산시설 착공..”10억弗 투자”
노바티스, 레귤러스 17억弗 인수.."신장질환 강화"
AZ, 신경과학 임상개발 "3건 중단..파이프라인 제로(0)"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이엔셀, 셀트리온 출신 염건선 이사 영입
삼진제약, BD담당에 이서종 이사 영입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오스코텍, 'EP2/4 저해제' 고형암 "FDA 1상 IND 신청"
티움바이오, TGF-β/VEGF+키트루다 2상 "ASCO 발표"
이뮨온시아, 공모가 상단 3600원 확정.."329억 조달"
바이젠셀, 테라베스트와 'GD2 CAR-NK' 공동개발 계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