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 벤처캐피탈의 바이오투자가 잠시 숨고르기를 하고 있다. 바이오투자 열기는 여전히 뜨겁지만 실제 투자성과로 이어지지는 못하고 있다는 평가다. 29일 벤처캐피탈협회 집계에 따르면 올해 2월까지 국내 벤처캐피탈의 바이오·의료 분야 투자액은 856억원으로 나타났다. 지난 1월 투자액 211억원에서 단숨에 600억원가량이 늘었다. 작년 수준에는 못 미친다. 2018년 같은기간 963억원에 비해 11%가량 줄었다. 투자 비중을 보더라도 작년에는 전체 투자액 3860억원 중 25%(963억원)가 바이오에 투자됐는데 올해는 4475억원 중 1
SK바이오팜이 올해 국내 유가증권(코스피)시장 상장을 추진키로 하면서 국내 바이오산업계와 관련 기업공개 시장의 지각변동이 예상된다. 시총 5조원 이상으로 예상되는 대어(大漁)의 등장이 국내 관련 산업계에 활력을 불어넣는 동시에 증시 부양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한편으론 올해 상장 추진 예정기업들은 SK바이오팜의 상장계획에 따라 전략수정을 고민하게 됐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SK바이오팜은 최근 국내 대형 증권사 7곳에 코스피 상장 주관사 선정을 위한 입찰제안요청서(RFP)를 발송했다. 회사측은 다음주까지 제안서를 접수받은 뒤
셀트리온이 휴미라 바이오시밀러 글로벌 3상의 환자 모집을 조기 완료했다. 셀트리온은 2018년 3분기 개시된 류마티스관절염(RA: Rheumatoid Arthritis) 환자 대상 휴미라(성분명: 아달리무맙) 바이오시밀러 ‘CT-P17’의 글로벌 3상 임상시험 환자 모집을 완료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임상은 영국 8개국 75개 임상 사이트에서 환자 560여명을 대상으로 동시 진행되는 것으로 계획됐다. 다만 50여개 사이트로만 환자 모집을 완료해 글로벌 3상 역시 조기 마무리를 기대하게 됐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과거 램시마 임상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오는 4월 17일부터 19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보건산업 일자리 매칭 지원 행사인 '2019 바이오 잡페어(2019 BIO JOB FAIR)'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올해 6회를 맞은 이번 채용박람회에는 한미약품, 코아스템, 한독, 바이넥스, JW중외제약, 유영제약 등 제약·바이오기업 30여개가 참가해 직무상담 및 다양한 분야에서 신입 및 경력사원을 채용할 계획이다. 특히 18일에는 한미약품, 한스바이오메드, 한국머크, 그리고 19일에는 오스템, 루트로닉, 사이넥스, 메드트로닉 등 국내외 우수 기업들의 2019년
한국 바이오제약산업의 미래와 이 산업에 대한 정부의 정책기조를 보여주는 두가지 단적인 사건이 거의 동시에 발생했다. 보건복지부의 제네릭 약가제도 개편방안 발표와 이에 앞선 첨단재생의료·첨단바이오의약품법의 보건복지위원회 법안심사소위 통과다. 제네릭(복제약)은 억제하고 신약개발은 돕겠다는 것이 핵심 골자다. 보건복지부는 27일 '제네릭(복제약) 의약품 약가제도 개편방안'을 발표했다. 이 방안의 내용은 제네릭 의약품의 관리수준을 강화해 약가를 인하함과 동시에 제네릭의 신규 진입(난립)을 억제하겠다는 것이다. 현재 제네릭의약품은 일률적으로
에이치엘비가 진양곤 대표이사의 사임과 함께 김하용·김성철 각자대표 체제로 변경됐다. 3상 결과 발표와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 신청을 앞둔 표적항암제 리보세라닙의 성공을 위해 전문경영 체제를 강화한 것으로 보인다. 에이치엘비는 27일 진양곤 대표이사(회장)에서 김하용·김성철 각자 대표이사로 변경됐다고 공시했다. 최대주주인 진 대표는 일신상의 사유로 사임했다고 밝혔다. 김하용·김성철 대표는 에이치엘비 계열사인 에이치엘비생명과학, LSK Biopartners의 대표이사를 맡고 있다. 에이치엘비생명과학은 지난해 부광약품으로부터 경구
지엘팜텍이 오는 4월부터 신경병성통증치료제 '프레가발린 서방정'을 국내 출시한다. 프레가발린 서방정은 블록버스터 신경병증성 통증치료제 리리카(성분명 프레가발린)의 복용편의성을 개선한 제품으로 지난 1월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품목허가를 획득했다. 27일 회사측에 따르면 지엘팜텍의 ‘카발린CR정’과 크라운제약에서 상호가 변경된 지엘파마의 ‘슈프레가CR서방정’이 오는 4월 1일부터 국내 CJ헬스케어와 일동제약을 통해 발매된다. 두 제품은 지난 22일 건강보험 약가(150mg 770원, 300mg 987원)가 고시됐다. 지엘팜텍과 기술이전 계
한독은 이중항체 전문 회사인 에이비엘바이오와 이중항체 기반 신약의 국내 임상시험 및 상용화를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한독은 에이비엘바이오의 이중항체 기반 신약 과제 중 국내 임상1a상을 진행 중인 신생혈관 억제 항암항체 'ABL001'을 포함해 T세포를 끌어드리는(T cell engager) 메커니즘의 이중항체, 이중항체 기반 면역항암제 등 3개 과제에 대한 한국시장의 임상시험 및 상용화에 대한 독점적 권한을 확보하게 됐다. 또한 한독은 추가적으로 4개의 퇴행성뇌질환 치료제, 면역항암제 신약 과제에 대해
JW생명과학의 3세대 종합영양수액제가 유럽시장에 본격 진출한다. 아시아권 제약사가 종합영양수액제로 유럽의 관문을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JW홀딩스의 자회사 JW생명과학은 미국 박스터가 영국, 네덜란드, 벨기에 등 유럽 국가로부터 3체임버 종합영양수액제 피노멜주(FINOMEL, 국내 제품명 위너프)에 대한 품목허가를 획득했다고 27일 밝혔다. 박스터는 수액제 분야 세계 최대 기업으로 JW생명과학이 생산하는 피노멜주에 대한 글로벌 판권을 확보하고 있다. JW생명과학과 박스터는 작년 4분기 유럽 판매를 위한 통합승인절차(DCP, D
지노믹트리의 코스닥 상장 첫날, 핵심 제품인 대장암 진단키트 'EarlyTect-Colon Cancer'의 임상 결과가 공개됐다. 연구결과 대변에 포함된 DNA 분석을 통해 대장암 가능성을 90% 이상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노믹트리의 대장암 진단키트는 2018년 8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3등급 의료기기로 허가받았다.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김남규·한윤대 교수팀(대장항문외과)은 27일 지노믹트리와 진행한 새로운 대장암과 대장용종 조기 진단 검사법에 대한 임상결과를 공개했다. 연구결과는 세계적 후생유전학 학술지인 'Clinic
씨제이헬스케어의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정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확인한 임상연구 논문이 SCI급 국제 학술지에 발표됐다. 기존에 처방되고 있는 PPI(proton pump inhibitor) 계열 약물인 에스오메프라졸 대비 약물과 비교한 연구결과다. 씨제이헬스케어는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정(성분명 테고프라잔)의 임상 3상 결과가 지난 13일자 SCI급 의학저널인 AP&T(Alimentary Pharmacology & Therapeutics(ISSN: 0269-2813), IF: 7.357)에 등재되었다고 27일 밝혔다. 케이캡
지노믹트리가 미국시장 진출을 본격화한다. 지노믹트리는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용 임상시험 및 글로벌 기업과 협업 등 사업확장을 위해 지분율 100%의 미국 현지법인을 설립한다고 지난 26일 공시했다. 법인명은 지노믹트리의 후성유전학 바이오마커를 뜻하는 '에피'에, 약속이라는 '프로미스'를 합한 '에피프로미스헬스(Epipromis Health)'로 지었다. 지노믹트리는 에피프로미스헬스에 1000만달러(약 113억4900만원)을 출자키로 했다. 자기자본의 9.45%에 해당하는 수치다. 지노믹트리는 27일 코스닥시장에 신규상장한다
메디포스트는 골관절염치료제 카티스템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약물과 인과관계가 있는 중대한 약물이상반응 발현이 전혀 없는 등 안전성을 재확인 받아 의약품 재심사를 통과했다고 26일 밝혔다. 메디포스트는 의약품 허가사항 변경 지시와 관련 작년 4월 PMS(시판 후 조사) 615례를 완료해 식약처에 모든 이상사례를 제출했으며 재심사(허가의약품은 시판 일정 기간 후 재심사를 받아야 함) 결과에 따라 ‘사용상 주의사항’에 해당하는 허가사항이 변경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PMS 결과 통증, 두통, 가려움증, 말초부종 등 약물 이상반응 발현
티앤알바이오팹이 26일 통합형 3차원 세포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세포 배양체 제조 방법에 대한 국내 특허 등록을 완료했다. 이 특허기술은 3D 세포 프린팅 방식을 통해 다공성 3차원 구조체와 진피 및 표피세포 등 피부구성 세포를 프린팅하는 기술로 '생체 외 피부모델' 즉 인공피부를 제작하는 기법이다. 비교적 두꺼운 진피층 제작을 위한 토출형 프린팅 방식과 얇은 표피층 제작에 유리한 잉크젯 프린팅 방식을 함께 사용할 수 있는 통합형 바이오프린팅 기술을 통해 실제 피부와 유사한 구조적인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이 큰 특징이다. 또한
삼천당제약이 개발중인 황반변성치료제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의 일본 독점 판매권을 일본 다케다그룹사인 센주(SENJU)제약에 기술이전했다. 개발단계에 따라 총 4220만달러(480억원)를 수령하는 것과 동시에 매출총이익(매출액-매출원가)의 50%를 경상기술료로 받는 조건이다. 삼천당제약은 26일 공시를 통해 센주제약과 아일리아 일본 독점판매권 및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삼천당제약은 2013년부터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를 개발해왔다. 현재 2000리터 규모의 스케일업 완료 후 올해 상반기 내 전임상을 완료하고 하반기 미국 식품의약국
강스템바이오텍이 SK바이오랜드와 아토피치료제 '퓨어스템 AD주'의 국내 독점판매계약을 맺었다. 강스템바이오텍은 줄기세포치료제인 퓨어스템AD주의 생산기술도 이전해 SK바이오랜드와 공동생산체제도 구축할 계획이다. 강스템바이오텍은 26일 공시를 통해 SK바이오랜드에 아토피피부염 치료제 퓨어스템AD주의 국내 독점 판권 부여 및 생산기술이전에 관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퓨어스템 AD주는 강스템바이오텍이 독자개발한 줄기세포 아토피치료제로 작년 말 임상 3상 환자 투여를 종료했으며 올해 하반기 임상 결과 발표가 예정돼 있다. 강스템바이오텍
삼성에피스홀딩스, 바이오 '플랫폼 개발' 자회사 설립
에이비엘, '이번엔' 릴리에 'BBB 플랫폼' 26억弗 L/O
올릭스, ‘MyD88 RNAi’ 황반변성 1상 “최종결과 수령”
[인사]일동제약 임원 인사
큐로셀, 서울대서 '고형암 CAR-T' 기술독점권 사들여
‘난항 속’ 라이엘, 中서 대장암 ‘GCC CAR-T’ 사들여
길리어드, ‘트로델비’ 유방암 3상 “PFS 실패”..또 타격
루카스, ‘바이러스 세포치료제’ 접근법 “개발 전략은?”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인사]삼양그룹, 정기 임원인사 및 조직개편
씨어스, 디지털 기반 "글로벌 의료격차 해소" 비전
[기고]『아웃포스트』, 신약개발 최전선을 기록하다
삼진제약, 복지부 'AI신약개발사업' 공동기관 선정
프리시젼 美자회사, '코로나19 진단' 북미 공급계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