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elltrion announced on the 2nd of January that it had applied for a global patent for Remsima SC (CT-P13 SC), a subcutaneous injection of antibody bio-similar Remsima (component name infliximab) for the treatment of autoimmune diseases. At the end of last year, Celltrion had filed patent application
캔서롭은 자회사 엠제이셀바이오(MJ Cellbio)가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과 ‘PA(Protective Antigen, 감염방어항원)를 이용한 CAR-T 개발 기술’에 대한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엠제이셀바이오는 캔서롭이 지난해 4월 100% 지분을 투자해 설립한 유전자 검사 및 검사장비 개발 업체다. 이번 계약은 엠제이셀바이오와 고려의대 이경미 교수(생화학분자생물학교실) 연구팀 간에 이뤄졌다. 엠제이셀바이오는 이번 기술이전 계약을 통해 고형암을 공격할 수 있는 ‘PA 기반 CAR-T 개발 기술’과 관련된 특허
미국 재즈 파마슈티컬스(Jazz pharmaceuticals)가 올해 솔리암페톨(Solriamfetol)의 미국, 유럽 허가를 기대했다. 솔리암페톨은 SK바이오팜이 개발해 기술이전한 수면장애신약이다. 시장조사기관인 이벨류에이트파마는 2020년 솔리암페톨이 1억3800만달러 매출을 올릴 것으로 전망했다. 재즈 파마슈티컬스(Jazz pharmaceuticals)의 브루스 코자드(Bruce Cozadd) CEO는 최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에 참여해 이같은 전망을 내놨다. 재즈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지엘팜텍이 블록버스터 신경병증성 통증치료제 리리카(성분명 프레가발린)의 개량신약 개발과 품목허가 획득에 성공했다. 2012년 7월 임상 1상 승인 이후 약 8년만에 독자기술로 제품개발을 완료한 것이다. 특히 지엘팜텍이 개발과정에서의 기술이전한 국내 다수 제약사가 이번에 동시 품목허가를 받아 프레가발린 개량신약 시장 활성화와 이에 따른 경상기술료 수입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 11일 지엘팜텍의 신경병증성 통증치료제 개량신약 '카발린CR서방정150mg/300mg(프로젝트명 : GLA5PR)'
국내 체외·예후진단기업 젠큐릭스가 코스닥 이전상장을 위한 예비심사를 청구했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젠큐릭스는 지난 10일 한국거래소에 코스닥 상장을 위한 예비심사 청구서와 감사보고서 등 필요서류 제출을 완료했다. 젠큐릭스는 지난 3일 이사회 의결을 거쳐 코스닥 이전상장 계획을 공시했으나 이후 상장예비심사 청구 일정을 3월로 한 차례 연기했다. 하지만 이날 상장예비심사 청구서 제출을 완료하며 당초 계획대로 증시 상장을 정상적으로 추진하게 됐다. 젠큐릭스 관계자는 "청구서 제출 관련 규정 해석에 이슈가 있었으나 거래소와 협의 끝에
한미약품이 정보보호 경영시스템 국제표준인 ISO27001 인증을 획득했다. 국내 제약업계 최초로 한미약품은 이로써 품질(ISO9001)과 환경(ISO14001), 반부패(ISO37001) 분야 등 총 4개의 국제표준 인증을 확보하게 됐다. 한미약품은 10일 우종수 대표이사와 닉 메타(Nick Metha) 주한영국대사관 부대사, 이종호 BSI(영국표준협회) Korea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ISO27001 인증식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ISO27001은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제정하는 정보보호 경영시스템에 대한 국제표준으로 인증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치료제 시장의 첫 깃발은 누가 꼽을 것인가. 인터셉트 파마슈티컬즈(Intercept pharmaceuticals), 길리어드(Gilead), 장피트(Genfit), 앨러간(Allergan) 등이 NASH 임상 3상에 속도를 내고 있다. 미국 뉴욕의 신약개발기업 인터셉트는 9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된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에서 NASH 치료제 ‘OCA(Obeticholic acied)’의 개발 진행 상황에 대해 발표했다. 마크 프루잔스키(Mark Pruzanski) 인터셉트 CEO
LG화학이 미국 보스턴에 글로벌 이노베이션 센터를 열었다. LG화학은 이 센터를 통해 현지 임상 개발은 물론 오픈이노베이션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손지웅 LG화학 생명과학사업본부장은 9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에서 LG화학의 바이오사업의 현황과 향후 전략을 소개했다. 손 본부장은 LG화학이 37년간 축적한 연구개발(R&D) 역량, 글로벌 수준의 생산공정 기술, 합성의약품·바이오의약품 및 백신 등 폭넓은 분야에서의 글로벌 상업화 경험 등을 주요 경쟁력으로 강조했다. 또한 LG화학은 중점 연구
티움바이오가 설립된지 2년만에 기술수출 성과를 냈다. 티움바이오는 이탈리아에 있는 글로벌 제약사 키에지(Chiesi Farmaceutici) 그룹에 TGF-β(transforming growth factor β) 저해 저분자화합물인 'NCE401'를 주요 폐질환 적응증에 대한 글로벌 임상개발 및 상업화 권리를 라이선스 아웃했다고 10일 밝혔다. 티움바이오는 계약금 100만달러를 포함해 마일스톤에 따라 총 7400만달러(약 827억원)를 받는다. 상업화 이후에는 한자릿수의 로열티를 받는 조건이다. 한가지 주목할 점은 이번 딜은 폐질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이 글로벌 투자자들 앞에서 바이오시밀러 직접판매 네트워크 구축, 케미컬의약품 사업 확대, 중국 진출, 해외 거점 마련 등 셀트리온의 공격적인 비전을 제시했다.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이 9일(현지 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된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에서 셀트리온그룹의 주요 사업계획 및 바이오시밀러 파이프라인, 마케팅 전략 등을 공개했다. 셀트리온은 올해 최초로 높은 경쟁력과 성장성을 보유한 다국적 제약사들이 참여하는 메인트랙(Main Track)에서 발표를 진행했다. 서 회장은 램시마와 트룩시마
툴젠은 미국에 설립한 조인트벤처 ‘Ngene Therapeutics’의 전략적 투자자 및 파트너로서 NYSCF(뉴욕줄기세포재단)를 유치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합의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에서 이뤄졌으며 NYSCF의 투자금액과 지분율은 공개하지 않기로 했다. Ngene Therapeutic은 툴젠과 nSAGE가 미국 메릴랜드주에 설립한 합작회사(Joint Venture)로 급성 간염, 다양한 신경 염증 질환 및 기타 질병에 대해 유전자교정 기술을 기반의 줄기세포치료제를 개발하는 기업이다. 1대 주주
삼성바이오로직스가 글로벌 투자자 앞에서 국내 회계 이슈에 대해 적극적으로 해명했다. 또한 올해 18만리터 규모의 3공장 수주물량을 50% 이상 확보하겠다는 구체적인 목표를 제시하는 등 글로벌 CDMO로 성장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 김태한 삼성바이오로직스 사장은 9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리고 있는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에서 글로벌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2019년 목표와 비전을 제시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17년 한국 기업으로 최초로 메인트랙(Main Track)을 배정받은 데 이어 올해는 가장 큰 규모의
한미약품이 올해 폐암신약 후보물질 포지오티닙의 중국 독자 임상에 들어간다. 작년 첫 공개한 이중항체 플랫폼 펜탐바디를 이용한 새로운 표적-면역 항암신약의 글로벌 임상도 본격화된다. 권세창 한미약품 대표는 9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제37회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 기업설명회에서 "(올해) 글로벌 경쟁력을 가진 탄탄한 R&D를 통한 도약을 본격화하겠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한미약품은 이날 비만 당뇨 NASH(비알콜성 지방간염) 항암 희귀질환 분야에서 공격적인 임상을 전개하는 2019년도 R&D전략을 소개했다. 권
휴젤은 '보툴리눔 독소에 대한 마이크로 구조체 제형화 기술'을 특허 등록 완료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에 특허 등록한 기술은 마이크로 니들, 마이크로 블레이드, 마이크로 나이프 등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구조체에 사용목적에 맞게 보툴리눔 톡신을 제형화해 피부에 침투시키는 기술이다. 휴젤은 이번 특허 기술을 적용해 마이크로 니들을 활용한 ‘패치형 보툴리눔 톡신’에 대한 임상을 진행하고 이를 상용화할 계획이다. 패치형 보툴리눔 톡신은 패치에 부착된 미세침에 톡신을 코팅한 제품으로 톡신의 농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정량의 톡
한독과 제넥신은 미국 ‘레졸루트(Rezolute)’에 2천5백만 달러(약 280억원)를 공동투자(50:50)해 지분 총 54%를 확보하고 최대주주로 올라섰다고 8일 밝혔다. 이번 투자는 오픈 이노베이션으로, 한독과 제넥신은 레졸루트가 쌓아온 바이오의약품 개발 경험을 확보하고 미국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했다는 설명이다. 레졸루트는 2010년 설립된 바이오의약품 개발회사로 대사성 희귀질환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현재 레졸루트는 초희귀질환인 선천성 고인슐린혈증 치료제의 미국과 유럽 임상 2b상 진행을 앞두고 있다. 또, 당뇨병성 황
메디포스트는 미숙아 기관지폐이형성증 치료제 ‘뉴모스템’의 미국 임상 1/2상이 종료됐다고 8일 밝혔다. 동종 제대혈 유래 중간엽줄기세포가 주성분인 ‘뉴모스템’은 기관지폐이형성증 예방 및 치료제로 개발 중이다. 기관지폐이형성증(Bronchopulmonary dysplasia)은 인공환기요법과 산소치료를 받았던 미숙아 환자에서 발생하는 만성 폐질환으로 미숙아 사망의 주요 원인 중 하나다. 메디포스트는 지난 2014년 9월 미국 임상1/2상 승인을 획득한 후 2016년 6월 1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투여를 실시했다. 저용량과 고용량
길리어드 "여지없이", in vivo CAR-T '선두' 3.5억弗 인수
그래디언트, 동아ST와 '항암∙뇌질환' AI 신약연구 MOU
슈뢰딩거, ‘CDC7 저해제’ AML 1상 “2명 사망, 중단”
유빅스, 코스닥 기평 'A, A' 통과.."하반기 예심청구"
일리미스, 중기부 과제선정.."데이비드 베이커 협력"
셀덱스, 'KIT 항체' 식도염2상 '1차 달성'에도 "중단"
CSL, 백신부문 '시퀴러스' 분사..인력 15% 해고
소마 "또", '좀비 바이오텍' 뮤럴 3620만弗 "인수"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차백신연구소, 대표이사에 한성일 부사장 내정
HLB 엘레바, 브라이언 김 신임 대표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아이엠바이오, 中진퀀텀과 '다가결합 ADC' 공동개발
코어라인, 220억 '멀티모달 의료AI’ 국책과제 참여
한국릴리, ‘마운자로’ 비만 수면무호흡증 "국내 승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