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에서도 아동 6명 중 1명은 1종 이상의 발달지연 및 장애를 겪고 있다. 하지만 이 중 93.7%의 아동이 적절한 진단 및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다." 최예진 두브레인(dobrain) 대표가 회사를 창업하게 된 이유다. 두브레인은 진단 및 치료를 제대로 받지 못하는 아동들에게 데이터 기반 인공지능(AI) 처방 시스템을 제공하는 회사다. 아이들의 발달 수준을 진단하고, 이를 통해 비장애 아동일 경우 인지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장애아동으로 진단될 경우에는 발달 테라피를 제공한다. 두브레인이 장애를 진단하는 방법은 간단할 뿐만
에이치엘비생명과학이 중국 항서제약(江苏恒瑞医药股份有限公司)과 표적항암제 ‘파이로티닙(Pyrotinib)'의 한국 독점 라이선싱(Licensing) 계약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에이치엘비생명과학은 국내에서 유방암 및 폐암을 포함한 다양한 암종에 대한 치료제로서 파이로티닙의 임상개발 및 판매 등에 대한 독점적인 권리를 확보하게 됐다. 파이로티닙은 항서제약이 자체 개발한 저분자 화합물로 EGFR/HER2/HER4를 타깃으로 하는 경구용 표적항암제다. 중국에서는 2018년에 허셉틴 치료경험 여부와 상관없이 HER2 양
옵토레인의 디지털실시간PCR(Digital realtime PCR)이 바이오라드(Biorad)의 디지털PCR과 성능을 비교한 결과 DNA와 RNA 검출 민감도가 각각 2배, 3배 더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바이오라드는 디지털PCR 부분을 리드하는 글로벌 기업이다. 배영경 표준과학연구원 박사팀이 옵토레인의 디지털PCR ‘LOAA(Lab On An Array)’와 바이오라드(Biorad)의 디지털PCR ‘QX200’의 성능을 비교한 결과를 온라인으로 개최된 대한진단검사의학회 국제학술대회(LCME 2020)에서 발표했다고 옵토레인은 2
한미사이언스는 28일 열린 임시 주주총회에서 한미약품그룹 송영숙 회장과 한미약품 임주현 부사장을 사내이사로 의결했다. 한미사이언스는 이후 이사회를 열고 송영숙 사내이사를 임종윤 대표와 함께 한미사이언스 각자 대표로 선임했다. 임 대표는 이날 "송 회장의 한미사이언스 대표이사 취임과 임주현 부사장의 사내이사 선임으로, 한미약품그룹의 미래를 향한 도전을 힘차게 추진할 수 있게 됐다”며 "이를 통해 한미약품그룹이 지속가능한 모범적인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한국 나아가 아시아를 대표하는 헬스케어 기업으로 성장하는데 큰 힘이 될 것”이라고
뷰노는 패혈증 발생을 최대 12시간 이전 예측하는 자체 개발 딥러닝 알고리즘에 대한 논문이 국제 학술지 ‘세계중환자의학회지(Critical Care Medicine, CCM)’에 게재됐다고 28일 밝혔다(doi: 10.1097/CCM.0000000000004583). 이병탁 뷰노 생체신호팀 연구원 겸 논문 주저자는 “패혈증 예측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잦은 측정이 어려운 의료 데이터의 누락을 보완하고자 GCN기술을 도입해 정확도를 높일 수 있었다”고 말했다. 발표에 따르면, 뷰노는 딥러닝 기술 중 하나인 그래프 합성곱 신경망(
일리아스바이오로직스가 240억원 규모의 시리즈B를 마무리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투자 유치에는 HB인베스트먼트, 타임폴리오자산운용, 대덕벤처파트너스 등 기존 기관투자자와 더불어 코스닥 상장사인 쎄니트, 에셋원자산운용, 데브시스터즈벤처스, 대신증권, 키움증권, 메리츠증권, 한양증권/열림파트너스, 지니자산운용, 기타 개인투자자 등이 새로 참여했다. 일리아스는 2018년 5월 183억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를 유치한 바 있다. 일리아스는 엑소좀 기반 치료제 및 플랫폼 기술의 연구개발, 생산공정개발에 이번 투자금을 사용할 계획이다.
바이오의약품 위탁개발생산기업(CDMO) 바이넥스는 광동제약, 제넥신, 에이비엘바이오, 키움증권 등으로부터 전환사채(CB)와 교환사채(EB)을 발행하여 총 500억원의 자금을 조달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자금조달은 단순 재무적 투자자(FI)보다 다양한 사업 시너지 창출이 가능한 전략적 투자자(SI)의 투자비율이 높다고 설명했다. CB 투자자로는 바이넥스 지분의 5.01%를 보유한 광동제약(200억원)과 제넥신(50억원), 에이비엘바이오(30억원) 등이 전략적 투자자로 참여했다. 그밖에 키움아이온코스닥스케일업 창업벤처전문 사모투자
일동제약이 새로운 기전의 편두통 치료제 ‘레이보우(Reyvow, lasmiditan)’ 출시를 위한 가교 임상3상을 진행한다. 내년 상반기 임상을 마치고, 오는 2022년 출시가 목표다. '레이보우'는 일라이 릴리(Eli Lilly)가 개발해 지난해 10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승인받은 새로운 기전의 급성 편두통 치료제다. 일동제약은 국내를 포함해 아세안 8개국의 레이보우 판권을 가지고 있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일동제약이 최근 급성 편두통 치료제인 5-HT1F 작용제 ‘레이보우’의 가교임상 3상 환자등록을 완료했다. 일
JW중외제약이 국내 개발 및 판권을 가지고 있는 신성빈혈치료제 신약이 일본에서 시판허가를 받았다. JW중외제약은 일본의 재팬 타바코(Japan Tobacco)가 Inc., 이하 JT)’가 후생노동성(MHLW)으로부터 신성빈혈치료제 ‘애나로이(JTZ-951)’에 대한 제조 및 판매 승인을 받았다고 28일 밝혔다. JW중외제약은 지난 2016년 재팬 타바코와 애나로이에 대한 국내 개발 및 상업화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임상시험 승인현황에 따르면 JW중외제약은 2018년 8월에 애나로이의 국내 임상3상을 승인받아,
인벤티지랩은 28일 대웅제약과 장기지속형 남성형탈모치료제인 ‘IVL3001’과 ‘IVL3002’ 공동개발 및 상업화 계약을 체결하였다고 밝혔다. 계약에 따라 대웅제약은 인벤티지랩과 해당 파이프라인을 공동 개발하고 국내 및 해외 국가에서 판매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지게 된다. 인벤티지랩은 마일스톤 달성에 따른 기술료 및 제품 상업화시 일정비율의 로열티를 대웅제약으로부터 받게 된다. 게약금액은 공개되지 않았다. 인벤티지랩과 대웅제약이 공동개발 하기로 한 파이프라인은 1개월 및 3개월 지속형 남성형탈모치료제 IVL3001과 IVL3002
박셀바이오와 와이바이오로직스가 범용성 CAR(Universal Chimeric Antigen Receptor) 세포치료제 개발을 위한 전략적 제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박셀바이오와 와이바이오로직스는 CAR 세포치료제를 임상단계까지 공동개발한다. 박셀바이오는 항암면역치료플랫폼 ‘Vax-CARs’와 와이바이오로직스의 항체 기반 기술의 융합을 통해 ▲CAR에 사용되는 scFv의 안정적인 확보 및 이를 이용한 새로운 치료제 개발 ▲새로운 항원인식부위의 고도화 등을 목표로 한다. 박셀바이오는 공동개발을
LG화학은 미국에서 임상1상 진행중인 신약과제 ‘LB54640’이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유전성 비만 치료제로 '희귀의약품 지정(Orphan Drug Designation)'을 받았다고 28일 밝혔다. LB54640은 G단백 결합 수용체 일종인 MC4R 타깃하는 기전의 경구용 비만 치료제다. MC4R 작용 경로에 이상이 생기면 배고픔이 지속되는 과식증으로 인해 비만이 심화된다. LG화학은 LB54640 전임상 결과에서 식욕 및 체중 감소 효과와 중추신경계(CNS), 심혈관계 부작용이 없어 약물 안전성을 확인했다. 또한 1
씨젠은 최근 유엔(UN) 산하 유니세프(UNICEF)와 코로나19 진단키트에 대한 장기 공급 계약(LTA, Long Term Agreement)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장기 공급 계약 체결로 지난 4월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은 실시간 유전자 증폭(Real-time PCR) 기반 코로나19 진단 키트인 ‘Allplex 2019 nCoV Assay’를 최대 2년 간 유니세프를 통해 제공하게 된다. 이번 계약은 발주기관인 유니세프와 유엔개발계획(UNDP), 유엔프로젝트조달기구(UNOPS) 등 유엔의 다른 기관 공
유틸렉스는 중국 파트너사인 절강화해제약(Zhejiang Huahai Pharmaceutical)으로부터 4-1BB 항체 'EU101'의 중국 임상 IND가 CFDA로부터 승인되었다는 통지를 받았다고 28일 밝혔다. 유틸렉스는 2017년 절강화해제약에 EU101을 총 규모 850만달러(약 99억6960만원)에 라이선스아웃하면서, 3000만달러 지분투자를 받은 바 있다. 유틸렉스는 절강화해제약으로부터 원숭이 독성실험 완료 이후 이번에 두번째 마일스톤을 받게 될 예정이다. 이번 EU101의 임상1상은 고형암 환자 19명을 대상으로 진행
지난해 12월 설립된 사이러스 테라퓨틱스(Cyrus Therapeutics)가 당뇨병 치료제 및 표적항암제 연구개발(R&D)를 위해 100억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 유치를 마무리했다고 28일 밝혔다. 시드 투자까지 포함한 누적 투자금 조달규모는 110억원에 달한다. 이번 시리즈A에는 파라투스인베스트먼트, 코오롱인베스트먼트, 타임폴리오자산운용 등 3곳이 참여했다. 사이러스는 이번 투자금을 대사질환을 타깃한 ‘best-in-class’ 경구용 GLP-1 당뇨병 치료제 전임상 연구와 ‘first-in-class’ 항암제 후보 도출 연구
셀트리온그룹이 셀트리온, 셀트리온헬스케어, 셀트리온제약 등 3사의 합병계획을 발표했다.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은 이를 위한 사전작업의 하나로 25일 셀트리온헬스케어 보유 주식(38.04%)을 현물출자해 '셀트리온헬스케어홀딩스'를 설립했다. 셀트리온그룹은 적격합병 요건이 갖춰지는 즉시 셀트리온홀딩스와 헬스케어홀딩스의 합병을 추진, 2021년 말까지 셀트리온그룹의 지주회사 체제를 확립한다는 방침이다. 이는 소유와 경영의 분리 및 지배구조 강화를 위한 조치라고 그룹측은 설명했다. 셀트리온그룹은 이날 공시를 통해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
알테오젠, '상온보관 가능' 新히알루로니다제 "특허출원"
MASH서 "첫 GLP-1" 등장..노보노 '위고비' 美가속승인
컴패스 "이중항체 진전 다음날", 나스닥서 1.2억弗 조달
노바티스 "또", 'BAFF-R 항체' ITP 3상도 "성공"
차백신연구소, 대표이사에 한성일 부사장 내정
美퓨어텍, ‘중수소화 퍼페니돈’ 분사..”IPF 3상 추진”
보어, 레미젠 'BAFF/APRIL' 쇼그렌 中3상 “성공”
리스폰스, 사노피서 L/I ‘iMTP 저해제’ 비만2상 "긍정적"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HLB 엘레바, 브라이언 김 신임 대표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온코닉, ‘PARP/TNKS 저해제’ 췌장암 2상 IND 제출
한미약품, '롤론티스' 자가투여 "오토인젝터 제형 개발"
이엔셀, ‘MSC세포’ CMT 1b/2a상 “IND 변경신청”
동국제약, 삼양바이오팜과 '니코스탑' 공동 프로모션
지니너스, 상반기 매출 52억..전년比 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