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젠텍이 28일 102종의 알레르기 여부를 동시에 진단할 수 있는 알레르기 동시진단시약 ‘SGTi-Allergy screen’과 전자동 분석시스템 ’S-Blot3’에 대한 한국 식약처 승인 및 유럽 CE 인증을 마쳤다고 밝혔다. 수젠텍은 두 제품을 국내외 시장에 출시한다. 수젠텍이 개발한 알레르기 진단시약은 소량의 혈액으로 한번에 102종의 알레르기 유발물질에 대한 알레르기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이는 지난해 4월 제정된 체외진단의료기기법 기준으로 승인된 국내 최초의 알레르기 진단제품이라는 설명이다. 또, 혈액과 시약만 넣으면
셀트리온이 피하주사 제형으로 바꿔 출시한 인플릭시맵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램시마SC'와 정맥주사 제형 '램시마'의 비교임상에서 제형변화에 따른 면역원성의 차이가 없음을 확인했다. 셀트리온은 지난 24일부터 온라인으로 개최된 2020 아시아태평양 류마티스학회(APLAR, Asia Pacific League of Associations for Rheumatology)에서 '램시마SC'의 RA(Rheumatoid Arthritis, 류마티스 관절염) 임상 3상 결과를 발표했다. APLAR는 매년 4,000여 명 이상의 아시아태평양 지역
지놈앤컴퍼니의 주력 파이프라인인 면역항암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GEN-001'의 미국 임상에서 환자 대상 투약을 시작해 본격적인 첫 임상시험에 돌입했다고 27일 밝혔다. 아시아 마이크로바이옴 신약개발 기업 가운데 최초로 암환자 대상 마이크로바이옴과 면역항암제를 병용하는 임상에 들어간 건이라는 회사측의 설명이다. GEN-001은 지놈앤컴퍼니의 하루 한번 경구투여하는 마이크로바이옴 후보물질이다. 건강한 피험자의 장에서 분리·규명한 장내미생물(Lactococcus lactis)을 캡슐로 전달하는 형태로 약물당 1x10^11 CFU 이
삼성바이오에피스가 27일 레미케이드 바이오시밀러 ‘렌플렉시스(RENFLEXIS, infliximab)’의 처방 결과를 바탕으로 한 리얼월드 데이터(real world data)를 공개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지난 2017년 미국에 렌플렉시스 출시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지난 23~28일 비대면으로 진행되고 있는 미국 소화기내과 학회(ACG)1) 연례 학술대회에서 인플릭시맵 성분의 오리지널 의약품 및 타 바이오시밀러 제품에서 렌플렉시스로 전환처방(switching)한 사례를 연구한 결과 총 2건을 e-포스터 형식으로 발표했다. 이번
한미약품이 스펙트럼에 라이선스 아웃한 바이오신약 ‘롤론티스’에 대한 미국 식푹의약국(FDA) 허가일정을 잠정 연기됐다고 27일 밝혔다. 코로나19 전세계 확산에 따른 미국 공무원 해외출장 제한 규정 으로 불가피하게 한국 실사(평택 바이오플랜트 대상)를 하지 못해 지난 24일로 예정됐던 롤론티스 허가일을 지킬 수 없었기 때문이라는 회사측의 설명이다. 파트너사인 스펙트럼은 26일(현지시각) “FDA로부터 ‘한국 실사 완료 때까지 롤론티스 허가를 잠정 연기한다’는 통보를 받았다”며 “실사를 신속히 진행할 수 있는 방법을 FDA와 함께
Qu-BEST BIO announced that the company successfully invited an investment of 9-Billion KRW for Series B on October 15, 2020. This succeeds an initial investment of 4-Billion KRW for Series A two years ago. By following the investment for “Series A”, the Korea Investment Partners Co., Ltd. and SBI I
JW홀딩스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중국에 3체임버 종합영양수액제를 기술이전했다. JW홀딩스는 중국 뤄신제약그룹(Luoxin Pharmaceutical Group Stock)의 자회사인 산둥뤄신제약그룹(Shandong Luoxin Pharmaceutical Group Stock, 산둥뤄신)과 3체임버 종합영양수액제 ‘위너프’에 대한 기술수출 및 공급 계약(Exclusive License and Distribution Agreement)을 체결했다고 26일 공시했다. 계약에 따라 JW홀딩스는 산둥뤄신으로부터 반환 조건 없는 선급금 500
국내 임상1상 진행중인 GC녹십자의 혈우병 후보물질 'MG1113'의 전임상 결과가 나왔다. GC녹십자가 피하주사(Subcutaneous Injection)가 가능한 항체 기반 혈우병 치료제 MG1113의 치료효과를 확인한 연구결과를 Research and Practice in Thrombosis and Haemostasis에 게재했다고 26일 밝혔다(DOI: 10.1002/rth2.12438). 이번 연구는 목암생명과학연구소와 공동으로 진행했다. 혈우병은 혈액내 응고인자가 부족해 발생하는 출혈성 질환이다. 현재 치료법으로 체내의
헬릭스미스는 김선영 대표가 보유하고 있던 주식 30만주를 블록딜(시간외 대량매매) 방식으로 매각했다고 26일 공시했다. 김 대표는 “그간 유상증자에 참여하며 140억원 상당의 주식담보대출이 있었는데, 그 중 50억원을 26일까지 상환해야 했다. 대출 연장을 위해 노력했으나, 증권사로부터 불가 입장과 27일 반대매매를 통보받았다. 주주들에게 송구함을 금치 못하지만, 시장에 줄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블록딜을 결정했다. 현재 진행 중인 유상증자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회사가치 상승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마크로젠은 26일 디엔에이링크, 테라젠바이오의 3사가 함께 구성한 컨소시엄이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시범사업(K-DNA)’의 최종 사업자로 공식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컨소시엄의 주관기관인 마크로젠 등 3사는 지난 13일 K-DNA 최종 사업자로 최종선정된데 이어 23일 공식계약을 체결했다.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시범사업’은 보건복지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가 2년 동안 총 2만명 이상의 임상정보와 유전체 데이터를 구축하는 범부처사업이다. 3사 컨소시엄은 내달부터 채취된 검체를 수령, 본격적인 유전체
“항암제 개발의 역사를 보면, 현재 표적항암제 시대를 지나 면역항암제 시대에 있으며, 그리고 다음세대에는 RNA 표적항암제의 시대가 될 것이다.” 남석우 게코바이오랩 대표는 지난 21일 서울 용산 드래곤시티호텔 백두홀에서 온/오프라인으로 개최된 제 6회 K-BIC STAR DAY에서 이같이 말했다. K-BIC STAR DAY는 한국보건산업진흥원(Khidi)와 보건산업혁신창업센터(KBIC)이 주관해 투자가 필요한 보건산업분야의 우수창업기업 발굴 및 투자유치 지원을 목표로 열리고 있는 행사다. 이날 발표에는 게코바이오랩, 프로본바이오
휴젤이 보톨리눔 톡신 글로벌 시장 확대를 위해 제3공장 건설에 들어간다. 휴젤은 26일 강원도 춘천 거두농공단지 내 신공장 부지에서 자사 보툴리눔 톡신 생산 확대를 위한 제3공장 기공식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지난 21일 진행된 기공식에는 손지훈 휴젤 대표집행임원, 한선호 부사장, 권순우 부사장을 비롯한 휴젤 주요 임직원과 제3공장 건설 관계자 등 총 30여 명이 참석했다. 약 400억 원의 자본이 투입되는 제3공장은 연면적 약 1500m2(약 4,800평)에 지상 4층, 지하 2층으로 총 6층 규모로 건설된다. 완공 이후 지상 1
셀트리온은 26일 국내 진단기기 전문업체 BBB와 함께 개발한 코로나19 신속진단 항원키트 '샘피뉴트(Sampinute)'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긴급사용승인(EUA, Emergency Use Authorization)을 획득했다고 26일 밝혔다. 샘피뉴트는 독자적인 코로나19 항체-항원 기술을 접목해 민감도를 높이고, 휴대 가능한 전문 장비를 이용해 10분 만에 결과 확인이 가능한 신속 현장진단용(POCT, Point of Care Testing) 항원키트로 셀트리온과 BBB가 공동개발한 제품이다. 셀트리온은 이 제품
디앤티파마텍이 지난 21일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PD-L1을 타깃하는 면역항암제 PET 이미징 바이오마커인 ‘PMI06’의 임상 1상 임상시험계획서(IND)를 승인 받았다고 밝혔다. 디앤디파마텍의 100% 자회사인 프레시전 몰레큘러(Precision Molecular)가 개발중인 PMI06은 암세포를 타깃하는 PET(positron emission tomography) 조영제로, 존스홉킨스 의과대학과 공동 개발중이다. 이번 임상 1상은 미국 존스홉킨스의대 핵의학과 주도로 진행될 예정이다. 면역항암제 치료가 가능한 비소세
인공지능(AI) 기반 신약개발 전문기업인 디어젠(Deargen)이 pre-시리즈A로 30억원 규모의 투자유치를 마쳤다고 26일 밝혔다. 디어젠은 올해 2월 자체 AI 기술을 기반으로 유망한 코로나19 치료제로 길리어드의 '렘데시비르(remdesivir)' 등 약물을 예측하는 논문을 게재해 업계의 주목받기도 했다. 또한 최고사업책임자(CBO)로 아스트라제네카 출신 배영철 상무를 영입해 국내외 파트너십을 강화겠다는 계획이다. 이번 라운드에는 하나벤처스, 티에스인베스트먼트, 아밀로이드솔루션이 참여했다. 디어젠과 아밀로이드솔루션은 전략적
인터파크가 올해 7월 설립한 자회사 인터파크바이오컨버전스(Interpark Bio Convergence, IBCC)가 지난 23일 표적 및 면역항암제 개발 전문 기업인 비씨켐과 항암 신약 후보물질 기술이전 계약 체결식을 가졌다고 26일 밝혔다. 인터파크바이오컨버전스에 따르면 해당 약물이 아직까지 승인되지 않은 신규 타깃이며, 비임상 전 단계다. 다만 회사는 구체적인 타깃 등 세부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이번 계약에 따라 인터파크바이오컨버전스는 비씨켐에 기술도입료로 총 100억원을 지급하며 개발 단계에 따라 분할 지급할 예정이다.
MASH서 "첫 GLP-1" 등장..노보노 '위고비' 美가속승인
알테오젠, '상온보관 가능' 新히알루로니다제 "특허출원"
컴패스 "이중항체 진전 다음날", 나스닥서 1.2억弗 조달
노바티스 "또", 'BAFF-R 항체' ITP 3상도 "성공"
차백신연구소, 대표이사에 한성일 부사장 내정
美퓨어텍, ‘중수소화 퍼페니돈’ 분사..”IPF 3상 추진”
보어, 레미젠 'BAFF/APRIL' 쇼그렌 中3상 “성공”
리스폰스, 사노피서 L/I ‘iMTP 저해제’ 비만2상 "긍정적"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HLB 엘레바, 브라이언 김 신임 대표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온코닉, ‘PARP/TNKS 저해제’ 췌장암 2상 IND 제출
한미약품, '롤론티스' 자가투여 "오토인젝터 제형 개발"
이엔셀, ‘MSC세포’ CMT 1b/2a상 “IND 변경신청”
동국제약, 삼양바이오팜과 '니코스탑' 공동 프로모션
지니너스, 상반기 매출 52억..전년比 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