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뮨온시아(Immuneoncia therapeutics)는 12일 중국 파트너사 3D메디슨(3D medicines)이 중국 국가약품관리감독국(NMPA)으로부터 CD47항체 ‘IMC-002(3D197)’의 임상시험계획서(IND)를 승인받았다고 밝혔다. 발표에 따르면, 3D메디슨은 이번 승인된 임상 1상에서 용량증량시험을 통해 IMC-002의 안전성, 내약성 등을 평가할 예정이다. IMC-002는 대식세포에 대한 면역관문억제제로, 암세포의 CD47과 대식세포의 SIRPα 간의 ‘don’t eat me’ 신호를 차단해 대식세포가 암세포
애스톤사이언스는 12일 시리즈C로 270억원을 유치했다고 밝혔다. 이번 시리즈C 투자에는 타임폴리오, 지엔텍, 미래에셋벤처투자 등 기존 5개사에 더해 미래에쿼티, 레이크우드파트너스, 길트엣지, JC에셋자산운용 등 신규로 4개의 투자사가 참여했다. 애스톤은 현재까지 총 480억원의 투자를 유치했다. 애스톤사이언스는 항암백신을 중심으로 치료제 포트폴리오를 구성해 임상개발을 진행중으로 현재 총 10개의 전임상 및 임상 단계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전이나 재발이 흔하지만 적절한 치료제가 없는 삼중음성유방암(TNBC)을 적응증으
메디톡스(Medytox)는 12일 자회사 리비옴(Liveome)이 염증성장질환(IBD)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후보물질 ‘LIV001’에 대한 위탁개발생산(CDMO)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리비옴은 호주 루이나바이오(Luina Bio)와 LIV001의 원료의약품 위탁생산개발 계약을, 영국 키이파마(Quay Pharma)와는 LIV001의 완제의약품 위탁개발생산 계약을 각각 체결했다. 리비옴은 지난해 메디톡스로부터 미생물 치료제(LBP, Live Biotherapeutic Products) 후보물질 및 제반 기술을 이전받아 설립된
On the January 12, 2022, GenScript ProBio(Brian Ho-sung Min, CEO), a global bio-CRO and CDMO, and AbTis(Jeong Sang-jeon, CEO), owner of the ADC(antibody-drug conjugates) platform technology, announced that they had entered into a strategic cooperation MOU concerning the development of a new anti-ca
글로벌 바이오 CRO 및 CDMO 회사인 진스크립트 프로바이오(GenScript ProBio)는 12일 앱티스(AbTis)와 항체약물결합체(ADC) 항암신약 개발과 관련해 전략적협력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앱티스는 지난해 12월 진스크립트로부터 위암과 췌장암 등 여러 고형암에서 과발현되는 Claudin18.2 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도입해, 자체 ADC 링커기술을 접목한 독자적인 Claudin18.2 ADC 파이프라인을 구축했다. 이번 MOU를 통해 진스크립트와 앱티스는 ADC 분야에서 상호간 더 밀접하게 협력할
이중항체 전문기업 에이비엘바이오(ABL Bio)가 제약바이오 최대 투자컨퍼런스인 JP모건 헬스케어컨퍼런스에서 총 10억6000만달러 규모의 빅딜을 성사시키며 한해를 시작했다. 계약금과 단기 마일스톤만 1억2000만달러(약 1440억원) 규모다. 에이비엘바이오는 12일 파킨슨병(PD) 등 퇴행성뇌질환 치료 이중항체 후보물질 'ABL301'에 대해 사노피와 총 10억6000만달러(약 1조2720억원) 규모의 공동개발 및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ABL301은 파킨슨병 환자의 뇌에서 축적되는 병리 단백질 알파시뉴클레인(alp
투자전문회사 SK의 원료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자회사인 SK팜테코(SK pharmteco)가 10일(현지시간)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에서 2025년 매출 20억달러를 달성하겠다는 내용을 포함한 '비전 2025' 전략을 발표했다. 아슬람 말릭(Aslam Malik) SK팜테코 사장은 이날 발표에서 “2021년 잠정 매출은 역대 최대인 7억4000만달러(약 8,830억원)로, 글로벌 확장 전인 2017년과 비교해 약 7.5배 증가라는 놀라운 성장을 기록했다”며 “지속적인 성장세에 있는 합성 원료의약품 사업에 더해 세포∙유전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연구기업 지플러스생명과학은 11일 코르테바(Corteva)의 계열사 파이오니아하이브레드(Pioneer Hi-Bred International)와 CRISPR/Cas9 원천기술 라이선스인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글로벌 최대 종자기업인 파이오니아는 1926년 미국에서 설립된 유전자교정 종자 및 작물 개량에 선구적인 역할을 수행해온 기업으로, 식물 분야에 적용 가능한 CRISPR/Cas9 원천기술을 포함해 식물 및 종자 분야의 다양한 핵심기술 원천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지플러스생명과학은 기술 도입에 따라 CRIS
샤페론(Shaperon)은 11일 한국거래소에 코스닥 상장예비심사청구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샤페론은 지난해 11월 코스닥 기술특례 상장을 위한 기술 평가에서 ‘A, A’ 등급을 받았으며 올해 상반기 상장을 목표로 기업공개(IPO) 절차를 밟을 예정이다. 상장주관사는 NH투자증권이다. 이명세 샤페론 대표는 “샤페론은 세계 최초로 GPCR19 표적 염증복합체 억제제 및 나노바디 항체 치료제의 동시 라인업이라는 강점을 지녔다”며 “2022년 상반기를 목표로 남은 상장 절차를 충실히 준비하고 있다. 상장을 통해 샤페론의 핵심 파이프라인
바이오드론(BioDrone®) 플랫폼 기업 엠디뮨이 11일 노르웨이 항암치료 전문 제약사 PCI바이오텍(PCI Biotech)과 연구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엠디뮨은 PCI바이오텍과 전임상 연구협약 체결을 통해 양사가 보유한 플랫폼 기술의 호환성을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추가적인 개발 및 협력 가능성을 모색할 예정이다. PCI바이오텍은 PCI(Photochemical Internalisation) 기술 플랫폼을 통해 항암제 개발과 상업화를 목적으로 하는 기업이다. PCI는 암 국소치료를 위한 화학 요법을 강화하는 fima
큐라클은 10일 경구용 습성 연령관련 황반변성(wet AMD) 치료제 후보물질 ‘CU03-1001’의 임상 2a상 결과를 공시했다. 큐라클은 이번 임상2a상에서 CU03-1001의 내약성과 안전성을 확인했지만 유효성 측면에서는 적은 수의 탐색적 임상으로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지 못했다며, 환자수를 늘리고 아일리아와 병용하는 방식으로 임상 2b상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공시에 따르면 이번 임상에는 기존 항혈관내피성장인자(anti-VEGF) 치료제인 루센티스, 아일리아, 아바스틴 등에 불충분한 반응을 보이는 환자들 75명을 대상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는 10일 이사회를 개최하고 주가안정 및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자사주 매입을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셀트리온이 매입할 자사주는 총 54만7946주, 취득 예정금액 약 1000억원 규모로, 셀트리온헬스케어는 총 67만3854주, 취득 예정금액 약 500억원 규모다. 양사는 2022년 1월 11일부터 4월 10일까지 장내매수를 통해 자사주를 취득할 계획이다. 자사주 취득 전 현재 보유중인 자기주식은 셀트리온 132만3130주, 셀트리온헬스케어는 173만6205주다. 셀트리온그룹 관계자는 “회사의
대웅제약은 10일 당뇨병 치료제 후보물질 SGLT-2 저해제 ‘이나보글리플로진(enavogliflozin, DWP16001)’에 메트포르민(metformin, DWC202101)을 더한 복합제 'DWJ1525' 임상 1상을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승인받았다고 밝혔다. 국내 임상정보사이트 의약품안전나라에 따르면, 대웅제약은 복합제인 DWJ1525와 이나보글리플로진(DWP16001), 메트포르민(DWC202101)을 병용투여시의 약동학적 특성과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임상 1상을 진행한다. 대웅제약은 메트포르민은 당뇨병 치료에 표준적으
투자전문회사 SK가 글로벌 선도 세포∙유전자 치료제(Cell∙Gene Therapy, CGT) 원료의약품 위탁개발생산 기업(CDMO)을 향한 도약에 속도를 낸다. SK는 CDMO 통합법인 SK팜테코를 통해 미국 세포∙유전자 치료제 CDMO인 CBM(The Center for Breakthrough Medicines)에 3억5000만달러(약 4200억원)를 투자해 2대 주주로 올라섰다고 9일 밝혔다. SK는 지난해 3월 프랑스 세포∙유전자 치료제 CDMO 이포스케시(Yposkesi)를 인수한지 약 9개월만에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를
보령제약은 7일 계열사 임원승진 인사를 다음과 같이 밝혔다. ◆보령홀딩스 ▲남흥수(자산관리팀) ◆보령제약 ▲김영석(Onco부문장) ◆보령바이오파마 ▲이영(경영본부장(CFO))
SK플라즈마는 7일 의약품 판매기업인 악시아헬스케어FZC (AKSIA Health Care FZC)와 총 172억원 규모의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공급 제품은 리브감마와 알부민 등 혈액제제 2종이다. 계약에 따라 악시아는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아랍에미리트 등에서 해당 제품의 판매 권한을 갖게 되며, 사우디아라비아 정부 측에 혈액제제 제품 납품을 진행할 예정이다. SK플라즈마는 이번 성과를 바탕으로 중동을 비롯 튀니지, 알제리 등 북아프리카 국가를 적극 공략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김윤호 SK플라즈마 대표는 “각 국가의
릴리 “新기준”, ’아밀린 단독‘ 비만 2상서 "20% 감량"
화이자 勝, "치열했던 7일" 멧세라 100억弗 인수
노보노, 항암·MASH 초기에셋 "중단"..주력분야 '베팅'
리가켐, 'World ADC Awards' 2개부문 동시 수상
일동제약, 디앤디파마텍 5만3023주 전량 "매각 결정"
종근당, 'cMET ADC∙경구 GLP-1' 등 3건 "美학회 발표"
J&J, ‘다잘렉스SC’ 최초 무증상MM 확대 "FDA 승인"
베링거, CDR서 'CD19xBCMAxCD3' 5.7억弗 사들여
루카스, ‘바이러스 세포치료제’ 접근법 “개발 전략은?”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인사]삼양그룹, 정기 임원인사 및 조직개편
일동생활건강, 박하영 신임 대표 선임
씨어스, 디지털 기반 "글로벌 의료격차 해소" 비전
[기고]『아웃포스트』, 신약개발 최전선을 기록하다
HLB 베리스모, MSLN CAR-T 비임상 “SITC 구두발표”
동국생명과학, 조영제 '메디레이' 우크라이나 수출계약
유한, J&J와 '리브리반트+렉라자' 국내 공동판촉 계약
신라젠, 'TTK/PLK1 저해제' 전임상 "SITC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