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큐롬바이오사이언스(Curome BioSciences)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멜라스(MELAS) 증후군에 대한 치료 후보물질 ‘HK-660S(Beta-lapachone)’의 국내 임상2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았다고 14일 밝혔다. 멜라스 증후군(Mitochondrial encephalomyopathy, lactic acidosis, stroke-like episodes, MELAS)은 대표적인 미토콘드리아 이상질환으로, 미토콘드리아 유전자(mtDNA) 돌연변이에 의한 미토콘드리아내 ATP 생성 결핍으로 발생하는 희귀질환이
LG화학(LG Chem)이 전세계 아동 공중보건 문제 해결을 위한 소아마비백신 등 영유아 필수백신을 대량 공급한다. LG화학은 14일 소아마비백신 ‘유폴리오(Eupolio)’, 5가(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B형간염, 뇌수막염) 혼합백신 ‘유펜타(Eupenta)’로 유니세프(UNICEF) 입찰에 참여해 총 2억달러 규모 수주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을 바탕으로 LG화학은 전세계 약 8000만명 영유아의 감염병을 예방할 수 있는 백신 물량을 공급하게 된다. 소아마비백신 유폴리오를 2년간(2024~2025) 1억달러
티씨노바이오사이언스(Txinno Bioscience)는 현대약품(Hyundai Pharm)과 전략적투자(SI)와 신약 공동연구 개발에 대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구체적인 전략적투자(SI) 규모는 공개하지 않았다. 티씨노바이오는 현대약품과 신약 공동연구 개발을 통해 KRAS 변이암 치료제 전임상 후보물질을 도출할 예정이다. RAS GTPases는 KRAS, HRAS, NRAS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3개의 유전자로 원래는 세포의 정상적인 성장신호 조절에 기능한다. 다만 유전자 변이가 생기면서 암세포의 성장·전이를 유발하는
GC녹십자(GC Biopharma)는 최근 대만 메디젠 백신 바이오로직스(Medigen Vaccine Biologics Corp., MVC)에 라이선스아웃(L/O)한 4가 독감백신이 대만 식품의약품청(Taiw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TFDA)으로부터 시판허가를 획득했다고 13일 밝혔다. GC녹십자는 지난 2018년 MVC에 4가 독감백신 ‘지씨플루 쿼드리밸런트(GCFlu Quadrivalent)’에 대한 대만내 독점적인(exclusive) 유통(distribution), 상업화 권리를 L/O한 바
희귀질환 진단 전문기업 쓰리빌리언(3billion)은 오는 3월 14~18일 미국 유타주에서 열리는 미국 임상유전학회(American College of Medical Genetics and Genomics, ACMG 2023)에서 전장엑솜분석(whole exome sequencing)과 관련된 포스터 3건을 발표한다고 13일 밝혔다. ACMG는 매년 연례회의를 통해 글로벌 진단 기준을 수립하고 가이드라인을 공유하는 최대 규모의 임상 유전학회로 알려져 있다. 회사에 따르면 쓰리빌리언은 지난해에 이어 ACMG에 참여하는 국내 유일
툴젠(Toolgen)은 13일 효능을 유지하면서 오프타깃(off-target) 부작용을 낮춘 CRISPR/Cas9 유전자편집 기술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Nature Chemical Biology’에 게재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김형범 연세대 교수, 하택집 존스홉킨스대 교수 연구팀과 함께 진행했다. 이번 논문에서 툴젠은 Sniper2L 기술을 이용해 효능은 유지하면서 오프타깃을 낮춰 특이도를 높인 결과를 공개했다. Sniper2L은 툴젠이 지난 2018년 판매를 개시했던 Sniper-Cas9을 자체 구축한 스크리닝 플랫폼 Sn
RNA 플랫폼 기업 올리패스(Olipass)는 비마약성 진통제 신약 후보물질 ‘OLP-1002’의 호주 임상2a상 위약대조 이중맹검 시험에서 30명의 환자에 대해 평가완료된 중간통계분석 결과를 임상 CRO로부터 수령했다고 13일 밝혔다. OLP-1002는 소듐채널1.7(Nav1.7)의 pre-mRNA를 타깃하는 엑손스키핑(exon skipping) 기전의 약물이다. 올리패스는 만성 관절염통증 환자 90명을 대상으로 OLP-1002 1마이크로그램(mcg, μg), 2mcg 또는 위약을 1회 투여해 6주간 환자별 진통효능을 추적하는
이뮨온시아(ImmuneOncia)는 인공지능(AI) 기반 항체개발 바이오텍 에이인비(AinB)와 신규 후보물질 발굴 및 개발을 위한 포괄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에이인비의 AI기반 항체발굴 기술과 이뮨온시아의 면역항암 항체개발 기술을 활용해, 신규 후보물질 발굴과 실험검증 과정 등에서 공동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다. 에이인비는 기존 라이브러리·면역유도를 통한 항체 발굴방식에서 자체보유한 AI 기술을 바탕으로 데이터에 기반한 발굴방식으로 항체발굴을 목표로 하고 있는 스타트업이다. 김흥태 이뮨온
바이젠셀(Vigencell)은 10일 신규 CD30 공동자극 신호전달 도메인을 이용한 CAR-T의 혈액암 및 고형암 전임상 연구결과를 미국 암연구학회 2023(AACR 2023)에서 포스터로 발표한다고 밝혔다. 이번 AACR에서 바이젠셀은 CD30 유래 공동자극 신호전달도메인을 이용한 CAR-T가 기존 CAR 신호전달도메인 보다 우수한 항암효과를 나타낸 인비트로(in vitro), 인비보(in vivo) 데이터를 발표할 예정이다. 바이젠셀은 지난해부터 CD30 유래 공동자극 신호전달도메인을 이용한 CAR-T 및 γδ CAR-T를
네오이뮨텍(NeoImmuneTech)은 반감기를 늘린 재조합 인터루킨-7(IL-7) ‘NT-I7’의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증 임상1상을 자진중단키로 결정했다고 10일 공시했다. 앞서 3년전 시작한 임상으로 환자모집이 불가능하다는 것이 임상중단 이유이다. 임상1상은 코로나바이러스 확진판정을 받은 성인 환자 가운데 경증 환자를 대상으로 NT-I7의 용량증량 단회투여의 안전성과 예비 효능을 위약과 비교하는 시험이었다(프로젝트명: NIT-116). 네오이뮨텍은 지난 2020년 6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임상1상 임상시험계획(
온코닉테라퓨틱스(Onconic Therapeutics)는 10일 중국 제약사인 리브존파마슈티컬그룹에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후보물질 '자스타프라잔(zastaprazan, JP-1366)'의 중국지역 개발 및 상업화 권리를 총 1억2750만달러(한화 1650억원)에 라이선스아웃(L/O)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계약에 따라 온코닉은 계약금 1500만달러(한화 200억원)에 더해 개발, 허가, 상업화 단계별 마일스톤으로 1억1250만달러(한화 1450억원)을 받게 된다. 계약금 및 마일스톤 단계별 금액의 수취 후 반환의무는 없으며
에스티팜(ST Pharm)은 미국 자회사인 mRNA 신약개발 바이오텍 버나젠(Vernagen)이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미국질병청, CDC)와 하트랜드바이러스(Heartland-virus, HRTV)의 예방 및 통제를 위한 mRNA 백신 공동연구개발 협약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버나젠은 애틀랜타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mRNA 기반 감염병 예방백신·치료제를 연구개발하는 바이오텍이다. 버나젠은 에스티팜과의 협업을 통해 에스티팜의 mRNA 플랫폼 기술을 이용해 하트랜드바이러스 mRNA 백신 후보물질을 발굴하고, 에스티팜이 CDMO
대웅제약은 8일 이사회를 열고 모회사인 대웅에 자사주 42만7350주의 자기주식 처분을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대웅제약은 대웅에 시장외 대량매매거래를 통해 자기주식을 처분한다. 이는 R&D 투자 등을 위한 재원확보를 위함이다. 대웅제약은 이번 자사주 처분으로 이자 부담없는 500억원의 현금을 확보하게 됐다. 대웅제약은 이번에 확보한 현금으로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펙수클루’ 후기임상 △SGLT2 저해제 당뇨병 치료제 ‘엔블로’ 후기임상 △특발성폐섬유증 치료제 후보물질 ‘베르시포로신’ 임상2상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후
올릭스(Olix pharmaceuticals)는 9일 호주 인체연구윤리위원회(HREC)로부터 남성형 탈모치료제 후보물질 ‘OLX104C’의 임상1상 임상시험계획(IND)를 승인받았다고 밝혔다. 올릭스에 따르면 이번 임상1상은 안드로겐성 탈모가 있는 남성을 대상으로 OLX104C를 투여해 안전성과 내약성을 평가한다. OLX014C는 안드로겐 수용체(AR)를 타깃하는 RNAi(RNA interference) 치료제로 올릭스의 비대칭 siRNA(cp-asiRNA)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됐다. 남성형 탈모는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이 5
티카로스(Ticaros)는 9일 식품의약품안전처(MFDS)로부터 재발성/불응성 B세포 비호지킨림프종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하는 CD19 CAR-T ‘TC011’의 임상1/2a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았다고 발표했다. 티카로스에 따르면 이번 임상은 임상1상 이후 연속적으로 2a상을 진행하며, 거대B세포림프종(DLBCL) 뿐만 아니라, 소포림프종 및 외투세포림프종 등 B세포 유래 림프종을 모두 포함한 임상1상을 수행해 안전성 및 내약성을 평가할 계획이다. 이번 임상은 서울대병원, 국립암센터, 분당서울대병원, 연세대의대 세브
GC녹십자(GC Biopharma)는 최근 캐나다 아퀴타스 테라퓨틱스(Acuitas Therapeutics)의 지질나노입자(LNP) 기술에 대한 라이선스인(L/I) 옵션을 행사했다고 9일 밝혔다. GC녹십자는 지난해 4월 아퀴타스와 mRNA 백신 또는 치료제 개발을 목표로 LNP(Lipid Nano Particle) 기술 L/I에 대한 개발 및 옵션 계약(Development and Option Agreement)을 체결했다. 이후 mRNA 독감백신 개발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했으며, 이번 옵션을 행사하게 됐다고 GC녹십자는 설명했
릴리 “新기준”, ’아밀린 단독‘ 비만 2상서 "20% 감량"
노보노, 항암·MASH 초기에셋 "중단"..주력분야 '베팅'
리가켐, 'World ADC Awards' 2개부문 동시 수상
암젠 "희망 불씨", 'FGFR2b' 병용 3상 "효능부족" 중단
온코크로스, 복지부 주관 '전임상·임상 모델개발' 사업선정
리가켐, 'B7H4 ADC' 고형암 1상 "고용량 코호트 추가"
인사이트, 프렐류드와 ‘JAK2 변이형’ 9.35억弗 옵션딜
루카스, ‘바이러스 세포치료제’ 접근법 “개발 전략은?”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인사]삼양그룹, 정기 임원인사 및 조직개편
일동생활건강, 박하영 신임 대표 선임
씨어스, 디지털 기반 "글로벌 의료격차 해소" 비전
[기고]『아웃포스트』, 신약개발 최전선을 기록하다
씨젠, 3분기 매출 1135억 "전년比 4.3%↑"
일동제약, 디앤디파마텍 5만3023주 전량 "매각 결정"
한미약품, 'AI 신약개발' 구축 "국책과제 연구기관 선정"
리스큐어, ‘LB-P8’ 희귀간질환 글로벌 2상 "환자투여"
동아 메타비아, ‘GLP-1/GCG’ 신규 전임상 “美학회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