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테오젠(Alteogen)이 히알루로니다제(hyaluronidase) 기반 피하투여(SC) 제형변경 플랫폼 ‘ALT-B4’와 관련한 마일스톤 300만달러(약 39억5000만원)를 수령한다고 4일 공시했다. 알테오젠은 인보이스(invoice) 발행일로부터 60일내 마일스톤을 수령하게 된다. 해당 기술료는 지난 2019년 글로벌 10대 제약사에 기술수출한 ALT-B4의 마일스톤을 달성한 것에 따른 것이다. 알테오젠에 따르면 이전 국내 GMP 생산시설 확보에 이은 해외 GMP 생산확보에 따른 마일스톤이다. 아직까지 추가로 ALT-B4
이수그룹 계열사 이수앱지스는 5일 혈장 ASM를 타깃한 알츠하이머병(AD)의 신경병리학적 증상발현 억제 기전에 대한 마우스모델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IF: 17.7)’에 게재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논문의 교신저자인 배재성 경북대의대 교수는 이수앱지스와 협업해 ASM 항체를 개발하고 있다. 논문에 따르면, 연구팀은 AD에서 나타나는 신경병리학적 증상에 대한 혈장 ASM 역할을 살펴보기 위해, ASM 과발현 마우스모델(Tie2-cre; Smpd1 ox/ox)과 3개월령의
론자(Lonza)가 이중항체 연구개발 바이오텍 에이비엘바이오(ABL Bio)와 이중항체 신약 후보물질 개발 및 생산 협력을 체결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론자는 에이비엘바이오 이중항체 후보물질들의 DNA 단계부터 임상계획서(IND) 신청까지의 과정에 엔드투엔드 솔루션(End-to-End Solution)을 비롯한 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번 프로젝트는 지난달부터 영국 슬라우에 있는 론자 바이오로직스에서 진행되고 있다. 단백질을 고효율로 발현할 수 있는 트랜스포손(Transposon) 기반 유전자기술인 GS
프로테옴텍(ProteomeTech)은 4일 금융위원회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코스닥 이전상장을 위한 공모절차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프로테옴텍이 공모하는 총 주식 수는 200만주로, 희망 공모가 밴드는 7500~9000원이다. 이에따른 예정 공모금액은 150억~180억원이다. 프로테옴텍은 오는 4월 19일과 20일 기관 수요예측을 진행해 공모가를 확정하고, 24~25일 양일간 일반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청약을 진행할 예정이다. 상장주관사는 키움증권이다. 프로테옴텍은 공모를 통해 확보한 자금을 시설투자 및 확충, 미국과 중국 등 해외 시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Lunit)은 AI 영상진단 솔루션 '루닛 인사이트' 도입 의료기관이 전세계 2000곳을 돌파했다고 4일 밝혔다. 루닛은 지난 2019년 4월 흉부 엑스레이 영상분석 솔루션 '루닛 인사이트 CXR'과 유방촬영술 영상분석 솔루션 '루닛 인사이트 MMG'를 출시한지 3년6개월만인 지난해 10월, 도입 의료기관 1000곳을 넘어섰다. 이후 약 5개월 만에 고객사가 2배 증가하며 2000곳을 돌파하게 됐다. 전체 의료기관 중 84%는 해외 고객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0월 1000곳 돌파 때와 비교해 해외
티움바이오(Tiumbio)는 식품의약품안전처(MFDS)로부터 혈우병 우회인자(bypassing agent) 치료제 후보물질 ‘TU7710’의 임상1상 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았다고 4일 밝혔다. TU7710은 혈액응고인자7번(FVIIa)에 반감기를 늘리기 위해 트랜스페린(transferrin)을 융합시킨 형태의 재조합 단백질이다. 이번 임상1a상은 건강한 성인 남성 최대 40명을 대상으로 와파린 항응고 전처치후 ‘TU7710’를 정맥투여해 안전성, 내약성, 약동학, 활성도 등을 평가하고, 임상2상 권장용량(RP2D)을 정하기 위
큐베스트바이오(QuBEST BIO)가 아이겐드럭(AIgenDrug)과 인공지능(AI) 기반 신약모델 개발 및 기술정보 교류에 대한 기술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기술협력은 AI 기반 신약개발 모델개발과 AI 기반 신약개발 관련 프로젝트 발굴, 기술정보 교류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번 협약을 통해 큐베스트바이오의 신약개발 위탁연구 전문성과 아이겐드럭의 인공지능 기술이 결합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혁신신약개발을 위한 공동연구 ∆비임상 독성예측 인공지능 플랫폼 구축 ∆IND를 위한 설명가능한 인공지능
삼진제약(Samjin)이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 애보트(Abbott)와 현장진단 검사기기 ‘아피니온2(Afinion2)’의 국내 판매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4일 밝혔다. 아피니온2는 4월부터 판매될 계획이다. 삼진제약은 애보트의 아피니온2가 당뇨·심혈관 및 감염성 질환 검사를 개인의원, 보건소, 요양원, 응급실 등 의료현장에서도 손끝 채혈로 검사가 가능하며 짧은 시간 내 정확한 결과값을 확인할 수 있는 ‘POCT(Point of care testing) 솔루션’이라고 설명했다. 아피니온2는 당뇨병 진단이 가능한 현장 진단기
동아에스티(Dong-A ST)는 자회사 뉴로보 파마슈티컬스(NeuroBo Pharmaceuticals)가 비알콜성지방간염(NASH) 치료제 후보물질 ‘DA-1241’의 임상2상 임상시험계획(IND)을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신청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임상은 NASH 환자 87명을 대상으로 DA-1241과 위약군을 비교평가하는 임상으로, DA-1241의 효능과 안전성을 확인할 예정이다. 뉴로보 파마슈티컬스는 DA-1241의 미국 임상2상을 올해 3분기내 시작하고, 내년 하반기 종료할 계획이다. DA-1241은 GPR119 작
롯데바이오로직스(Lotte Biologics)는 4일 세포주 개발 전문기업 스위스 엑셀진(Excellgene)과 CDO(위탁개발) 사업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약에 따라 양사는 의약품 세포주 개발부터 대규모 위탁생산까지 CDMO(위탁개발생산) 서비스의 전과정(end-to-end)을 협력하며, 이를 요청하는 잠재 고객사에게 공동 파트너십을 제안할 수 있다. 엑셀진은 세포주 개발, 고수율 공정개발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롯데바이오로직스는 마스터 세포은행(Master Cell Bank) 서비스, 임상 및
큐라티스는 3일 금융의원회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코스닥 상장을 위한 상장일정에 본격 돌입했다고 밝혔다. 큐라티스의 총 공모주식수는 350만주로, 희망 공모가 밴드는 6500~8000원이다. 이에따른 예정 공모금액은 227억5000만~280억원이다. 큐라티스는 오는 4월 25일과 26일 기관투자자 수요예측을 진행해 공모가를 확정하고 내달 2~3일까지 일반청약을 받는다. 큐라티스는 5월 중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상장주관사는 대신증권과 신영증권이 공동으로 맡았다. 지난 2016년 설립된 큐라티스는 면역 관련 백신 개발 기업으로,
큐리언트(Qurient)가 현재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미국 임상1/2상을 진행하고 있는 CDK7 저해제 ‘Q901’의 임상지역을 국내로도 확대한다. 큐리언트는 식품의약품안전처(MFDS)에 Q901의 국내 임상1/2상 임상시험계획서(IND)를 제출했다고 3일 공시했다. 이번 임상1/2상은 고형암 환자 최대 128명(국내 70명)을 대상으로 Q901의 단독투여와 ‘키트루다(펨브롤리주맙)’과 병용투여하는 프토포콜로 국내 기관 3곳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Q901은 4주동안 주1회 투여하며, 이후 2주마다 1회 정맥투여하게 된다. 임상에
일동제약그룹은 4월 1일부로 2023년도 정기 승진 인사를 단행했다고 밝혔다. 각 회사별 세부 발령 사항은 아래와 같다. ◆ 일동제약 △전무 배용찬 △상무 강대석 △상무 김수일 △상무 이상영 △강경수 △강석일 △강정완 △공정한 △권혜미 △김명종 △김준령 △김태윤 △김현석 △박진 △성원제 △양승권 △윤중현 △이도환 △이철호 △전민지 △정희성 △하승목 △홍창희 ◆ 일동홀딩스 △김정우 △박경찬 ◆ 아이디언스 △상무 손정민 △상무 이명재 △구진아 △양재윤 ◆ 일동이커머스 △ 문희종
신약개발 컨설팅 기업 애임스바이오사이언스(AIMS Bioscience)는 3일 계량약리학 분석서비스 기업 큐피터(Q-fitter)를 인수합병했다고 밝혔다. 인수금액 등 상세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애임스에 따르면 큐피터는 국내 유일의 계량약리학 분석(Pharmacometrics analysis) 서비스 기업으로, 맞춤형 약리분석,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분석 등을 통하여 약물 용량설정 등 임상 개발 시에 필요한 근거 및 기준을 제시하는 업무를 수행해왔다. 애임스는 지난 2019년 설립돼 제약 및 바이오텍 기업들을 대상으로 후보물질
레고켐 바이오사이언스(LegoChem Biosciences)가 중국 파트너사인 포순파마(Fosun Pharma)로부터 HER2 ADC ‘LCB14(FS-1502)’의 임상3상 개시(첫 환자투약 기준)에 따라 마일스톤 350만달러(약 46억원)을 수령할 예정이라고 3일 공시했다. 해당 마일스톤 기술료는 포순제약이 인보이스(invoice)를 수신할 날로부터 45일이내 수령할 예정이며, 반환의무가 없다. 레고켐바이오는 지난 2015년 8월 포순파마와 LCB14의 중국권리를 라이선스아웃(L/O)하는 208억원규모의 딜을 체결한 바 있다.
알테오젠(Alteogen)은 ‘하이브로자임(Hybrozyme™)’의 첫 적용 품목이 임상3상에 진입함에 따라 파트너사로부터 마일스톤(기술료) 1300만달러(약 168억원)에 대한 대금을 청구했다고 3일 공시했다. 해당 마일스톤은 계약에 따라 발행후 1개월안에 수령하게 된다. 하이브로자임은 알테오젠의 재조합 히알루로니다제(hyaluronidase) ‘ALT-B4’가 사용되는 피하투여(SC) 제형 변경 플랫폼이다. 재조합 히알루로니다제를 활용해 피하층에 있는 히알루론산을 분해하여, 기존에는 피하로 흡수할 수 없던 약물이 주입될 수 있
릴리 “新기준”, ’아밀린 단독‘ 비만 2상서 "20% 감량"
노보노, 항암·MASH 초기에셋 "중단"..주력분야 '베팅'
리가켐, 'World ADC Awards' 2개부문 동시 수상
암젠 "희망 불씨", 'FGFR2b' 병용 3상 "효능부족" 중단
온코크로스, 복지부 주관 '전임상·임상 모델개발' 사업선정
리가켐, 'B7H4 ADC' 고형암 1상 "고용량 코호트 추가"
인사이트, 프렐류드와 ‘JAK2 변이형’ 9.35억弗 옵션딜
루카스, ‘바이러스 세포치료제’ 접근법 “개발 전략은?”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인사]삼양그룹, 정기 임원인사 및 조직개편
일동생활건강, 박하영 신임 대표 선임
씨어스, 디지털 기반 "글로벌 의료격차 해소" 비전
[기고]『아웃포스트』, 신약개발 최전선을 기록하다
씨젠, 3분기 매출 1135억 "전년比 4.3%↑"
일동제약, 디앤디파마텍 5만3023주 전량 "매각 결정"
한미약품, 'AI 신약개발' 구축 "국책과제 연구기관 선정"
리스큐어, ‘LB-P8’ 희귀간질환 글로벌 2상 "환자투여"
동아 메타비아, ‘GLP-1/GCG’ 신규 전임상 “美학회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