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에이프릴바이오(Aprilbio)는 9일 호주에서 자가염증질환 치료제 ‘APB-R3’의 임상 1상의 첫 투여를 개시했다고 밝혔다. 에이프릴바이오는 지난해 9월 호주 인체연구윤리위원회(HREC)로부터 APB-R3의 임상시험계획(IND)를 승인받은 바 있다. 이번 임상은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APB-R3의 안전성, 내약성, 약동학 및 약력학을 평가하기 위한 임상이다. 모집대상자 규모는 31명으로 18~60세 사이 건강한 성인지원자를 총 5그룹으로 나눠 용량을 올리며 APB-R3를 정맥투여(IV)하게 된다. 에이프릴은 올해 상반기 중
항암백신 개발사 애스톤사이언스(Aston Sci.)는 오는 4월14일부터 개최되는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3)에서 플라스미드 DNA 기반 HER2-ICD(intracellular domain) 암백신인 ‘AST-301’과 ‘키트루다(Keytruda, pembrolizumab)’ 병용투약에 대한 전임상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9일 밝혔다. 애스톤은 이번 연구에서 HER2 양성 위암 세포주가 이식된 인간화 마우스 모델에 AST-301+키트루다 병용투약에 따른 면역관문억제제 효과 향상여부를 평가했다. 박효현 애스톤사이언스 최고과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Lunit)은 싱가포르 래드링크(Radlink)에 암 진단을 위한 흉부 엑스레이 AI 영상분석 솔루션 ‘루닛 인사이트 CXR(Lunit INSIGHT CXR)’을 공급했다고 9일 밝혔다. 래드링크는 싱가포르 최대 의료서비스 기업 플러턴헬스그룹(Fullerton Health Group)의 자회사로, 싱가포르내 최대 규모 이미징센터라는 게 루닛의 설명이다. 루닛은 최근 래드링크와 루닛 인사이트 CXR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설명했다. 루닛은 향후 3년간 래드링크에 루닛 인사이트 CXR을 공급해 흉부 질
스파크바이오파마(Spark Biopharma)가 식품의약품안전처(MFDS)로부터 섬유화질환 치료제 후보물질 ‘SBP-401’의 임상1상 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았다고 8일 밝혔다. 이로써 스파크바이오는 지난해 8월 면역항암제로 개발하는 HMGB1 저해제 ‘SBP-101’의 국내 임상1상 IND를 승인받은 이후 2번째 임상시험 과제를 진행하게 됐다. 스파크바이오는 지난해 10월 표준요법 치료에 실패한 진행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SBP-101의 임상1상을 시작했다(NCT05522868). SBP-401은 특발성폐섬유화증(IPF)
프로티움사이언스(Protium Science)가 시리즈A로 총 122억원 규모의 투자유치를 마무리했다고 8일 밝혔다. 프로티움은 위탁개발·분석(Contract Development and Analysis Organization, CDAO) 전문회사로 티움바이오 자회사이다. 이번 유상증자에는 기존 투자자인 한국투자파트너스와 신규투자자로 KB인베스트먼트, IMM인베스트먼트, 컴퍼니케이파트너스, BNH인베스트먼트, 데일리파트너스 등 5개 기관이 참여했다. 또한 김훈택 프로티움 대표가 책임경영 차원에서 투자에 참여했다. 이번 투자유치 자
차바이오그룹이 오는 2024년까지 세포·유전자치료제 CDMO 생산용량을 지금의 500L에서 2000L까지 4배 확대할 계획을 공개했다. 차바이오그룹은 8일 경기도 성남시 판교에 위치한 차바이오컴플렉스에서 ‘CHA Bio/Healthcare Day’ 행사를 열어 차바이오그룹 계열사의 국내외 사업전략을 소개하고, R&D 현황과 디지털헬스케어 등 새로운 사업에 대한 투자유치와 파트너십 구축을 위한 자리를 마련했다. 이날 행사에서 마티카 바이오테크놀로지 앤드류 어리지(Andrew Arrage) 최고사업책임자(CCO)와 소병세 마티카홀딩스
올릭스(OliX Pharmaceuticals)는 8일 타이즈아시아(TIDES ASIA) 학회에서 연사로 나서 탈모치료제 후보물질 연구결과 등을 발표한다고 밝혔다. 타이즈아시아 학회는 올리고핵산 및 펩타이드 치료제 전문학회로 이달 7일부터 9일까지 일본에서 진행된다. 이동기 올릭스 대표는 9일 ‘화학적 변형이 도입된 비대칭siRNA를 이용한 치료제 개발(Therapeutic Development Using Chemically Modified Asymmetric siRNAs)’이란 주제로 발표할 예정이다. 회사에 따르면 이 대표는 해
표적치료제 연구개발 바이오텍 보로노이(Voronoi)가 결국 자회사를 합병하기로 결정했다. 연구개발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의사결정을 신속히하기 위한 목적이다. 보로노이는 8일 이사회를 열어 모회사인 코스닥상장사 보로노이가 자회사인 비상장사 비투에스바이오(B2SBio), 보로노이바이오(Voronoi Bio)를 합병하는 안건을 결의했다고 밝혔다. 그동안 인공지능(AI) 모델링과 세포 및 동물실험(In vitro, In vivo)은 보로노이, 의약합성은 자회사로 업무가 나뉘어 있었다. 이번 합병을 통해 단일 회사로 존속하는 김대권 보로
반도체 기반 바이오 융합 차세대 진단플랫폼 기업 옵토레인은 8일 코스닥 특례상장을 위한 기술성평가에서 A, A 등급으로 통과했다고 밝혔다. 옵토레인은 이번 기술성 평가를 기반으로 상장예비심사 청구서를 제출하고 연내 상장할 예정이다. 코스닥 기술특례상장을 위해서는 한국거래소에서 지정한 전문 평가기관 2곳의 기술성 평가에서 A등급과 BBB등급 이상을 받아야 한다. 옵토레인은 한국발명진흥회와 한국기술신용평가 기관에서 기술의 완성도 및 다방면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으며 기술성 평가 A, A등급을 획득했다. 2012년에 설립된 옵토레인은 시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Bridge Biotherapeutics)가 비임상·임상시험 대행업과 진단사업에 진출한다. 브릿지바이오는 오는 23일 열리는 정기주주총회에서 사업영역 확장을 위해 4개의 신규 사업목적을 추가하는 정관변경안을 상정한다고 7일 공시했다. 이에 따라 브릿지바이오는 사업목적에 ▲비임상 및 임상시험 대행업 ▲진단을 목적으로 하는 기기·시약·연구용기기 개발, 제조, 판매업 ▲연구개발을 위한 지적재산권 도입 및 투자사업 ▲임상시험, 의학, 약학 연구개발업 등 4개의 내용을 추가하게 된다. 또한 사업목적을 ‘바이오 신약 및
지놈앤컴퍼니(Genome & Company)는 CNTN4 타깃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GENA-104’의 전임상 결과 3건을 오는 4월14일부터 19일까지 개최되는 미국암연구학회(American Association of Cancer Research Annual Meeting, AACR 2023)에서 발표할 예정이라고 7일 밝혔다. 이번 발표주제 3건은 각각 △바이오마커인 CNTN4(contactin 4) 발현에 따른 GENA-104의 항암효능 연구 결과 △암세포에서 CNTN4의 발현을 활성화하는 메커니즘 연구 결과 △CNTN4와
이뮤노바이옴은 7일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 균주 ‘IMB002’ 및 균주 유래 다당체 CSGG(cell surface β-glucan/galactan)에 대한 미국 특허를 취득했다고 밝혔다. 해당 특허는 IMB002와 CSGG 및 조절T세포(Tregs) 유도 기능에 대한 특허다. IMB002는 표면에 CSGG 다당체 구조를 가지는 마이크로바이옴 후보물질로, 자가면역질환 및 알레르기 질환을 유발하는데 관여하는 면역반응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약물이다. CSGG는 조절T세포 생성을 유도해 과
일동제약그룹의 신약개발 전문 자회사 아이디언스(Idience)는 7일 PARP 저해제 ‘베나다파립(venadaparib, IDX-1197)’으로 진행한 전임상 연구결과가 학술저널(Molecular Cancer Therapeutics)에 게재됐다고 밝혔다. Molecular Cancer Therapeutics은 미국암연구학회(AACR)가 발간하는 항암제 중개연구 분야의 학술 저널이다. 베나다파립은 DNA 단일가닥 절단(single-strand breaks, SSB) 수선기능을 억제해 이중가닥 절단을 유도함으로써 종양세포의 합성치사(
노보노디스크(Novo Nordisk)가 미국 보스턴 지역에 연구시설을 확장하고 200여명의 연구인력을 채용하며 연구개발 역량 강화에 나섰다. 이번 연구시설 확장을 통해 보스턴 지역은 노보노의 미국 내 연구개발 대부분이 진행되는 R&D 허브(hub)가 되며, 노보노는 확장한 연구시설에서 RNAi와 경구제형 약물의 연구개발에 집중한다. 노보노디스크는 지난 2일(현지시간) 미국 보스턴 R&D 허브 강화 계획을 발표했다. 노보노는 현재 보유하고 있는 보스턴 대도시권(greater Boston)인 렉싱턴(Lexington), 케임브릿지(C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Lunit)은 AI 병리분석 솔루션 '루닛 스코프 PD-L1'의 미국시장 진출을 위한 클리아랩(CLIA LAB) 실험실 자체개발 진단검사(Laboratory Developed Test, LDT)에서 유효성 검증을 완료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LDT는 미국 바이오헬스케어 기업 가던트헬스(Guardant Health) 클리아랩에서 진행됐으며, 공동연구개발 계약에 따라 루닛은 가던트헬스로부터 100만달러(한화 약 13억원)의 기술료를 받게 됐다. 루닛은 비소세포폐암, 삼중음성유방암, 방광암으로 임상검사
큐라클(Curacle)은 6일 당뇨병성 황반부종 및 습성황반변성 후보물질 ‘CU06’의 개발 파트너인 프랑스 떼아 오픈이노베이션(Théa Open Innovation)과 기술이전 계약변경(contract amendment)을 통해 기존 계약상 임상2상 비용에 더해 비임상 비용의 부담범위를 확대하기로 했다고 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큐라클은 기존 계약의 임상2상까지의 연구개발비용에 더해 600만달러 규모의 비임상 연구비용을 추가로 받게 된다. 큐라클은 지난 2021년 10월 떼아와 계약금 600만달러, 개발 단계별 마일스톤 1억57
릴리 “新기준”, ’아밀린 단독‘ 비만 2상서 "20% 감량"
노보노, 항암·MASH 초기에셋 "중단"..주력분야 '베팅'
리가켐, 'World ADC Awards' 2개부문 동시 수상
암젠 "희망 불씨", 'FGFR2b' 병용 3상 "효능부족" 중단
온코크로스, 복지부 주관 '전임상·임상 모델개발' 사업선정
리가켐, 'B7H4 ADC' 고형암 1상 "고용량 코호트 추가"
인사이트, 프렐류드와 ‘JAK2 변이형’ 9.35억弗 옵션딜
루카스, ‘바이러스 세포치료제’ 접근법 “개발 전략은?”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인사]삼양그룹, 정기 임원인사 및 조직개편
일동생활건강, 박하영 신임 대표 선임
씨어스, 디지털 기반 "글로벌 의료격차 해소" 비전
[기고]『아웃포스트』, 신약개발 최전선을 기록하다
씨젠, 3분기 매출 1135억 "전년比 4.3%↑"
일동제약, 디앤디파마텍 5만3023주 전량 "매각 결정"
한미약품, 'AI 신약개발' 구축 "국책과제 연구기관 선정"
리스큐어, ‘LB-P8’ 희귀간질환 글로벌 2상 "환자투여"
동아 메타비아, ‘GLP-1/GCG’ 신규 전임상 “美학회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