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젠큐릭스는 19일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3)에서 대장암 수술 후 미세잔존암(Minimal Residual Disease, MRD) 검출을 통해 대장암 재발을 예측한 연구결과를 포스터로 발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젠큐릭스의 대장암 조기진단 검사 ‘콜로이디엑스(COLO eDX)’를 대장암 재발 모니터링으로 사용목적을 확대한 연구결과로, 김진수 보라매병원 교수팀과 공동으로 진행했다. 연구팀은 2017~2018년 수술적 절제를 받은 대장암 환자에게서 얻은 혈액샘플로 콜로이디엑스를 이용해 연구를 수행했다. 혈액샘플은 대장암 2
제노팜(Genopharm)이 인터페론베타(IFN-β) 사이토카인 기반 면역항암제인 ‘GNP101’의 전임상 결과를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3)에서 발표했다. 제노팜의 GNP101은 HER2 항체인 ‘트라스투주맙(제품명 : 허셉틴)’에 IFN-β를 링커로 연결시킨 약물이다. 이 모달리티를 통해 HER2를 발현하는 암종을 선택적으로 공격함으로써 사이토카인의 전신독성 위험을 낮추는 전략이다. 제노팜은 현재 미충족의료수요가 있는 ‘엔허투(Enhertu)’ 저항성 암과 HER2 저발현(HER2-low) 암 등 2가지 적응증에 포커싱해
오스코텍(Oscotec)이 지난해 3월 카나프테라퓨틱스로부터 라이선스인(L/I)한 EP2/4 이중저해제 ‘OCT-598’의 연구결과를 17일(현지시간) 미국 올랜도에서 열린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3)에서 공개했다. 오스코텍은 지난 1년동안 조병철 연세대 교수팀, 카나프와 공동연구를 통해 기전과 중개연구(translational research)를 진행해왔다. 오스코텍은 현재 OCT-598의 공정개발과 시험생산에 착수했으며, 오는 3분기내 GLP 독성을 비롯한 전임상(IND enabling study)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
이뮨온시아(ImmuneOncia)는 17일(현지시간) 미국 올랜도에서 열린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3)에서 PD-L1 항체 ‘IMC-001’의 상부위장관암에 대한 수술전요법(neoadjuvant) 연구자주도 임상2상 결과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자주도 임상2상은 박숙련 서울아산병원 교수가 진행했으며, 절제 가능한 위암, 식도암, 간암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전에 IMC-001을 2주간격으로 2회 투여했다. 지난 2019년 9월부터 2022년 11월까지 총 50명의 환자가 등록돼 약물을 투여받았다. 모든 암은 현미부수체안
아이엠바이오로직스(IMBiologics)는 17일(현지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올랜도에서 열리고 있는 미국 암연구학회(AACR 2023)에서 차세대 IgM 플랫폼 기술 ‘ePENDY(engineered and enhanced PENtamer boDY)’의 연구결과에 대한 포스터를 발표했다고 18일 밝혔다. 아이엠바이오로직스는 IgM 항체가 가진 특성을 기반으로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다. 두 개의 팔을 갖는 IgG와 달리 IgM은 구조적으로 다중결합기를 갖고 있으며, J-chain을 포한한 10개 결합기(pentamer 또는 J-cha
롯데바이오로직스(Lotte Biologics)는 18일 미국 시러큐스 공장의 성공적인 인수를 기념하는 현판식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현판식은 미국 생산기지의 새 출발을 본격적으로 알림과 동시에, 현지 임직원들의 소속감 및 사기를 증진하고 시러큐스 지역 내 브랜드 입지를 강화하기 위함이라는 설명이다. 미국 뉴욕주 시러큐스 공장에서 진행된 이번 행사는 △오프닝 영상상영 △인사말 및 회사 소개 △축사 △리본커팅 및 제막식 △기념촬영 등의 순서로 진행됐다. 현지 임직원 약 500여명을 비롯해 이원직 롯데바이오로직스 대표, 마이클 하우
올릭스(OliX Pharmaceuticals)는 중국 한소제약(Jiangsu Hansoh Pharmaceuticals Group)으로부터 계약금 225만달러(한화 30억원)를 수령했다고 밝혔다. 지난 2월말 올릭스는 2021년 한소와 체결한 기술이전 원계약에서 한소가 확보한 ‘GalNAc-asiRNA 기반기술을 이용한 2종의 신약 후보물질 옵션행사 권리’ 중 첫 번째 옵션권리가 행사됐다고 공시한 바 있다. 이에 따른 옵션행사금을 수형했다는 공시내용이다. 옵션 1종의 행사규모는 계약금과 각 개발 단계별 마일스톤을 포함해 최대 1억1
대웅제약은 18일 영국 시그니처디스커버리(Sygnature Discovery)와 자가면역질환 신약 유효물질 발굴을 위한 오픈콜라보레이션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을 통해 양사는 시그니처의 독자적인 ‘FBDD(Fragment-Based Drug Discovery)’와 ‘가상탐색(Virtual Screening, VS)’ 기술을 활용해 새로운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유효물질 발굴을 진행할 계획이다. 또한 효능, 기전확보 및 개발 가속화를 위해 단백질과학, 결정학 측면에서도 시그니처의 지원이 이뤄진다. 양사는 계약금 등 상세내용
지투지바이오(G2GBIO)는 장기지속형 치매치료제로 개발하는 1개월 도네페질 ‘GB-5001’의 저용량 임상1상 결과 약물 혈중농도가 한달 이상 일정수준을 유지됐으며, 주사부위 이상반응이 나타나지 않았다고 17일 밝혔다. 지투지바이오는 해당 임상1상 중간 결과를 오는 7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열리는 알츠하이머국제학회(AAIC 2023)에서 발표할 예정이다. GB-5001은 약효물질을 생분해성 고분자와 섞어 균일한 크기의 미립구(microsphere)로 제조해 약물방출 속도를 조절하는 이노램프(InnoLAMP®) 기술이 적용된
셀트리온헬스케어(Celltrion Healthcare)는 17일 전이성 직결장암 및 유방암 치료용 아바스틴 바이오시밀러 ‘베그젤마(Vegzelma, bevacizumab)’를 미국에 출시했다고 밝혔다. 셀트리온헬스케어는 지난해 9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베그젤마의 판매허가를 획득한 이후 런칭 및 판매를 위해 현지법인의 경쟁력 강화에 주력해왔다. 특히 베그젤마는 셀트리온헬스케어가 미국에서 처음으로 직접판매(직판)하는 의약품인 만큼 이를 담당하기 위한 현지인력 확충에 집중했다. 그 결과 암젠, 화이자 등 글로벌 바이오제약
지아이이노베이션 관계사인 지아이셀(GI Cell)은 17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동종유래 NK 세포치료제 후보물질 ‘T.O.P NK(GIC-102)’의 임상1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았다고 밝혔다. 지아이셀은 올해 상반기 임상시험에 본격적으로 돌입할 계획이다. 지아이셀은 이번 임상에서 진행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T.O.P. NK의 안전성 및 잠재적 유효성을 분석할 계획이다. 지아이셀은 이번 임상1상에서 T.O.P. NK 단독투여뿐만 아니라 지아이이노베이션의 이중융합 단백질 ‘GI-101’과의 병용요법도 평가할 계획이다.
앱클론(Abclon)의 새로운 에피토프(epitope)를 타깃하는 전략의 자가유래(autologous) CD19 CAR-T 초록이 공개됐다. 앱클론은 14일(현지시간)부터 미국 올랜도에서 열리고 있는 미국 암연구학회(AACR 2023)에서 신규 에피토프 CD19 CAR-T ‘AT101’의 임상1상 중간결과를 첫 발표할 것으로 예정되면서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가운데, 학회 시작과 동시에 ‘Late-Breaking’ 연구의 초록이 공개된 것이다. 이번 초록을 통해 AT101의 구체적인 에피토프가 드러났다. AT101의 CD19 CAR
에이비온(Abion)은 지난 11일 이사회를 열고 결의한 210억원 규모의 전환사채(CB)를 발행을 완료했다고 14일 공시했다. 이번 CB는 랩지노믹스, 한국투자 Re-Up II 펀드, 에이티넘성장투자조합2020, NH투자증권(스타퀘스트헬스케어 일반사모투자신탁제3호) 등을 대상으로 발행됐다. CB의 만기는 오는 2028년 4월14일이며 표면이자율과 만기이자율을 각각 0%, 5%다. CB의 보통주 전환가액은 주당 8753원, 전환가액 조정에 따른 최저 조정가액은 6128원이다. 전환청구기간은 2024년 4월14일부터 2028년 3월
셀트리온(Celltrion)은 14일 아시아 염증성장질환학술대회(AOCC) 및 대한장연구학회 국제학술대회에 참가해 인플릭시맙 피하주사 제형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램시마SC(CT-P13 SC)의 글로벌 임상3상에서 유효성과 안전성을 확인한 결과를 포스터로 발표했다. AOCC는 13일부터 15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되며 염증성장질환(IBD) 환자들의 삶의질 향상을 목표로, 일본, 중국, 대만 등 아시아 국가에서 IBD 전문가들이 모여 최신 지견을 공유하는 국제학술대회로, 2013년 도쿄에서 처음 진행된 이래로 아시아 국가에서 매년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Bridge Biotherapeutics)는 특발성 폐섬유증(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IPF) 신약 후보물질 ‘BBT-877’의 임상2상에서 첫 환자 등록에 따라 투약을 시작했다고 13일 밝혔다. BBT-877은 경구용 오토택신(autotaxin) 저해제이며, 오토텍신은 특발성 폐섬유증을 포함한 여러 섬유화질환에 관여한다고 알려진 타깃이다. 오토택신은 혈중 리소포스파티딜콜린(LPC)을 리소포스파티드산(LPA)으로 전환시키는 세포밖 효소이며, LPA는 세포내 수용체와 결합해 경화증
신라젠(SillaJen)은 13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TTK/PLK1 저해제 ‘BAL0891’의 국내 진행성 고형암에 대한 임상1상(NCT05768932)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았다고 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이번 임상은 국내 2개 기관에서 120명의 진행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다. 환자들에게 용량증량 방식으로 BAL0891를 단독 또는 카보플라틴/파클리탁셀과 병용투여해 안전성과 내약성을 평가한다. 용량 탐색은 계획된 최고 용량(dose level)이 안전하고 내약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거나 최대내약용량(Maxi
릴리 “新기준”, ’아밀린 단독‘ 비만 2상서 "20% 감량"
노보노, 항암·MASH 초기에셋 "중단"..주력분야 '베팅'
리가켐, 'World ADC Awards' 2개부문 동시 수상
암젠 "희망 불씨", 'FGFR2b' 병용 3상 "효능부족" 중단
온코크로스, 복지부 주관 '전임상·임상 모델개발' 사업선정
리가켐, 'B7H4 ADC' 고형암 1상 "고용량 코호트 추가"
인사이트, 프렐류드와 ‘JAK2 변이형’ 9.35억弗 옵션딜
루카스, ‘바이러스 세포치료제’ 접근법 “개발 전략은?”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인사]삼양그룹, 정기 임원인사 및 조직개편
일동생활건강, 박하영 신임 대표 선임
씨어스, 디지털 기반 "글로벌 의료격차 해소" 비전
[기고]『아웃포스트』, 신약개발 최전선을 기록하다
씨젠, 3분기 매출 1135억 "전년比 4.3%↑"
일동제약, 디앤디파마텍 5만3023주 전량 "매각 결정"
한미약품, 'AI 신약개발' 구축 "국책과제 연구기관 선정"
리스큐어, ‘LB-P8’ 희귀간질환 글로벌 2상 "환자투여"
동아 메타비아, ‘GLP-1/GCG’ 신규 전임상 “美학회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