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Bridge Biotherapeutics)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NSCLC) 환자 대상 4세대 EGFR TKI로 개발하는 ‘BBT-207’의 임상1/2상 임상시험계획서(IND)를 승인받았다고 24일 밝혔다. 브릿지바이오는 4세대 EGFR TKI 후보물질로 ‘BBT-176(삼중변이 저해제)’의 국내 임상1/2상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로써 2번째 임상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된다. BBT-176은 현재 임상1상 용량상승시험을 진행하고 있으며, 주용량군 시험을 마치고 추가 확
면역 혁신신약개발 바이오기업 샤페론(Shaperon)이 미국 현지에 자회사 허드슨 테라퓨틱스(Hudson Therapeutics)를 설립한다고 24일 밝혔다. 샤페론은 허드슨 테라퓨틱스에 초기 자본금 230만달러(약30억원)을 출자하며, 지분 100%를 직접 보유하게 된다. 허드슨은 향후 모회사 샤페론이 보유한 주요 파이프라인들의 글로벌 임상 컨트롤타워 역할과 함께 글로벌 라이선스아웃(L/O) 업무를 담당하게 된다. 샤페론이 가장 중점을 두고 있는 글로벌 L/O을 전담할 오피스는 메이저 글로벌 제약사들이 몰려 있는 보스턴(Bost
지투이(G2e)는 24일 시리즈B로 85억원을 투자유치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에는 시리즈A에 참여했던 코오롱인베스트먼트, 세마인베스트먼트, 데일리파트너스 등을 포함해 휴온스, 소리에스비 등 전략적 파트너 2곳 등 총 5곳이 참여했다. 지투이는 지난 3월 휴온스와 스마트인슐린펜 'DIA:CONN P8'의 국내 독점 유통·판매 계약을 체결했으며 최근 GMP 승인을 획득해 본격적으로 제품을 공급할 예정이다. 정창범 지투이 대표는 “완전인공췌장(APS) 완성을 위해 당뇨병 헬스케어 플랫폼을 고도화하는 한편, 향후 코스닥 시장 상장을 통
바이젠셀(Vigencell)은 21일 미국암연구학회(AACR)에서 CD30 유래 공동자극 신호전달 도메인을 이용한 CAR-T 세포의 시험관내 실험(in vitro) 및 동물실험(in vivo)을 통해 항종양 효능을 평가한 전임상 결과를 포스터로 발표했다고 밝혔다. 바이젠셀은 CD30 유래 공동자극 신호전달 도메인(intracellular costimulatory signaling domain, ICD)이 추가된 CAR-T 세포가 기존 CAR 신호전달 도메인(CD28, 4-1BB)을 갖는 CAR-T세포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혈액암을
피노바이오(Pinot Bio)는 20일 미국 플로리다주 올랜도에서 열린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3)’에서 DNMT1 저해제 ‘NTX-301’의 난소암 대상 비임상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발표는 연구를 주도한 다니엘라 마테이(Daniela E Matei) 노스웨스턴대 교수가 진행했다. 발표에 따르면 NTX-301은 난소암(ovarian cancer, OC) 세포주에 높은 선택성을 보였으며, 난소암 마우스모델에 단독투여시 항암효과를 나타냈다. 피노바이오는 지방산 대사경로 교란은 암세포가 기존 항암제에 내성을 갖게 하는
항암백신 개발사 애스톤사이언스(Aston Sci.)가 HER2 암백신 후보물질인 ‘AST-301’과 PD-1 항체 ‘키트루다’ 병용투여를 평가한 전임상 결과를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3)에서 발표했다. 애스톤은 위암 마우스모델에서 AST-301과 키트루다를 병용투여했을 때 키트루다 표준용량 투여군 대비 항암효능과 독성T세포의 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했다. 다만 실험에 사용한 개체수가 적어 통계적 유의성은 충족시키지 못했다. 최영기 애스톤사이언스 책임연구원은 지난 16일(현지시간) AST-301과 키트루다 병용투여를 평가한
에임드바이오(Aimedbio)가 FGFR3 타깃 항체-약물접합체(ADC)인 ‘AMB302/GQ1011’의 전임상 결과를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3)에서 발표했다. AMB302는 에임드바이오가 중국 진퀀텀 헬스케어(GeneQuantum Healthcare)와 공동개발을 진행중인 에셋으로, 에임드가 개발한 FGFR3 타깃 항체에 진퀀텀의 위치 특이적인 링커-페이로드 기술을 접목한 약물이다. 에임드바이오는 AMB302를 FGFR3 유전자 변이(alteration) 혹은 과발현된 방광암과 교모세포종(glioblastoma, GBM)
피노바이오(PinotBio)는 21일 Pre-IPO로 126억원의 투자금을 유치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에는 기존 투자자였던 IMM인베스트먼트와 KB인베스트먼트가 참여했으며 BNH인베스트먼트, 유니온투자파트너스, 쿼드자산운용 등 제약바이오 전문 벤처캐피탈이 신규 투자자로 참여했다. 롯데바이오로직스와 안국약품이 전략적 투자자(SI)로 참여했다. 롯데바이오로직스는 이번 투자를 계기로 피노바이오와 ADC CMC 개발 및 생산을 위한 전략적 협력을 이어갈 계획이다. 안국약품은 지난해 피노바이오와 ADC 항암제 공동연구개발을 위한 MOU
큐리언트(Qurient)가 CDK7 저해제의 적응증 확대를 뒷받침하는 신규 메커니즘으로 DNA 손상복구(DNA damage repair, DDR) 저해제와 병용투여 가능성을 보여주는 연구결과를 공개했다. 현재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미국 임상1/2상을 진행하고 있는 CDK7 저해제 ‘Q901’에 대한 새로운 병용투여 메커니즘 연구 결과이다. 큐리언트는 지난해 12월 첫 환자 투약을 시작했으며, 미국 머크(MSD)로부터 ‘키트루다’ 무상공급 계약 체결에 따른 병용투여 임상도 계획하고 있다. 이어 큐리언트는 이번달 Q901의 임상사이
셀트리온헬스케어(Celltrion Healthcare)가 의약품 시장조사기관인 아이큐비아(IQVIA)를 기준으로 지난 2022년 튀르키예 병원처방액(Hospital Sales) 부문에서 전년대비 9단계 상승하며 상위 10위에 올랐다고 20일 밝혔다. 셀트리온헬스케어는 튀르키예에서 병원 처방액이 증가하게 된 원동력으로 우수한 제품 경쟁력과 함께 현지 법인의 세일즈 역량과 노하우가 큰 역할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셀트리온헬스케어는 지난 2017년 램시마(성분명 : 인플릭시맙)를 시작으로 튀르키예에서 현지법인을 통한 직접판매 체계를 구
젠큐릭스는 19일 254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완료했다고 공시했다. 젠큐릭스는 구주주에게 547만1259주를 유상증자해 214억7469만원, 실권주 100만2741주를 일반공모청약을 실시해 39억3575만원을 조달했다. 이번에 조달한 자금은 연구개발, 시설증축 및 설비운영 등 운영자금으로 164억원, 전환사채(CB) 상환자금으로 90억원이 사용될 예정이다. 이번 유상증자의 신주 발행가액은 3925원이며, 신주 상장예정일은 오는 5월8일이다. 대표주관사는 한국투자증권이다.
항암제 개발 바이오텍 테라펙스(Therapex)는 18일(현지시간) 미국 올랜도에서 열린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3)에서 4세대 EGFR TKI 후보물질 ‘TRX-221’의 전임상 결과를 포스터 발표했다. 테라펙스는 오는 6월 해당 전임상 결과를 바탕으로 식약처와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TRX-221의 임상1상 임상시험계획서(IND)를 제출할 예정이며, 올해 하반기 임상을 시작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TRX-221은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표준치료제인 ‘타그리소(오시머티닙)
삼양홀딩스(Samyang Holdings)는 LG화학이 mRNA 기반 항암신약 개발을 위해 삼양홀딩스의 약물 전달체 기술을 적용하는 전략적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계약은 비독점적 기술이전 계약으로, 삼양홀딩스는 LG화학에 mRNA 전달체 ‘나노레디(NanoReady)’의 기술 관련 조성물을 제공하며, LG화학은 이를 접목해 mRNA 기반 항암 신약물질을 발굴할 계획이다. LG화학은 계약에 따라 계약금과 개발 단계별 마일스톤을 삼양홀딩스에 지급하게 된다. 상세한 계약조건은 공개되지 않았다. mRNA는 세포안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BridgeBio Therapeutics)는 미국 올랜도에서 열린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3)에서 4세대 비소세포폐암(NSCLC) 치료제 후보물질 ‘BBT-207’의 전임상 연구결과 포스터를 발표했다고 20일 밝혔다. BBT-207은 비소세포폐암 환자에게서 3세대 EGFR 저해제 치료 이후 내성으로 나타나는 C797S 양성 이중 돌연변이 등 다양한 돌연변이 사례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개발되고 있다. 브릿지바이오는 지난 2021년부터 BBT-207을 개발해오고 있다. 이번 발표에서 브릿지바이오는 C79
에이프릴바이오(April Bio)는 19일 이사회를 열고 운영자금 조달을 위해 15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CB) 발행을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이번 CB는 하이바이오헬스케어 신기술조합, 이현자산운용, 레이크자산운용 등을 대상으로 발행되며, 사모발행으로 1년간 전환권 행사가 금지된다. CB의 청약일과 납입일은 오는 21일이며, 만기는 2028년 4월21일이다. 표면이자율은 0%, 만기이자율은 2%이다. CB의 보통주 전환가액은 주당 2만5655원, 전환가액 조정에 따른 최저 조정가액은 1만7959원이다. 전환청구기간은 2024년
웰트(Welt)는 19일 불면증 디지털치료기기(DTx) ‘WELT-I’가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승인받았다고 발표했다. 디지털치료기기는 의학적 장애나 질병을 예방·관리·치료하기 위해 환자에게 근거 기반의 치료적 개입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의료기기를 의미한다. 발표에 따르면 WELT-I는 의학적으로 입증된 인지행동치료를 환자의 수면패턴에 맞춰 개인맞춤형으로 제공하게 된다. 인지행동치료는 현재 임상진료 지침에서 1차치료로 권고되는 치료법이다. 웰트가 불면증 환자 12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임상시험 결과, WELT-I는 수면 효율을
릴리 “新기준”, ’아밀린 단독‘ 비만 2상서 "20% 감량"
노보노, 항암·MASH 초기에셋 "중단"..주력분야 '베팅'
리가켐, 'World ADC Awards' 2개부문 동시 수상
암젠 "희망 불씨", 'FGFR2b' 병용 3상 "효능부족" 중단
온코크로스, 복지부 주관 '전임상·임상 모델개발' 사업선정
리가켐, 'B7H4 ADC' 고형암 1상 "고용량 코호트 추가"
인사이트, 프렐류드와 ‘JAK2 변이형’ 9.35억弗 옵션딜
루카스, ‘바이러스 세포치료제’ 접근법 “개발 전략은?”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인사]삼양그룹, 정기 임원인사 및 조직개편
일동생활건강, 박하영 신임 대표 선임
씨어스, 디지털 기반 "글로벌 의료격차 해소" 비전
[기고]『아웃포스트』, 신약개발 최전선을 기록하다
씨젠, 3분기 매출 1135억 "전년比 4.3%↑"
일동제약, 디앤디파마텍 5만3023주 전량 "매각 결정"
한미약품, 'AI 신약개발' 구축 "국책과제 연구기관 선정"
리스큐어, ‘LB-P8’ 희귀간질환 글로벌 2상 "환자투여"
동아 메타비아, ‘GLP-1/GCG’ 신규 전임상 “美학회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