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올릭스(OliX Pharmaceuticals)는 13일 남성형 탈모치료제로 개발중인 ‘OLX104C(물질명 OX72021)’의 임상1b/2a상 임상시험계획서(IND)를 호주 벨버리 인체연구윤리위원회(Bellberry HREC)에 제출했다고 공시했다. OX104C는 안드로겐 수용체(AR)를 타깃하는 RNAi(RNA interference) 치료제로 올릭스의 비대칭 siRNA(cp-asiRNA)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됐다. 공시에 따르면 올릭스의 이번 임상1b/2a상은 안드로겐성 탈모가 있는 건강한 남성 120명을 대상으로 OLX10
다이이찌산쿄(Daiichi Sankyo)는 지난11일(현지시간) 노시스 바이오사이언스(Nosis Biosciences)와 만성질환을 치료할 특정 장기(organ)세포 타깃 RNA 치료제를 발굴하는 옵션딜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계약규모와 타깃, 옵션조건 등 자세한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다이이찌산쿄는 이번 옵션딜을 통해 간 이외의(beyond the liver) 다른 특정 장기세포에도 표적전달할 수 있는 RNA 치료제를 발굴하려고 한다. 현재 RNA 치료제가 간세포를 표적으로 효과를 보인 바 있지만, 아직 심장, 뇌, 폐 등의 장
BMS(Bristol Myers Squibb)가 블루버드바이오(bluebird bio)에서 BCMA CAR-T ‘아벡마(Abecma)’를 들고 분사한 투세븐티바이오(2seventy bio)를 2억8600만달러 규모로 인수한다. 지난 2013년부터 12년간 이어온 파트너십 끝에, BMS가 시판 BCMA CAR-T 아벡마의 전체 권리를 인수하게 된다. BMS와 투세븐티의 관계는 지난 2013년 셀진(Celgene)이 블루버드와 CAR-T 개발을 위한 옵션딜을 체결하며 시작됐다. 이후 셀진이 2016년 아벡마에 대한 라이선스 옵션을 행
지놈앤컴퍼니(Genome & Company)는 12일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GEN-001’로 진행중이던 담도암(BTC) 국내 임상2상을 자진취하 한다고 공시했다. 회사는 이번 임상2상에서 사전치료를 받은 (1차 또는 2차) 담도암 환자 148명을 대상으로 GEN-001과 PD-1 항체 '키트루다(Keytruda, 성분명: 펨브롤리주맙)' 및 화학항암제(mFOLFOX) 병용투여를 평가해왔다. 임상은 지난 2023년 8월에 시작해 내년 10월 완료할 예정이었다. 공시에 따르면 회사는 이번 자진취하 사유에 대해, 키
와이바이오로직스(Y-Biologics)는 12일 인공지능(AI) 신약개발 기업 갤럭스(Galux)와 AI 기술을 활용한 항암신약 개발 공동연구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협력에서 두 회사는 AI기술을 활용한 항체 기반 면역항암제 개발에 초점을 맞출 예정이다. 와이바이오는 갤럭스가 AI신약설계 플랫폼을 통해 도출한 특정 후보물질을 자사의 항체 플랫폼과 결합해 차세대 면역항암제로 개발할 계획이다. 갤럭스는 단백질 구조 및 상호작용 예측기술을 개발한 석차옥 서울대 화학부 교수 연구팀을 중심으로 지난 2020년 9월 설립된 A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뷰노(VUNO)는 12일 이사회를 열고 국내 코어라인소프트(Corelinesoft)에 34억원 규모를 투자하기로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뷰노는 코어라인이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발행한 전환우선주(CPS) 42만9293주를 인수하는 방식으로 주식을 취득한다. 신주발행가액은 주당 7920원이며, 보통주로 전환하게 되면 지분 비율은 약 3.23%이다. 뷰노는 코어라인과의 협력관계 구축을 위해 이번 투자를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뷰노는 이번 공시에서 회사의 흉부CT 솔루션인 ‘뷰노메드 흉부C
테라베스트(TheraBest)는 피지훈 서울대어린이병원 소아신경외과 교수팀의 ‘iPSC 유래 GD2 CAR-NK세포 뇌종양 치료제’가 서울대의생명연구원 주관 집중육성 연구과제에 선정됐다고 12일 밝혔다. 테라베스트는 유도만능줄기세포(iPSC) 유래 NK세포치료제를 개발하는 바이오텍이다. 테라베스트는 지난 2023년부터 피지훈 교수 연구팀과 종양세포를 특이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GD2 CAR-NK에 대한 선행연구를 수행해 왔다. 연구팀은 뇌종양 전임상 연구에서 GD2 CAR-NK가 종양세포를 제거하는 효능을 확인한 바 있다. 이번
화이자(Pfizer)가 베팅하고 있는 PROTAC의 첫 임상3상에서, 사실상 경쟁약물과 별반 다르지 않은 결과가 도출됐다. 화이자가 4년전 아비나스(Arvinas)로부터 계약금 10억달러를 주고 사들였던 에스트로겐수용체(ER) PROTAC ‘베프디제스트란트(vepdegestrant)’의 임상3상 데이터다. 이론대로라면, 경쟁구도에 있는 차세대 에스트로겐수용체 분해제(SERD)는 수동적 분해기전인 것과 대조적으로 PROTAC은 체내 유비퀴틴(ubiquitin) 분해시스템을 통해 직접 표적한다. 따라서 더 높은 분해 효능을 가져, 기
J&J(Johnson & Johnson)가 젠맙(Genmab)과 공동개발하던 헥사바디 기반 차세대 CD38 항체에 대한 라이선스인(L/I) 옵션을 포기했다. 이에 따라 J&J와 젠맙의 파트너십은 종료된다. J&J는 지난 2019년 6월 젠맙과 공동개발한 CD38 항체 ‘다잘렉스(Darzalex, daratumumab)’에 이어, 효능을 개선한 새 CD38 항체를 개발하기 위해 새로운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었다. 당시 계약 내용은 젠맙의 개념입증(PoC) 임상 이후에, J&J가 에셋에 대한 글로벌 권리를 1억5000만달러로 라이선스
빔 테라퓨틱스(Beam Therapeutics)가 알파-1 항트립신결핍증(alpha-1 antitrypsin deficiency, AATD)에 대한 CRISPR 기반 유전자치료제의 임상1/2상에서 확인한 개념입증(PoC) 초기결과(initial data)를 처음으로 공개했다. 빔은 in vivo 염기편집(base editing) 후보물질 ‘BEAM-302’로 진행한 AATP 임상1/2상에서 용량의존적(dose-dependent)으로 질병을 유발하는 변이 단백질의 교정(correction)이 나타난 것을 확인했다. BEAM-302는
부스트이뮨(Boostimmune)은 전이성 위암에서 혈액 TCTP(translationally controlled tumor protein)가 면역억제 특성과 환자 예후와의 관련성을 밝혀 바이오마커로서 가능성을 확인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류민희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교수팀과 타다츠구 타니구치(Tadatsugu Taniguchi) 동경대 교수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진행했다. 해당 연구결과는 미국면역항암학회(SITC)가 발행하는 국제학술지인 JITC(Journal for ImmunoTherapy of
글로벌 위탁생산(CDMO) 기업 베터파마(Vetter Pharma International GmbH)는 독일 라벤스부르크에 위치한 의약품 소재 물류센터의 증축을 진행한다고 11일(현지시간) 밝혔다. 베터파마는 이번 증축 공사에 1억5000만유로를 투자해, 1만6000개의 냉장보관(cool-storage) 팔레트를 추가할 예정이다. 증축이 완료되면 베터는 지금보다 2배 이상의 냉장보관 팔레트를 보유하게 되며, 냉장보관을 포함해 다양한 온도 조건으로 총 6만8000개 팔레트에 해당하는 물류 저장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현재 베터는 라벤
동아에스티(Dong-A ST)의 항체-약물접합체(ADC) 전문 자회사인 앱티스(AbTis)는 12일 글로벌 ADC 위탁연구개발생산(CRDMO) 전문기업 우시XDC(WuXi XDC)와 차세대 ADC 치료제 개발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MOU는 앱티스의 링커 플랫폼 기술인 앱클릭(AbClick®)과 우시XDC의 CMC(chemistry, manufacturing and controls) 개발 플랫폼을 결합해 차세대 ADC 개발의 속도를 높이고 효율성을 향상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한다. 우시XDC는 앱티스의
디날리 테라퓨틱스(Denali Therapeutics)는 지난5일(현지시간) 미국 증권거래소(SEC) 공시를 통해 eIF2B 작용제 ‘DNL343’가 연장임상 결과에서도 혈청 경쇄필라멘트(neurofilament light chain, NfL) 등 루게릭병(ALS) 증상지표를 충족하지 못했다며, 임상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DNL343의 ALS를 적응증으로 하는 HEALEY ALS 임상2/3상은 지난 1월에 탑라인 데이터가 나온 바 있다. 탑라인 결과에 따르면 DNL343를 평가한 환자군(regimen G)에서
Qureator announced on the 13th that the appointment of Dr. Branka Mitrovic as its new Chief Scientific Officer (CSO). Dr. Mitrovic brings extensive experience in biomedical research and drug development, with a proven track record in advancing therapeutics for genetic, neurodegenerative, and autoim
미국 샌디에고와 국내 기반을 둔 큐리에이터(Qureator)가 버텍스파마슈티컬(Vertex Pharmaceuticals)에서 15년 동안 약물발굴과 인간질병모델 경험을 쌓은 브랑카 미트로빅(Branka Mitrovic)을 최고과학책임자(CSO)로 영입했다고 11일 밝혔다. 미트로빅 CSO는 큐리에이터의 과학전략과 R&D를 이끌게 되고, 회사의 질병모델 개발과 타깃발굴(target identification)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회사측은 기대한다. 큐리에이터(이전 사명 큐리오칩스)는 지난 2017년 인체조직칩(organ-on-a-
펩트론, ADC의 "세포유입∙효능↑" 플랫폼 초기결과 '공개'
LG화학, 新면역관문 ‘LILRB1 항체’ 전임상 “첫 공개”
베링거, 'HER2 TKI' 폐암 "기세..post-ADC서도 효능"
이뮨온시아, 공모가 상단 3600원 확정.."329억 조달"
티움바이오, TGF-β/VEGF+키트루다 2상 "ASCO 발표"
유한, ‘TKI’ EGFR 엑손20도 효능..‘EGFRx4-1BB’ 공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이엔셀, 셀트리온 출신 염건선 이사 영입
삼진제약, BD담당에 이서종 이사 영입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머크, ‘키트루다' 美 생산시설 착공..”10억弗 투자”
오스코텍, 'EP2/4 저해제' 고형암 "FDA 1상 IND 신청"
바이젠셀, 테라베스트와 'GD2 CAR-NK' 공동개발 계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