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Bridge Biotherapeutics)가 미국 뉴올리언스에서 개최되고 있는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2)에서 13일(현지시간) C797S 변이를 포함하는 EGFR 이중변이 저해제 ‘BBT-207’의 전임상 데이터를 공개했다. BBT-207은 비소세포폐암 환자에게서 ‘오시머티닙(제품명: 타그리소)’ 등 3세대 EGFR 저해제 치료 이후 내성으로 나타나는 C797S 변이 포함 EGFR 이중 돌연변이를 표적하는 4세대 EGFR 저해제 후보물질이다. 기존 EGFR TKI 저해제 투여에 따라 나타나는 저항성 변
면역항암제 개발기업 넥스아이(NEX-I) 연구팀이 PD-1 항체 불응성을 가진 종양에서 T세포 침윤(infiltration) 및 면역세포 활성을 높여 항암효과를 높이는 NANOG/HDAC1 신호전달 기전과 면역항암 불응성인자 발굴 플랫폼에 대한 연구결과를 내놨다. 연구팀은 NANOG/HDAC1 신호전달의 증가가 종양미세환경(TME)에서 T세포 침윤억제, 종양세포 사멸저항(anti apoptosis) 등을 유도해 PD-1 항체 치료에 불응하는 현상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PD-1 항체 불응성 마우스모델에서 NANOG/HDAC1 발현이
파멥신(Pharmabcine)이 개발하고 있는 VISTA 항체 ‘PMC-309’가 선천면역과 후천면역을 모두 활성화시킨다는 전임상 결과를 공개했다. 다양한 면역활성화 기전을 갖는 PMC-309는 후천면역만을 활성화시키는 PD-1 항체와 병용으로 사용될 경우 더 높은 종양성장억제 효능을 보였다. 파멥신은 이같은 결과를 근거로 병용투여 임상1상을 고려하고 있다. 파멥신은 VISTA 타깃 면역관문억제제 PMC-309에 대한 전임상 결과를 지난 8일(현지시간)부터 미국 뉴올리언스에서 열리는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2)에서 온라인으로
유한양행(Yuhan)이 개발중인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HER2x4-1BB 이중항체 ‘YH32367(ABL105)’이 전임상에서 HER2 저발현(low) 암종에서 효능을 보인 데이터를 새롭게 공개했다. 올해 하반기 임상1상 시작을 계획하고 있는 가운데 HER2 발현 고형암에서 YH32367의 적응증을 넓힐 가능성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또한 영장류 독성시험에서 확인한 긍정적인 안전성 데이터도 업데이트했다. 유한양행은 11일(현지시간) 미국 뉴올리언스에서 열린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2)에서 YH32367의 전임상 결과를 포스터를
바이오엔텍(BioNTech)의 클라우딘6(Claudin-6, CLDN6) 타깃 CAR-T 프로그램이 고환암, 난소암 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부분관해(Partial Response, PR)를 달성하며 긍정적인 임상결과를 나타냈다. 바이오엔텍은 지난 11일(현지시간)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2)에서 고형암 CAR-T세포치료제 후보물질 ‘BNT211’ 단일 및 RNA 항암백신 ‘CARVac’ 병용요법에 대한 임상 1/2상 중간결과를 발표했다. 바이오엔텍의 고형암 CAR-T 프로그램은 종양항원 클라우딘6(CLDN6)을 타깃하는
C4 테라퓨틱스(C4 Therapeutics, C4T)가 개발중인 표적단백질분해(targeted protein degradation, TPD) 후보물질 ‘CFT7455’이 다발성골수종(Multiple Myeloma, MM) 초기임상에서 유의미한 개선을 보이는데 실패했다. 또한 임상도중 4등급(Grade 4) 수준의 부작용이 확인되면서 치료제의 독성이슈까지 우려를 더하고있다. 이 소식으로 C4T의 주가는 전일종가 대비 50.39% 하락했다. C4T는 지난 8일(현지시간) 전사인자 IKZF1/3를 타깃하는 표적단백질분해(TPD) 후보
레고켐 바이오사이언스(LegoChem Biosciences)가 자체 개발하는 ADC 프로그램으로 가장 앞서가는 TROP2 ADC가 길리어드의 ‘트로델비(Trodelvy)’, 아스트라제네카-다이이찌산쿄의 ‘DS-1062’ 경쟁약물이 불응하는 췌장암, 폐암, 대장암 등 종양모델에서 효능을 보인 전임상 데이터를 내놨다. 레고켐바이오는 10일(현지시간) 미국 뉴올리언스에서 열린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2)에서 TROP2 ADC ‘LCB84’의 전임상 데이터에 대한 포스터 발표를 진행했다. 이날 발표는 정철웅 레고켐바이오 신약연구소장
이중고리 구조의 펩타이드(Bicyclic peptide)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는 바이시클 테라퓨틱스(Bicycle Therapeutics)가 지난 10일(현지시간) 넥틴-4(Nectin-4) 발현 고형암 치료제로 개발중인 후보물질 ‘BT8009’의 임상 1/2상 중간결과를 미국 암연구학회(AACR 2022)에서 구두로 발표했다. 바이시클의 이중고리 구조 펩타이드 ‘Bicycles®‘은 선형(linear) 펩타이드가 스캐폴드(Scaffold)에 2개의 고리구조로 결합되어 있어 표적단백질 외 다른 단백질에 결합하지 못하도록 억제해 치
아피메드(Affimed)의 말기 림프종 환자를 위한 NK세포 인게이저(engager)+NK세포 병용투여가 후속 임상에서도 계속해서 높은 효능을 보여줬다. 아피메드는 지난해 해당 약물의 임상1상에서 전체반응률(ORR)이 100%라는 초기결과를 발표하며 주목을 받은 바 있다. 이번 미국 암연구학회(AACR 2022)에서는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했을 때도 ORR이 89%로 나타난 후속 결과가 공개됐다. 사이토카인방출증후군(CRS), 세포독성, 이식편대숙주질환(GvHD)이 발생한 환자도 없었다. 여전히 높은 효능과 우수한 안전성을 보
암젠이 올해 최초의 KRAS G12C 저해제 ‘루마크라스(Lumakras, sotorasib)’의 임상3상 결과발표를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가속승인 근거가 된 임상1/2상의 장기추적 결과가 나왔다. 지금까지 KRAS G12C 저해제 가운데 가장 긴 시간을 추적한 결과이며, 암젠은 후발주자와 격차를 벌리려 하고 있다. 암젠은 1년 생존기간(OS) 데이터에서 환자 생존율 50.8%를 확인한데 이어, 이번에 업데이트한 2년 생존율은 32.5%였다. 임상에 참여한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83%가 이전 백금기반 화학항암제와 PD-(L)1 치
이뮨온시아(ImmuneOncia)는 10일(현지시간) 개발중인 CD47xPD-L1 이중항체 ‘IOH-001’에 대한 전임상 결과를 처음으로 공개했다. IOH-001은 CD47, PD-L1 단일클론 항체 병용투여보다 높은 종양성장억제 효능을 보였으며, 낮은 적혈구응집반응(hemagglutination)을 확인한 결과로 CD47 항체의 대표적인 부작용인 빈혈 등의 이슈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회사측은 기대했다. 이뮨온시아는 지난 8일부터 미국 뉴올리언스에서 열리는 미국 암연구학회(AACR 2022)에서 현장 포스터 발표를 통해 이같
지난해 첫 KRAS G12C 저해제 등장 이후 KRAS 타깃 항암제는 가장 발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분야이다. KRAS 저해제 출시 스타트를 끊은 암젠의 ‘루마크라스(Lumakras, sotorasib)’를 포함해 현재 임상단계에 있는 KRAS G12C 저해제만 10개이다. 각 회사는 각기다른 병용투여 전략을 내세우고 있으며, 개발경쟁이 치열한 분야다. 이러한 가운데 올해 하반기 다른 변이를 타깃하는 KRAS G12D 저해제의 임상개발 단계로 진입도 기대된다. 이제 글로벌 업계의 시선은 KRAS G12C를 넘어, 그 다음은 무엇인
티움바이오(TiumBio)는 종양면역시스템을 모사한 in vitro 실험을 통해 ALK5/VEGFR2 이중저해제 ‘TU2218’이 기존의 ALK5 저해제 대비 적응면역, 선천면역, 공동자극 신호를 높게 활성화시킨다는 것을 확인했다. 해당 내용은 지난 8일(현지시간) 미국 암연구학회(AACR 2022)에서 온라인 포스터발표로 공개됐다. ALK5는 종양면역환경 내에서 T세포 작용을 억제해 암세포의 성장과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TGF-ß의 수용체다. VEGFR2는 암세포의 성장에 필수적인 혈관생성인자 VEGF의 수용체다. 티움바이
LG화학(LG Chem)이 RON 인산화효소(RON kinase) 저해제가 종양내 면역억제 대식세포(macrophage)를 리프로그래밍시키는(reprogramming) 기전을 통해 항암제로 개발 가능성을 보여주는 연구결과를 첫 공개했다. LG화학은 8일부터 13일(현지시간) 개최되고 있는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2에서 RON 저해제에 대한 온라인 포스터를 발표한다. LG화학은 현재 RON 저해제의 선도·백업 화합물의 최적화를 진행하고 있으며, 올해말 후보물질을 선정해 전임상 연구를 시작할 계획이다. RON은 MET 전암유전
바이젠셀(Vigencell)은 8일(현지시간) ‘CD30’ 신호전달 도메인 연구결과에 대한 포스터를 암연구학회(AACR 2022)에서 온라인으로 발표했다. CD30은 바이젠셀이 개발한 γδ CAR-T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신호전달 도메인이다. CD30은 종양괴사인자(TNF) 수용체패밀리 및 종양마커의 세포막 단백질 중 하나로 활성화된 T세포, B세포, NK세포에서 발현한다고 알려져 있다. 바이젠셀은 최적의 신호전달 도메인을 찾기 위해 CD30의 핵심 세포질내(cytoplasmic) 도메인을 이용해 다양한 구조의 도메인을 디자인
오름테라퓨틱(Orum Therapeutics)이 항체를 이용해 HER2 발현 종양에 선택적으로 분해약물을 전달하는 ‘항체분해약물 접합체(antibody neodegrader conjugate, AnDC)’ 플랫폼을 적용한 전임상 데이터를 첫 발표한다. 이번에 발표하는 것은 리드프로그램인 ‘ORM-5029’로 HER2 항체 퍼투주맙(pertuzumab)에 페이로드(payload)로 GSPT1 분해약물을 결합시킨 약물이다. 오름테라퓨틱은 연내 ORM-5029의 임상시험계획서(IND)를 제출할 계획이다. 오름테라퓨틱은 미국 뉴올리언스에
HLB제약, 중앙연구소장에 강성권 박사 선임
에이비엘, 인투셀 'TOP1 ADC' 계약해지.."특허이슈"
브릿지바이오. '파라택시스 코리아'로 사명변경
종근당바이오, '보툴리눔 톡신' 국내 임상3상 결과공개
CJ바이오사이언스, 윤상배 대표 내정.."천종식 고문"
퓨쳐켐, ‘전립선암 진단’ 방사성 국내 3상 “최종결과”
입셀, 3개 기관과 ‘iPSC 분양’ 60억 계약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큐리언트, '텔라세벡' 호주 임상서 "80명 추가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