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길리어드 사이언스(Gilead Sciences)는 원발 경화성 담관염(Primary Sclerosing Cholangitis, PSC) 환자에게 비스테로이드성 파네소이드 X 수용체(Farnesoid X Receptor,FXR) 작용제인 ‘GS-9674’를 적용한 임상 2상에서 간 생화학 검사 및 담즙정체증(Cholestasis) 표지인자가 유의미하게 개선된 결과를 지난 9일 발표했다. 임상 결과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9일부터 13일까지 열리는 미국 간 학회(The Liver Meeting® 2018, AASLD 2018)에서 공
미국 머크가 말기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항 LAG-3 치료제(MK-4280)와 항 TIGIT 치료제(MK-7684) 후보물질의 용량을 도출하기 위한 임상 1/2상의 예비 안전성 및 효능 결과를 지난 7일 공개했다. 이번 임상결과 발표는 미국 워싱턴에서 제33회 미국 면역암학회(SITC’s 33rd Annual Meeting)에서 구두발표로 진행됐다. 이번 결과는 MK-4280과 MK-7684를 이용한 단일 치료요법이나 머크의 항 PD-1 치료제인 키트루다(Keytruda, 성분명: pembrolizumab)와의 병용요법에 대한
사노피(Sanofi)와 리제네론(Regeneron)이 심근 경색이나 불안정 협심증을 동반하는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Acute Coronary Syndrome, ACS) 환자 1만8924명에게 PCSK 저해제인 '프랄런트(Praluent, 성분명: alirocumab)'를 투여한 대규모 임상(ODYSSEY OUTCOMES trial)에서 확인한 긍정적인 결과를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NEJM)에 게재했다고 지난 7일 발표했다. 프랄런트는 PCSK9(Proprotein convertase s
노바티스 산도스는 미국에서 리툭시맙 바이오시밀러 허가신청을 진행하지 않겠다고 지난 2일 밝혔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최종 승인을 위해 추가 정보를 요구한데 따른 결정이다. 산도스는 미충족 수요군이 있는 다른 바이오시밀러에 집중하겠다는 의견을 밝혔다. 산도스는 지난해 9월 FDA에 '리삭톤(Rixathon)'에 대한 바이오신약 허가신청서(Biologics License Application, BLA)를 제출했다. 그러나 올해 5월 FDA로부터 최종 보완요구 공문(Complete Response Letter, CRL)을 받으
약물대사와 관련된 유전자 변이를 검사하는 DTC(Direct To Customer, 소비자 직접 의뢰) 유전자검사가 미국에서 최초로 승인됐다. 2일 업계에 따르면 23andMe는 FDA에서 ‘약물유전학 개인유전체 서비스('Personal Genome Service Pharmacogenetic Reports)’ DTC 검사의 마케팅 승인을 지난 31일(현지시간) 받았다. 이 검사는 소비자가 23andMe에 타액 샘플을 제공하면 일부 약물의 신진대사 속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33가지 유전변이 정보를 받게 된다. 약물대사 관련 유전자
유전체 분석장비기업 일루미나가 경쟁사인 퍼시픽바이오사이언스(Pacific Biosciences, 이하 팩바이오)를 12억 달러에 인수, 20년만에 가장 큰 빅딜을 성공시켰다. 일루미나는 이를 통해 팩바이오의 유전체 분석기술을 확보함으로써 업계 선두자리를 이어나갈 것으로 보인다. 일루미나는 1일(현지시간) 팩바이오를 주당 8달러 가격으로 총 12억달러(약 1조3536억원)에 인수키로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팩바이오의 30일간 거래량 평균주가(10월 31일 마감)에 71% 프리미엄을 더한 값이다. 이번 인수로 일루미나는 일련의 복
프로바이오틱스 유용성 논란과 관련한 새로운 연구결과가 나왔다. 건강한 상태의 장에서는 프로바이오틱스 박테리아가 유익할 수 있지만, 이미 내장 장벽이 손상된 경우에서는 오히려 해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1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텍사스 주립대 오스틴(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김현중 교수 연구팀은 최근 프로바이오틱스 유용성과 관련된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지 'PNAS'에 발표했다. 김 교수와 그의 연구팀은 체내 장 상피세포가 손상됐을때 어떻게 염증이 발생하는가를 보여주는 칩을 이용한 실험을 통해
일라이 릴리(Eli Lilly)와 디서나 파마슈티컬즈(Dicerna Pharmaceuticals)가 심장 대사 질환, 신경퇴행성 질환, 통증 분야와 관련된 신약을 발굴, 개발, 상용화하기 위해 글로벌 라이선스와 연구 협력(collaboration)에 대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29일 발표했다. 이번 계약으로 릴리는 디서나의 GalXC™ RNAi 기술 플랫폼을 통해 신약 타깃을 임상개발과 상용화 단계까지 진행시킬 계획이다. RNAi(RNA interference, RNA 간섭)는 mRNA를 파괴함으로써 ‘질병을 유발하는 유전자’의 발
알츠하이머병 신약 후보물질의 후기 임상에서 첫 긍정적인 결과가 나왔던 아밀로이드 항체 'BAN2401'에 대한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바이오젠-에자이가 지난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11회 알츠하이머병 임상학회(CTAD)' 컨퍼런스에서 기존에 논란이 제기됐던 하위그룹의 임상결과를 발표하고 비관론이 일고 있다. 발표 직후 바이오젠 주가는 4%, 에자이 주가는 6% 떨어졌다. 바이오젠-에자이는 지난 7월 9일 BAN2401이 유의미하게 인지기능 저하를 낮췄다고 밝혔다. 업계는 불씨가 꺼젔던 아밀로이드 가설이 다시금 힘을 얻었다고
화이자(Pfizer)와 일라이 릴리(Eli Lilly)가 무릎이나 고관절에 중등도 및 중증의 골관절염(Osteoarthritis, OA) 통증이 있는 환자에게 '타네주맙(Tanezumab)'을 피하 투여해 효능과 안전성 평가를 진행중인 임상 3상에서 3개의 동반 1차 종결점을 충족했다고 지난 23일 발표했다. 타네주맙은 신경성장인자(Nerve Growth Factor, NGF) 저해제로 알려진 진통제의 일종으로, 손상이나 염증 등에 의해 수치가 상승하는 NGF에 결합해 이를 저해함으로써 통증 신호를 유지시키는 역할의 인간화 단일
알츠하이머병 임상에서 실패했던 타깃인 RAGE(receptor for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가 특정 환자군에게 작용할 가능성을 보여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vTv 테라퓨틱스(vTv Therapeutics)는 제2형 당뇨병과 알츠하이머병을 동시에 앓고 있는 환자에게 RAGE 저해제 '아젤리라곤(azeliragon, TTP488)'이 긍정적인 효능을 나타낼 가능성을 확인했다. 회사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11회 알츠하이머병 임상학회(CTAD) 컨퍼런스'에서 24일 발표했다. vTv는 올해 4월
UCB와 바이오젠(Biogen)이 전신홍반루푸스(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 치료제 후보물질인 CD40L 항체 ‘다피롤리주맙 페골’(Dapirolizumab pegol, DZP)의 안전성 및 효능을 평가한 임상 2b상에서 1차 종결점을 충족하지 못한 결과를 23일 발표했다. 다피롤리주맙 페골은 UCB와 바이오젠이 공동 개발한 ‘페길화된 Fab 항 CD40L’(anti-CD40L pegylated Fab)로, CD40L과 CD40 수용체의 상호작용에 의한 T세포와 다른 면역세포(특히 B세포, 항원제
온코메드 파마슈티컬(OncoMed Pharmaceuticals)이 혈관내피성장인자(VEGF)과 DLL4(delta-like ligand 4)에 결합하는 이중항체인 '나비시시주맙(navicixizumab, OMP-305B83)'의 'first-in-human' 임상 1b상 중간 결과를 공개했다. 온코메드는 베바시주맙(아바스틴) 등 기존 치료법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에게서 긍정적인 임상 결과를 확인했다. 온코메드는 독일 뮌헨에서 열린 유럽 종양학회(ESMO) 2018에서 지난 20일 데이터를 발표했다. 온코메드는 백금-기반 치료법에 저
로슈(Roche)는 절제 불가능한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삼중음성유방암(Triple-Negative Breast Cancer, TNBC) 환자의 1차 치료제로 '티쎈트릭(Tecentriq, 성분명: Atezolizumab)'과 화학요법인 '아브락산(Abraxan, 성분명: albumin-bound paclitaxel)'을 병용 투여한 임상 3상(IMpassion130 study)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확인했다고 지난 20일 발표했다. 면역항암제 티쎈트릭은 종양세포나 종양 침윤 면역세포에서 발현하는 PD-L1에 결합하는 단일클론항체
에자이(Eisai)와 일본 게이오 의과대학 연구진은 유도만능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iPSCs)에서 분화시킨 '도파민 신경세포'를 이용해 파킨슨병 치료에 잠재력이 있는 후보물질로 '베니디핀(Benidipine)'을 발견했다고 19일 발표했다. 베니디핀은 현재 고혈압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물질이다. 파킨슨병은 알츠하이머병 다음으로 흔한 신경 퇴행성 질환으로, 뇌의 흑질에 있는 도파민 신경세포가 점차 손실되어 발병한다. 파킨슨병 환자의 90%는 특발성이며, 환경이나 질환 메커니즘 같은 다양한
사노피(Sanofi)와 리제네론(Regeneron)은 ‘비용종이 있는 축농증(만성 비부비동염)’(Chronic rhinosinusitis with nasal polyps, CRSwNP) 환자를 대상으로 한 듀피젠트(Dupixent, 성분명: Dupilumab) 임상 3상에서 1차 및 2차 종결점을 모두 충족하는 긍정적인 결과를 얻었다고 지난 16일 발표했다. 사노피와 리제네론이 공동 개발한 듀피젠트는 사이토카인 IL-4와 IL-13의 신호전달을 억제하도록 고안된 인간화 단일클론항체로 지난해 3월, 중등도 및 중증 아토피 피부염 성
롯데바이오, 송도 바이오캠퍼스 '1공장 상량식' 개최
노보노디스크 "후폭풍 감내", 9000명 해고 '결단'
바이오엔텍-BMS, ‘PD-L1xVEGF’ 글로벌 2상 “히트”
뷰노, 마이허브에 ‘골연령 분석 AI’ 27억 "매각"
中항서, 이번엔 ‘심혈관’ NewCo와 “10.8억弗 L/O 딜”
세르비에, 카에루스서 ‘BK채널 조절제’ 4.5억弗 인수
루닛, 프랑스 최대 공공의료 조달기관 "입찰 수주"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셀트리온, 고용노동부 '일자리 으뜸기업' 선정
SG바이오, 넥셀과 ‘hiPSC+오가노이드’ 항암제 평가 협력
보령, 안산 캠퍼스 '페니실린 생산시설' 증설
일동제약, 印尼칼베와 고지혈증 ‘드롭탑’ 공급계약 확대
동국생명과학, 제이앤제이와 'MRI 소프트웨어' 공급계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