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 바이오텍 바이오세우스(Biotheus)가 핀란드의 틸트 바이오테라퓨틱스(Tilt Biotherapeutics)가 글로벌 1상을 진행중인 항암바이러스 후보물질 ‘TILT-123’의 중화권내 개발과 상업화 권리를 확보했다. TILT-123은 TNF-α와 IL-2를 발현하도록 변형된 아데노바이러스를 기반으로 하는 항암바이러스 신약후보물질이다. 바이오세우스는 지난 27일 틸트 바이오테라퓨틱스의 항암바이러스 후보물질 TILT-123에 대한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계약에 따라 바이오세우스는 중국, 홍콩, 대만, 마카오 등
애브비와 엘러간이 지난해 6월 발표한 630억달러 규모의 인수합병 절차를 완료하기 위해 독과점 우려 약물 3종의 처분에 나섰다. 엘러간은 27일(현지시간) ‘브라지쿠맙(Brazikumab)’, ‘젠펩(Zenpep, 성분명: pancrelipase)’, ‘비오케이스(Viokace, 성분명: pancrelipase)’를 각각 아스트라제네카와 네슬레(Nestlé)에 매각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엘러간은 이번 계약의 전체 규모는 공개하지 않았다. 이번 계약은 애브비와 엘러간의 합병 완료를 위해 독과점 우려 약물을 매각하기 위한
미국 액셀러론 파마(Acceleron Pharma)는 27일(현지시간) 폐동맥 고혈압(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PAH) 환자에게 TGF-β 저해제 ‘소타터셉트(sotatercept, 프로그램명: ACE-011)’를 적용하는 PULSAR 임상2상(NCT03496207)에서 1, 2차 종결점을 충족했다고 발표했다. 임상 결과 발표 이후 액셀러론의 주가는 전날 대비 67%가 올랐다. 폐동맥 고혈압은 고혈압 환자에게 폐 혈액 부위의 혈압이 특히 높게 나타나는 희귀질환이다. 폐에서 혈액을 운반하기 위한 우
로슈(Roche)와 자회사 제넨텍(Genentech)이 PD-L1 타깃 면역관문억제제 '티쎈트릭(Tecentriq®, atezolizumab)'의 적응증을 근육 침습성 요로암(muscle-invasive urothelial cancer, MIUC) 수술 후 보조치료요법으로 확장하려는 임상 3상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얻는데 실패했다. 제넨텍은 티쎈트릭을 이용한 근육 침습성 요로암환자(muscle-invasive urothelial cancer, MIUC)의 수술 후 보조치료요법에 대한 임상 3상(NCT02450331, IMvigor1
프랑스 제약사 입센(Ipsen)이 진행성 골화성 섬유이형성증 치료제로 개발하는 '팔로바로텐(palovarotene)'의 글로벌 임상을 중단키로 했다. 독립적 데이터 모니터링 위원회의 팔로바로텐 무용성 평가결과에 따른 것이다. 팔로바로텐은 입센이 지난해 4월 클레멘티아 파마슈티컬스(Clementia Pharmaceuticals)를 10억달러에 인수하면서 확보한 희귀 골질환 신약후보물질이다. 입센은 진행성 골화성 섬유이형성증(fibrodysplasia ossificans progressiva, FOP) 환자를 대상으로 팔로바로텐의 효
아스트라제네카와 다이이찌산쿄가 공동개발하는 HER2 항체-약물 접합체(antibody-drug conjugates, ADC)가 이전 케싸일라(Kadcyla)가 실패한 HER2 양성(HER2+) 위암 적응증에서 성공적인 임상 결과를 냈다. 로슈는 2015년 HER2+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케싸일라의 임상2/3상에서 실패하면서, HER2 치료제 시장에서 적응증을 확대하지 못한 바 있다. 이번에 긍정적인 결과를 낸 HER2 ADC '엔허투(Enhertu, trastuzumab deruxtecan)'는 지난달 미국 식품의약국(FDA)
치료제가 없던 상피육종(epitheloid sarcoma)에 대한 첫 경구용 치료제로 에피자임(Epizyme)의 '타즈베릭(TAZVERIK™, tazemetostat)’이 곧 출시된다. 타즈베릭은 암세포의 성장을 조절하는 메틸전달효소(methyltransferase) EZH2에 대한 저해제다. 에피자임은 지난 23일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완전히 절제 할 수 없는 전이성 또는 국소 진행성 상피육종을 가진 성인과 16세 이상 소아환자를 대상으로 타즈베릭의 시판을 가속 승인(accelerated approval)했다고 밝혔다. 에
악시아 테라퓨틱스(Akcea Therapeutics)는 개발중인 안티센스 치료제 후보물질이 고중성지방혈증 (hypertriglyceridemia) 환자의 90% 이상에서 혈중 트리글리세리드를 정상수준으로 회복시킨 긍정적인 임상결과를 발표했다. 이 결과를 근거로 악시아는 적응증 확대를 위해 약물 개발에 속도를 내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달 전 노바티스는 해당 약물에 대한 권리를 포기한 바 있다. 악시아는 지난 22일 심혈관질환(cardiovascular disease, CVD) 위험이 있거나 질환을 앓고있는 고중성지방혈증(hyper
독일 바이오엔텍(BioNTech)이 개인맞춤형 및 오프-더 쉘프(off-the shelf, 기성품) mRNA 플랫폼에 기반한 파이프라인을 대거 공개했다. 또한 고형암 조직에서만 발현하는 새로운 항원 타깃의 CAR-T 후보물질도 소개했다. 바이오엔텍은 올해 다수의 파이프라인을 임상에 진입시켜 동시개발에 나선다. Ugur Sahin 바이오엔텍 대표는 지난 15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JP Morgan Healthcare Conference)에서 발표자로 나서 mRNA 기반 플랫폼을 소개하고, 이를 적용
베이진(Beigene)은 PD-1항체 ‘티슬레리주맙(tislelizumab)’의 편평성 비소세포폐암 임상 3상 중간분석결과 무진행생존률(PFS)을 개선시켰다고 발표했다. 베이진은 지난 21일 PD-1항체 ‘티슬레리주맙+화학치료제’ 병용요법을 편평성 비소세포폐암(Squamous Non-Small Cell Lung Cancer, sNSCLC)에 대해 1차 치료제로 진행한 상업화 임상 3상(NCT 03594747, BGB-A317-307) 중간 결과 분석에서 무진행 생존률(Progression-Free Survival, PFS)를 개선
대마에서 추출한 희귀 성분인 카나비놀(cannabinol, CBN)을 성분으로 한 첫 치료제가 임상에 들어간다. 기존에 대마에서 추출한 카나비디올(Cannabidiol, CBD), THC(Tetra Hydro Cannabinol)를 이용한 임상은 있었지만 CBN은 처음이다. 인메드(InMed Pharmaceuticals)는 지난 20일 카나비놀(cannabinol, CNB)를 활성제약성분(active pharmaceutical ingredient, API)으로 개발 중인 표피 수포증(epidermolysis bullosa, EB)
차이메드(Chi-Med)는 진행성 췌장성 신경내분비암(advanced neuroendocrine tumors –pancreatic, SANET-p) 임상3상 중간분석 결과, 조기 완료를 권고받았다. 차이메드(Chi-Med)는 지난 20일 독립 데이터 모니터링 위원회(independent data monitoring committee, IDMC)가 ‘수루파티닙(surufatinib)’의 진행성 췌장성 신경내분비암에 대한 상업화 임상 3상(NCT02589821)의 중간결과 분석을 마쳤다고 발표했다. IDMC는 수루파티닙이 임상 3상에
면역관문 분자 'VISTA'가 나이브 T세포의 휴지(quiescence, 休止)와 면역관용(immune tolerance)을 조절한다는 기전이 밝혀졌다. 실제로 VISTA 작용(agonistic) 항체는 이식편대숙주병(graft versus host disease, GvHD) 마우스 모델에서 염증반응을 낮추고 수명을 증가시켰다. 란돌프 노엘(Randolph Noelle) 다트머스대 교수 연구팀은 지난 17일 ‘나이브 T세포 휴지와 말초 관용에 대한 면역관문 조절분자 VISTA(VISTA is a checkpoint regulato
중국 아이맵 바이오파마(I-Mab Bioparma)가 미국 나스닥에 기업공개(IPO)를 하면서 공모자금으로 1억400만달러를 모았다. 아이맵 주가는 주당 14달러로 책정됐으며, 나스닥에서 IMAB으로 거래된다. 이로써 2년만에 중국 바이오텍이 다시금 나스닥에 이름을 올렸다. 가장 최근에 나스닥에 상장한 중국 바이오텍으로는 2017년 자이랩(Zai Lab)이 나스닥에서 1억7300만달러 규모의 공모 자금을 유치했다. 업계에 따르면 2004년 이후로 5개의 중국 바이오텍이 나스닥에 상장했다. 또한 2018년부터 바이오 기업이 홍콩거래
에디타스가 개발한 레베르 선천성 흑내장을 타깃하는 CRISPR/Cas9 치료제 EDIT-101이 2020년 1분기 첫 환자 투여에 들어간다. 체내(in vivo)에서 직접 작용하는 CRISPR/Cas9 치료제의 첫 임상이다. 에디타스는 지난 13일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J.P. Healthcare Conference)에서 2가지 신약개발 전략과 2020년의 계획에 대해 발표했다. 에디타스는 ▲CRISPR 유전자 편집기술을 이용한 신약 개발▲변형세포(engineered cell)을 이용한 신약 개발의 두가지 전략으로 연구개발을
노보 노디스크(Novo Nordisk)의 GLP-1 작용제 '오젬픽(Ozempic®, semaglutide)'이 제2형 당뇨병 환자와 심혈관계 질환(cardiovascular disease, CVD) 환자의 심혈관계 증상 개선에 대한 적응증 확대에 성공했다. 노보 노디스크는 지난 16일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오젬픽에 대해 이같은 적응증 확대를 승인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승인은 오젬픽에 대한 임상 3상 (NCT01720446, SUSTAIN 6)에서 보인 심혈관 평가시험(cardiovascular outcomes trial,
리가켐, 美고테라퓨틱스서 "ADC 신규항체 도입"
에이비엘, 'CLDN18.2x4-1BB' 위암1차 "확대..2상 추진"
中항서, 이번엔 ‘심혈관’ NewCo와 “10.8억弗 L/O 딜”
BMS 베팅 '이중항체 ADC+타그리소' 폐암 1차 "ORR 95%"
롯데바이오, 송도 바이오캠퍼스 '1공장 상량식' 개최
세르비에, 카에루스서 ‘BK채널 조절제’ 4.5억弗 인수
루닛, 프랑스 최대 공공의료 조달기관 "입찰 수주"
릴리, 'AI 약물발굴 플랫폼' 출시 "스타트업에 제공"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셀트리온, 고용노동부 '일자리 으뜸기업' 선정
SG바이오, 넥셀과 ‘hiPSC+오가노이드’ 항암제 평가 협력
보령, 안산 캠퍼스 '페니실린 생산시설' 증설
일동제약, 印尼칼베와 고지혈증 ‘드롭탑’ 공급계약 확대
동국생명과학, 제이앤제이와 'MRI 소프트웨어' 공급계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