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RISPR 시스템의 선구자 펑 장(Feng Zhang)이 공동설립한 아버 바이오테크놀러지(Arbor Biotechnoogies)가 지난 9일(현지시간) 시리즈B로 2억1500만달러규모의 투자금을 유치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라운드는 테마섹(Temasek), 앨리 브릿지 그룹(Ally Bridge Group), TCG 크로스오버(TCG Crossover)가 공동으로 리드했으며 에로우마크(Arrowmark Partners), 딥트랙(Deeptrack capital), 일루미나(Illumina Ventures) 등이 신규 투자자로, 아
GE는 지난 9일(현지시간) 회사를 항공(Aviation), 헬스케어(Healthcare), 에너지(Energy) 3개 부분으로 분사(spin off)한다고 밝혔다. 3개 회사는 각각 상장기업이 될 계획이며, 회사의 브랜드, 자본구조 등은 향후에 발표될 예정이다. 발표에 따르면 GE는 헬스케어 부문은 2023년 초, 나머지는 2024년에 분사한다. 분사 후 GE헬스케어에 대해 GE는 19.9%의 지분을 유지하며, 분사된 GE헬스케어는 정밀의료에 집중하는 회사(pure play)가 된다. GE는 GE헬스케어 분사와 함께 운영개선(o
모더나(Moderna)를 창립한 플래그십 파이오니어링(Flagship Pioneering)이 지난 9일(현지시간) tRNA 기술기반 바이오텍 ‘알트르나(Alltrna)’를 공개하며 공식적인 출범을 알렸다. 알트르나는 지난 2018년 플래그십 랩스(Flagship Labs)를 통해 창립된 회사로 변형 tRNA를 활용한 유전성 희귀질환 치료제 개발을 진행한다. 이번 공식 출범발표와 더불어 알트르나는 플래그십으로부터 5000만달러를 투자받았다. tRNA는 mRNA를 아미노산으로 번역(translation)하는 핵심분자로, mRNA의 코
화이자(Pfizer)가 바이오헤븐(Biohaven)의 편두통 치료제 ‘누르텍(Nurtec ODT, Rimegepant)’의 미국외 지역 상업화 권리를 총 12억4000만달러에 사들였다. 계약금 규모만 5억달러에 달하는 과감한 베팅이다. 누르텍은 CGRPR(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 receptor) 길항제로 전조증상 무관한 급성 편두통 치료와 일시적인 편두통 예방치료를 위한 경구용 약물로, 올해 3분기 매출은 약 1억3600만달러였다. 특히 누르텍은 시판 초기인 지난해 2분기 매출이 약 1000만달러
블랙스톤 라이프사이언스(Blackstone Life Sciences)가 영국 오토러스(Autolus)와 CD19 표적 CAR-T ‘오베셀(obe-cel, obecabtagene autoleucel)’의 임상개발과 상업화를 위해 2억5000만달러를 베팅한다. 이 소식이 발표된 후 오토러스의 주가는 전일 종가대비 25.36% 상승했다. 블랙스톤은 지난 8일(현지시간) 오토러스와 2억5000만달러 규모로 CD19 CAR-T 개발을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계약에 따라 블랙스톤은 거래종료와 함께 오토러스에 5000만달러를 지급하며
스위스 알콘(Alcon)이 4억7500만달러에 아이반티스(Ivantis)를 인수하며 녹내장 스텐트를 안과 포트폴리오에 추가했다. 알콘이 부작용 이슈로 기존 녹내장 스텐트 제품을 회수 조치한 지 3년만에 새로운 녹내장 프로그램을 추가하게 됐다. 알콘은 지난 8일(현지시간) 4억7500만달러에 아이반티스를 인수한다고 밝혔다. 아이반티스의 주요 포트폴리오는 최소침습 녹내장 수술장치(minimally-invasive glaucoma surgery, MIGS)인 ‘하이드로스 마이크로스텐트(Hydrus Microstent)’다. 하이드로스는
BMS(Bristol Myers Squibb)가 초기 비소세포폐암(NSCLC) 환자를 대상으로 ‘옵디보(nivolumab, Opdivo)’+화학요법 병용을 통해 무사건 생존기간(Event-free survival, EFS)을 개선한 긍정적인 임상결과를 발표했다. BMS는 지난해 10월 동일 임상에서 옵디보+화학치료제 병용요법이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병리학적 완전반응(Pathological Complete Response, pCR) 달성비율을 유의미하게 개선시키며 임상 1차 종결점을 달성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로써 옵디보는 초기
GSK(GlaxoSmithKline)가 경구용 HIF-PHI(hypoxia-inducible factor prolyl hydroxylase inhibitor) ‘더브록(Duvroq, daprodustat)’의 임상에서 투석여부와 상관없이 만성신장질환(CKD)로 인해 발생하는 빈혈 환자의 헤모글로빈(Hb) 수치 개선과 안전성을 확인했다. 이번 임상결과에서 경구용 약물 더브록은 피하투여(SC) 또는 정맥투여(IV)되는 표준치료제와 유사한 효능과 안전성을 보였다. 현재 더브록은 일본에서 CKD로 인한 신성빈혈(renal anaemia)
모더나(Moderna)는 지난 4일(현지시간) 3분기 실적발표에서 치쿤구니야(Chikungunya) 바이러스 항체 후보물질 ‘mRNA-1944’의 임상개발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모더나는 구체적인 중단 사유를 밝히진 않았다. 발표에 따르면 모더나는 mRNA-1944의 용량증량(escalating doses) 임상1상을 완료한 상태로 전체 결과를 정리해 논문으로 발표할 계획이다. 모더나는 지난 2019년 mRNA-1944의 중화항체 형성을 확인한 긍정적인 임상1상 중간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치쿤구니야 바이러스가 유발하는 치쿤쿠니야열
데시페라(Deciphera Pharmaceuticals)는 5일(현지시간) TKI(tyrosine kinase inhibitor) 약물 ‘킨록(Qinlock, repretinib)’의 위장관기질종양(GIST) 2차치료제 사용을 위한 임상 3상에서 무진행생존기간(PFS)을 개선하지 못해 1차종결점 달성에 실패했다고 발표했다. 이 소식이 전해진 후 데시페라의 주가는 전일 종가대비 75.5% 하락한 8.82달러 마감했다. 데시페라의 킨록은 지난해 5월 위장관기질종양(GIST)에 대한 4차치료제로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승인받은
구글(Google)과 알파벳(Alphabet)이 자회사 딥마인드(Deep Mind)의 단백질 접힘구조 예측 인공지능(AI) 프로그램 '알파폴드2'를 실제 신약개발 현장에 접목할 새로운 바이오텍을 설립했다. 딥마인드는 영국의 AI 프로그램 개발회사로, 단백질 서열을 토대로 단백질의 3차 구조를 예측하기 위한 AI 프로그램 ‘알파폴드(AlphaFold)’를 개발해왔다. 딥마인드의 단백질 구조예측 AI ‘알파폴드2’는 기존 알파폴드보다 개선된 버전으로 지난해 11월 열린 '제14회 단백질구조 예측대회(CASP14)'에서 평균점수 92.
화이자(Pfizer)가 혈전증 우려로 혈우병 AAV 유전자치료제 후보물질에 대한 임상3상을 중단했다. 화이자는 지난 9월 뒤센이영양증(DMD) 대상 AAV 유전자치료제 후보물질의 임상도 부작용으로 중단하고 프로토콜을 변경했다. 화이자는 지난 2일(현지시간) 상가모 테라퓨틱스(Sangamo Therapeutics)와 개발중이던 혈우병A 유전자치료제 후보물질 ‘PF-07055480(giroctocogene fitelparvovec)’의 임상3상을 일시중단하고 프로토콜을 수정한다고 밝혔다. 화이자는 “일부 임상참여 환자에게서 혈액응고인
상가모 테라퓨틱스(Sangamo Therapeutics)는 지난 4일(현지시간) 파브리병(Fabry Disease) 유전자 치료제 후보물질 ‘ST-920’의 임상1/2상 초기(Preliminary) 데이터에서 환자들의 α-갈락토시다제 A(α-Gal A) 효소활성이 증가하는 긍정적인 결과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 결과가 발표된 후 상가모의 주가는 전일대비 19.15% 상승했다. 파브리병은 α-갈락토시다제(α-galactosidase)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Gb3(globotriaosylceramide) 대사에 필요한 효소가 결핍되는
모더나(Moderna)를 창립한 ‘플래그십 파이오니어링(Flagship Pioneering)’이 이번에는 낭포성섬유증 신약개발에 나선다. 낭포성섬유증(Cystic Fibrosis, CF)은 미국내 약 3만5000명의 환자가 앓는 유전성 희귀질환으로, 폐내 점액이 축적되어 호흡곤란, 폐 감염 및 폐 기능악화 등을 일으킨다. 버텍스(Vertex Pharmaceuticals)의 낭포성섬유증 치료제 ‘트리카프타(Trikafta)’가 지난 2019년 낭포성섬유증의 90%를 차지하는 막관통조절(CFTR) 유전자의 F508del 돌연변이형 환
안티오스 테라퓨틱스(Antios Therapeutics)는 지난 3일(현지시간) 시리즈B-1으로 7500만달러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안티오스는 지난 4월 유치한 시리즈B 9600만달러까지 올해 시리즈B로 총 1억7100만달러를 확보했다. 이번 투자는 에픽캐피탈그룹(EPIQ Capital Group)과 고든엠디 글로벌 인베스트먼트(GordonMD Global Investments)가 공동 리드했으며, 기존 시리즈B 투자자들 외에 아베고 바이오사이언스 캐피탈(Avego BioScience Capital), 하트랜드 헬스케어 캐피탈(H
종양미세환경(tumor microenviroment, TME) 타깃 항암신약 개발회사 파르테논(Parthenon Therapeutics)이 지난 3일(현지시간) 시리즈A로 6500만달러 규모의 투자금을 유치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시리즈A는 노스폰드(Northpond Ventures), 화이자(Pfizer Ventures) 그리고 타이호 벤처스(Taiho Ventures)가 리드했으며, 섹션 32(Section 32), 브레이크아웃 벤처스(Breakout Ventures) 등 7개 투자사가 참여했다. 파르테논은 이번 투자금을 종양미
리가켐, 美고테라퓨틱스서 "ADC 신규항체 도입"
에이비엘, 'CLDN18.2x4-1BB' 위암1차 "확대..2상 추진"
中항서, 이번엔 ‘심혈관’ NewCo와 “10.8억弗 L/O 딜”
BMS 베팅 '이중항체 ADC+타그리소' 폐암 1차 "ORR 95%"
AC이뮨, ‘BBB 투과 ADC’ 개발중단..인력 30% 감축
뷰노, 마이허브에 ‘골연령 분석 AI’ 27억 "매각"
노바티스도, ‘심혈관 IL-6 항체’ 투르말린 “14억弗 인수”
BMS '이중항체 ADC+타그리소' 폐암 1차 "ORR 95%"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신라젠, 'TTK/PLK1' 국내 1상 "IND 변경 승인"
씨어스, '모비케어' 기반 배란일 예측AI "국제학회 발표"
롯데바이오, 송도 바이오캠퍼스 '1공장 상량식' 개최
코오롱생과, ‘신경병증성 통증 AAV’ PDPN 전임상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