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씨젠이 1년 이상 소요됐던 분자진단 시약 개발 기간을 단 1주일 이내로 단축시킬 수 있는 '시약 자동개발 프로그램' 개발에 성공했다. 이를 통해 유전질환 연구와 고객 맞춤형 제품 개발에도 속도를 낼 수 있게 됐다. 13일 씨젠에 따르면 이 프로그램은 지난 15년간 축적해 온 동시다중 분자진단 시약 개발 노하우와 데이터를 인실리코(in silico)로 디지털화해 만든 것으로 분자진단 시약 개발에 필요한 복잡한 연구개발 과정을 컴퓨터 가상실험을 통해 단순화했다. 인실리코는 컴퓨터 모의실험 또는 가상실험을 뜻하는 생명정보학 용어다. 특히
알바이오(옛 알앤엘바이오)가 줄기세포치료제의 조건부 승인을 두고 정부와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해당 줄기세포치료제의 임상자료가 부족하다며 자료 보완을 지시했지만 알바이오는 식약처 지시를 따를 수 없다고 버티는 모양새다. 라정찬 네이처셀 대표(바이오스타 줄기세포기술연구원장)의 현업 복귀와 맞물려 6년 전 펼쳐졌던 ‘무허가 줄기세포치료제 시술 논란’이 재현되는 분위기다. 네이처셀은 라정찬 대표가 설립한 바이오스타와 알바이오가 최대주주다. ◇식약처 "바스코스템 임상 신뢰한 수준 아냐"..알바이오 "임상시험서
동국제약은 ‘인사돌 사랑봉사단’이 새마을운동중앙회 ‘Y-SMU청년포럼[코션]’ 대학생 해외봉사단에 털진드기 및 모기 기피제 ‘디펜스벅스’ 등 구급용품을 전달했다고 13일 밝혔다. ‘Y-SMU청년포럼[코션]’ 소속 대학생 등 27명은 이달 18일부터 31일까지 캄보디아 프놈펜 깜뽕스프도에서 10~18세의 여성 청소년을 대상으로 성교육을 포함한 위생보건 교육 봉사 활동을 펼칠 예정이다. 동국제약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디펜스벅스와 구급가방을 후원했다. 이카리딘(Icaridin. Picaridin)성분의 디펜스벅스(50ml)는 모기
일동제약이 아토피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는 프로바이오틱스 개발에 성공했다. 아토피용 기능성 제품을 출시하는 등 상용화에 나설 계획이다. 일동제약은 13일 ‘고분자 다당체와 결합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RHT-3201과 이의 치료용도’에 대한 특허를 취득했다고 밝혔다. 회사측에 따르면 프로바이오틱스 RHT-3201은 중증도 아토피 조건의 동물실험에서 아토피 치료에 사용하는 대표적 약물인 스테로이드계 약물과 동등 수준의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우리 몸 전체 면역세포의 약 70% 가량이 몰려있는 장에서 프로바이오틱스가 효과적으로
일동제약은 13일 '고분자 다당 바인더에 컨쥬게이트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RHT-3201'을 아토피 예방 및 치료용도로 특허 취득했다고 공시했다. 프로바이오틱스 RHT-3201은 장에서 프로바이오틱스가 효과적으로 작용하도록 다당체와의 결합 방식을 통해 장 점막에 대한 부착률을 증대시킨다. 또한 중증도 아토피 조건의 동물실험에서 아토피 치료에 사용하는 대표적 약물인 스테로이드계 약물과 동등 수준의 효과를 나타내면서 부작용이 적은 특징을 보였다. 일동제약 관계자는 "아토피 치료 효능의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을 발매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국BMS제약은 성인 HIV-1 감염 치료제인 에보타즈(성분명 아타자나비르 300mg, 코비시스타트 150mg)가 지난 6월 1일자로 건강보험급여가 적용됐다고 13일 밝혔다. 에보타즈는 단백분해효소 억제제(PI, protease inhibitor) 계열인 아타자나비르(ATV, atazaniavir)와 CYP3A 저해제인 코비시스타트(COBI, cobicistat)를 함유한 고정 용량 복합제로 지난 2015년 11월 치료 경험이 없는 성인과 치료 경험이 있는 성인의 HIV-1 감염 치료제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를 획득했다. 다른
국립생물자원관은 한국바이오협회 후원으로 오는 13일 서울 마포구 서울가든호텔에서 ‘나고야의정서 관련 한국과 중국의 국제협력’을 주제로 유전자원 접근 및 이익공유(ABS, Acess to genetic resources and benefit sharing) 포럼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중국은 9월 6일부터 나고야의정서 효력이 발생하는 당사국이 된다. 나고야의정서는 유전자원에 대한 적절한 접근 및 이용으로 발생하는 이익을 공정하고 공평하게 공유하는 것을 추구하며, 생물다양성 보전 및 구성요서의 지속가능한 이용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옛 알앤엘바이오의 후신인 알바이오가 개발한 줄기세포치료제가 논란의 중심에 섰다. 알바이오 측은 버거병치료제 '바스코스템'의 조건부 허가를 받는 것이 합당하다고 주장하지만 보건당국은 자료 부족 등을 이유로 받아들이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이와 관련 알바이오는 17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바스코스템의 임상 1/2상시험을 완료하고 식약처에 희귀의약품 지정을 통한 조건부 허가를 신청했다.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되면 일정 기간내 임상3상시험을 완료한다는 조건으로 판매가 가능하다. 12일 식약처는 과천정부청사에 소재한 경인식약청 대강당에서 바
랩지노믹스는 12일 ‘카트리지를 포함한 체외 진단장치’의 특허권을 취득했다고 공시했다. 이번 특허권은 단백질이나 DNA와 같은 바이오 물질을 체외에서 진단하는 카트리지와 카트리지를 포함한 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시에 따르면 일반 의료인이 사용가능한 전자동 분자 유전 진단 검사기로서 의료환경이 열악한 지역을 대상으로 성전파성 질환(STD, Sexual Transmitted disease)의 분자 유전 검사가 가능한 제품이다.
제일약품은 서울 서초구 제일약품 본사에서 임직원들이 ‘사랑의 헌혈 나눔 캠페인’을 진행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헌혈 캠페인은 사내 임직원 설문조사 결과를 반영해 자발적으로 진행됐다. 행사에는 제일약품 임직원 외에도 제일약품 사옥 입주사 임직원도 동참했다. 제일약품의 사내 봉사회 나눔의 행복 관계자는 "적정 혈액 보유량인 1일 필요량의 5일분을 지속적으로 보관 및 유지하려면 가슴 따뜻한 헌혈자들의 꾸준하고 지속적인 헌혈이 필요하기에 이번 행사를 기획했다"면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봉사활동을 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SK케미칼은 경기 성남시 본사에서 JW신약과 세포배양 독감백신 ‘스카이셀플루4가’에 대한 공동 판매 협약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올 가을부터 SK케미칼은 기존에 거래해온 병의원에서, JW신약은 피부과ㆍ비뇨기과ㆍ성형외과 등의 영역에서 각각 스카이셀플루4가의 영업과 마케팅 활동을 펼치게 된다. JW신약은 기존에 확보한 클리닉 시장에서의 영업·마케팅 인프라를 기반으로 접종자의 편의성 향상과 국내 독감백신 시장 확대에 일조한다는 계획이다. SK케미칼이 지난해 말 허가받은 '스카이셀플루4가'는 1회 접종으로 A형
CJ헬스케어는 두 개의 고혈압약 성분을 함유한 복합제 '마하칸'을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시판승인받았다고 12일 밝혔다. 이 제품은 서로 다른 작용 기전의 고혈압치료제 칸데사르탄(ARB계열)과 암로디핀(CCB계열) 성분을 결합한 개량신약이다. 보험약가 등재 절차를 거쳐 오는 9월 발매가 예상된다. CJ헬스케어는 임상시험을 통해 마하칸의 효능과 안전성을 확인했다. 임상2상시험에서 마하칸은 모든 용량(칸데사르탄8mg/암로디핀5mg, 16mg/5mg, 16mg/10mg)에서 각각의 단일제 대비 혈압강하 효과가 우수해다. 암로디
‘혁신(革新)’이라는 단어는 '가죽(革)을 벗겨 새롭게(新) 한다'는 뜻을 담고 있다. 국어사전을 보면 ‘묵은 풍속, 관습, 조직, 방법 따위를 완전히 바꿔서 새롭게 함’이라고 정의된다. 세상을 바꿀만한 발명품 정도 돼야 혁신이라는 단어가 어울린다는 얘기다. 흔히 ‘혁신 신약’은 기존에 치료가 불가능했던 질환을 치료하는 약물 또는 기존치료제보다 효능이 월등히 우수한 신약을 통칭한다. 혁신 제약사라고 하면 혁신 신약을 만들어 인류 삶의 질 개선에 기여한 제약기업으로 추측할 수 있다. 국내에는 혁신형제약사를 정부가 지정해주는 특이
유전체분석 전문 기업 이원다이애그노믹스 게놈센타(Eone-Diagnomics Genome Center)는 세계 최초 전장 유전체 분석 체험 청소년 캠프인 'BIO ME Camp'를 오는 16일부터 8월 13일까지 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송도 소재)에서 개최한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행사에 참여하는 학생들은 샘플 수집, DNA 추출, 염기해독등 실험실 과정에서부터 변이 발굴, 데이터 분석, 클라우드 저장, 다양한 DNA App 활용까지를 직접 경험하게 된다. 모든 과정은 전문 의사들과 세계적인 연구 석학 들이 지도하게 된다. 회
10년 전 황우석 박사의 논문 조작 사건으로 침체됐던 체세포복제배아연구가 재개된다. 11일 보건복지부는 차의과대학이 제출한 체세포복제 배아연구계획을 조건부 승인했다고 밝혔다. 지난 2009년 차병원 체세포복제배아연구 이후 7년 만에 승인됐다. 체세포복제배아연구는 난자에서 핵을 제거한 후 체세포 핵을 이식해 만든 체세포복제배아로부터 줄기세포주를 수립하는 연구를 말한다. 희귀ㆍ난치병 치료 목적으로만 연구를 할 수 있고, 생명윤리법에 따라 복지부 장관의 승인을 받아야 연구가 가능하다. 앞서 지난 5월 대통령 소속 국가생명윤리
일양약품은 미래창조과학부가 주관한 '신ㆍ변종 바이러스 원천 기술개발' 연구과제 선정 공모에서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바이러스 치료제 개발 사업이 선정됐다고 11일 밝혔다. 일양약품이 자체기술로 도출한 신약 후보물질로 정부 지원을 받아 메르스 치료제 개발에 착수하는 내용이다. 일양약품은 이번 연구과제 선정으로 향후 4년 9개월 동안 메르스 치료제 개발에 정부 지원금 25억원을 포함해 총 37억5000만원의 연구비를 투입할 예정이다. 일양약품 측은 "메르스 바이러스 치료물질을 발견해 광범위한 연구를 진행했고 재검정 결과 현존하
에이비엘, 사노피와 'BBB 이중항체' 차별성 "논문 게재"
셀트리온, ‘사이언스&이노베이션 데이’ 개최
디티앤씨알오, 루다큐어와 신약개발 협력 MOU
리가켐바이오, 오노서 'LCB97' 4th 단기 마일스톤 수령
'의료AI' 템퍼스, '병리 선두‘ 페이지 8100만弗 인수
애브비, 길가메시서 '5-HT2A 작용제' 12억弗 사들여
삼성바이오, 유럽소재 제약사와 "884억 CMO 계약"
하버드의대, '리튬' AD 보호효능 新접근 “네이처 논문”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뉴로핏, 과학자문위원에 '이와타 아츠시' 박사 영입
차백신연구소, 대표이사에 한성일 부사장 내정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코오롱생과, ‘TG-C 연골재생 핵심기술’ 印尼 특허등록
대웅제약, '보툴리눔 톡신' 콜롬비아 341억 수출계약
루닛, 이탈리아 지방보건국 11곳에 AI솔루션 공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