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미약품(Hanmi Pharmaceutical)이 북경한미약품(Beijing Hanmi Pharm)과 면역항암제로 공동개발하는 4-1BBxPD-L1 이중항체 ‘BH3120’의 임상1상 데이터를 업데이트했다. 한미약품은 지난 6일부터 10일(현지시간)까지 미국 휴스턴에서 열린 면역항암학회(SITC 2024)에서 BH3120의 임상 진행현황에 대한 포스터발표를 진행했다고 25일 밝혔다. BH3120은 한미약품의 이중항체 플랫폼 ‘펜탐바디’를 적용했으며, 이중항체 구조를 통해 PD-L1을 발현하는 종양미세환경(TME)으로 4-1BB를
GC녹십자(GC Biopharma)는 지난 21일(현지시간) 국내 노벨파마(Novel Pharma)와 공동개발중인 산필리포증후군 A형(MPS IIIA) 치료제 후보물질 ‘GC1130A’의 임상1상에서 미국내 첫 환자투여에 성공했다고 25일 밝혔다. GC녹십자와 노벨파마는 GC1130A의 글로벌 임상을 위해 최근 미국, 한국, 일본에서 임상1상 임상시험계획(IND) 승인을 받고 다국가 임상을 진행중이다. 이번 임상1상을 통해 MPS IIIA로 진단받은 2세에서 6세 사이의 환아를 대상으로 약 2년동안 GC1130A의 안전성과 내약성
한올바이오파마(HanAll Biopharma)가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PD) 치료제로 개발하고 있는 Nurr1 활성화약물(Nurr1 activator) ‘HL192(ATH-399A)’의 임상1상에서 긍정적 결과를 확보했다고 25일 밝혔다. HL192는 뉴론 파마슈티컬즈(NurrOn Pharmaceuticals)가 발굴한 퇴행성신경질환 치료제 후보물질로 Nurr1을 활성화해 체내 도파민 수치를 높이고, 신경세포 사멸을 막는 기전의 약물이다. 한올바이오파마와 대웅제약(Daewoong Pharm)은 지난 202
제일약품(Jeil Pharmaceutical)은 지난 21일부터 24일까지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개최된 아시아태평양 소화기학술대회(Asian Pacific Digestive Week 2024, APDW 2024)에 참가했다고 25일 밝혔다. APDW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소화기학술대회로, 작년에는 한국, 중국, 일본, 태국, 인도, 파키스탄 등 60개국에서 3000명이 넘는 소화기내과 의사들이 참석했다. 이번 학회에서 제일약품의 P-CAB 계열의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인 ‘자큐보(성분명: 자스타프라잔)’의 최신 연구성과를 공개했다.
일동제약그룹의 신약 연구개발 자회사인 아이리드비엠에스(iLeadBMS)는 심장질환 분야 신약 후보물질에 대한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대회에서 공개했다고 25일 밝혔다. 아이리드비엠에스는 지난 19일부터 21일까지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항섬유화 치료제 개발 회의(Antifibrotic Drug Development Summit, AFDD 2024)’에 참가해 CXCR7 작용제인 ‘IL21120038’에 대한 비임상 연구 데이터를 포스터 형식으로 발표했다. IL21120038은 면역과 관련한 신호전달 단백질인 케모카인(chemokine
테라젠이텍스(Theragen Etex)는 지난 22일 이사회를 열고 메드팩토(MedPacto) 보유주식 493만1039주 전량을 매각하기로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테라젠이텍스는 메드팩토 지분 16.65%를 보유한 최대주주로, 이번 매각작업이 완료되면 경영권이 바뀌게 된다. 김성진 메드팩토 대표는 6.38%의 지분을 보유한 2대주주이다. 공시에 따르면 테라젠이텍스는 이사회결의일로부터 15일 이내 매각 주관자문사를 선정해 전략적 투자자, 우량기업 등에 보유주식을 장외매각할 계획이다. 향후 구체적인 거래상대방, 거래금액, 일정 등이 확정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Lunit)은 다음달 1일부터 5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되는 북미영상의학회(RSNA 2024)에 참가에서 유방암 및 흉부질환 진단 AI 솔루션 ‘루닛 인사이트’ 관련 연구 20건을 발표한다고 25일 밝혔다. 초록이 20건 채택된 것은 루닛이 의료분야 학회에 참가를 시작한 이래 역대 최다 성과라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RSNA는 올해로 110회째를 맞이하며 '인공지능과의 연결(Building intelligent connections)'이라는 주제로 개최된다. 이번 학회에서는 영상의학 분
동아제약(Dong-A Pharmaceutical)은 지난 20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제50회 국가품질경영대회 시상식에서 국가품질혁신경진대회 대통령상 금상, 은상을 받았다고 23일 밝혔다. 국가품질혁신경진대회는 산업현장 품질혁신 주역인 근로자들이 현장 품질개선 우수 사례를 발표하는 방식으로 경연을 펼치는 산업계의 전국체전이다. 이 행사는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이 주최하고 한국표준협회가 주관한다. 이 대회는 지난 8월26일부터 30일까지 5일간 경기도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렸으며, 전국 17개 시, 도에서 예선을 거쳐 선
SK바이오팜(SK Biopharmaceuticals)은 지난 19~21일(현지시간) 영국에서 개최 중인 ‘제프리스 런던 헬스케어 컨퍼런스(Jefferies London Healthcare Conference)’에서 메인세션 발표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 컨퍼런스의 메인세션에서 2년 연속 발표를 진행한 기업은 SK바이오팜이 국내 최초라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제프리스 헬스케어 컨퍼런스는 유럽 최대규모 제약바이오 컨퍼런스로, 전세계 500개 이상 기업과 3000명 이상의 투자자가 참석해 업계 최신 동향과 투자 기회를 논의하는 글로벌 플
지씨셀(GC Cell)은 22일 B세포림프종(B-cell lymphoma)치료제로 개발중인 CD19 CAR-NK 'GCC2004'가 국가신약개발사업단의 2024년도 제2차 국가신약개발사업(KDDF) 비임상 단계 지원과제로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국가신약개발사업은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신약 개발 전주기를 지원하는 국가 연구개발(R&D) 사업이다. GCC2004는 CAR 신호 도메인으로 CAR-NK 세포의 활성을 높이고, IL-15를 공동 발현시켜 체내 지속력과 항암효능을 강화한 CD19 표적 CAR-N
GC녹십자(GC Biopharma)는 카나프테라퓨틱스(Kanaph Therapeutics)와 이중항체 항체-약물접합체(ADC) 공동개발을 위한 계약을 21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은 옵션권리가 포함된 공동개발 계약으로, 카나프가 개발 중인 이중항체 ADC 후보물질이 두 회사가 합의한 요건에 충족할 시 GC녹십자가 옵션행사를 통해 공동개발에 참여하는 형태이다. 구체적인 타깃, 옵션요건, 전체 계약규모 등 구체적인 계약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두 회사가 계약을 체결한 이중항체 ADC는 여러 고형암에 발현하는 타깃을 대상으로
셀트리온(Celltrion)은 폐경 후 여성 골다공증 환자 치료를 위한 프롤리아(PROLIA, 성분명: 데노수맙) 바이오시밀러 ‘스토보클로(STOBOCLO, 개발명: CT-P41)’, 암 환자의 골 전이 예방을 위한 엑스지바(XGEVA, 성분명: 데노수맙) 바이오시밀러 ‘오센벨트(OSENVELT, 개발명: CT-P41)’ 등에 대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국내 품목허가를 획득했다고 22일 밝혔다. 프롤리아와 엑스지바 두 치료제 모두 데노수맙을 주성분으로 하며 각각 골다공증 치료제, 암환자 골 전이 합병증 예방 치료제로 허가된 약물이
프로젠(Progen)은 유한양행(Yuhan)과 면역치료제 공동연구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는 지난 7월 포괄적 연구개발 협력계약에 따라 체결되는 두 번째 과제로, 첫번째로 선정된 과제는 면역항암제 이중항체였다. 두 회사는 공동연구 협력을 통해 신약 후보물질을 발굴, 최적화해 신약을 개발할 계획으로, 해당 개발에 프로젠의 플랫폼 기술인 NTIG®의 적용을 고려하고 있다. 프로젠에 따르면 NTIG®는 단백질 안정성, 혈중 반감기 등의 증가와 다중 타깃 융합 단백질 개발에 사용 가능하다. 이번 계약은 유한양행의 면역질환
한미약품(Hanmi Pharmaceutical)은 21일 비만약으로 개발하고 있는 주1회 투여 ‘에페글레나타이드(efpeglenatide)’의 국내 임상3상 환자등록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한미약품은 당초 예정했던 개발 타임라인과 비교해 임상개발 기간을 6개월 정도 단축할 것으로 예상하며, 이에 따라 상용화 목표 시점을 기존의 2027년에서 오는 2026년 하반기로 앞당겨 재조정했다. 한미약품은 에페글레나타이드를 국내에서 연간 1000억원 이상 매출을 내는 블록버스터 품목으로 성장시키겠다는 중장기 목표를 세웠다. 에페글레나타이드는
지아이이노베이션(GI Innovation) 관계사 지아이셀(GI Cell)은 21일 튀르키예 TCT헬스 테크놀로지(TCT Health Technologies)에 NK세포치료제를 라이선스아웃(L/O)하는 내용의 의향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주요 논의(term-sheet)를 거친 상태로 내년 3월 L/O 계약을 체결하기로 협의했다고 지아이셀은 설명했다. 계약이 체결되면 TCT는 튀르키예 및 주변국(독립국가연합 등)에서 지아이셀의 동종유래 NK세포치료제 후보물질 ‘T.O.P. NK®’의 상업화 권리를 가지게 된다. 지아
셀트리온(Celltrion)은 1000억원 규모의 자사주 추가 매입을 결정했다고 21일 밝혔다. 취득 수량은 58만3431주로, 오는 22일부터 장내 매수를 통해 자사주를 취득할 계획이다. 이번 자사주 매입은 올해 들어 다섯번째로, 이번 매입까지 더하면 올해 239만4031주의 자사주를 취득하는 것이다. 올해 3월, 4월, 6월에 각각 750억원 규모, 10월과 이번 추가매입은 각각 1000억원 규모로 진행해 총 4300억원 규모에 달한다. 이번 추가 자사주 매입 결정은 주주가치 제고를 최우선으로 고려하고 실천할 방침이라고 밝힌
지투지바이오, 공모가 5.8만원 확정.."밴드 상단"
아이엠바이오, 코스닥 기술성평가 'A, A' 통과
머크, "인력 6000명 감축"..30억弗 절감 일환
스파인, 유한 ‘TGF-β 길항제’ 만성요통 3상 “실패”
애브비, 'IL-1a/1b 항체' vs휴미라 UC 2상 "실패"
한미약품, "올 1상" 'UCN2' 비만 중개연구 "발표"
SK바팜, '세노바메이트' 美분기 매출 "첫 1억弗 돌파"
리제네론, ‘CD20xCD3’ 美가속승인 “또 거절, 제조이슈”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삼진제약, HR담당에 신승원 이사 영입
대웅제약, '셀트리온 출신' 홍승서 본부장 영입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히츠, 美이몰레큘스와 ‘AI 플랫폼’ 판매 파트너십
HLB펩, 인도 바이오서브와 ‘펩타이드’ 독점 공급계약
사이러스, 'GSPT1 분해약물' 고형암 "국내 1상도 승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