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테오젠(Alteogen)은 파트너사인 중국 치루제약(Qilu Pharmaceutical)으로부터 허셉틴 바이오시밀러 ‘ALT-L2’가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총국 산하 국가약품심사평가센터(Center of Drug Evaluation, CDE)에서 품목허가를 취득했다는 통지를 받았다고 12일 밝혔다. 구체적인 개발, 판매 등에 따른 마일스톤을 공개되지 않았다. 알테오젠은 매출 발생에 따라 10년동안 로열티를 지급받게 되며, 업계 평균수준으로 책정됐다고 설명했다. ALT-L2는 알테오젠의 초창기 파이프라인 중 하나이며, 당시 블루오션
삼성(Samsung)이 mRNA 코로나백신 모더나(Moderna)를 창업한 VC로 알려진 미국 플래그십 파이오니어링(Flaghship Pioneering)이 새롭게 결성한 펀드에 5000만달러(720억원)를 투자한다. 삼성물산은 자회사인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바이오에피스와 삼성벤처투자가 설립한 라이프 사이언스 2호펀드(SVIC 64호 신기술투자조합)를 통해 플래그십 파이오니어링이 결성한 8호 펀드에 5000만달러를 출자한다고 12일 밝혔다. 이번에 결성한 플래그십 파이오니어링 8호 펀드는 AI 기반 신약개발 플랫폼 기술 등에 투자
한미약품(Hanmi Pharmaceutical)은 지난 2일 미국 실리콘밸리 바이오기업 메딕 라이프사이언스(MEDiC Life Sciences)와 신규 항암제에 대한 예측 바이오마커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협약식은 한미약품 본사 2층 파크홀에서 박재현 한미약품 대표와 최인영 R&D센터장, 한규호 메딕 대표 등 양사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메딕은 지난 2020년 미국 스탠포드대 출신 한규호 대표와 이홍표 최고기술책임자(CTO)가 일루미나 액셀러레이터(Illumina Acceler
에이비엘바이오(ABL Bio)는 1400억원 규모의 제3자 배정 유상증자에 대한 납입을 완료했다고 11일 밝혔다. 이에 따라 에이비엘바이오는 KDB산업은행,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 인터베스트, 하나금융그룹, 컴퍼니케이파트너스를 대상으로 상환 의무가 없는 전환우선주(CPS) 577만8196주를 발행하게 되며, 이는 한국예탁결제원에 1년간 보호예수될 예정이다. 전환우선주는 보호예수 종료 후 전환권 행사 전까지 상장되지 않는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지난 2일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공시하며 이중항체 ADC를 포함한 차세대 항체약물접합체(ADC
GC녹십자(GC Biopharma)는 11일 노벨파마(Novel Pharma)와 공동개발중인 산필리포증후군 A형(MPSIIIA) 치료제 후보물질 ‘GC1130A’에 대한 임상1상 임상시험계획서(IND)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승인받았다고 밝혔다. GC1130A는 지난 5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도 임상1상 IND를 승인받은 바 있다. 산필리포증후군 A형은 유전자 결함으로 체내에 헤파란 황산염(heparan sulfate)이 축적돼 점진적인 손상이 유발되는 열성 유전질환이다. 심각한 뇌손상이 주요 증상이며 대부분의 환자가
이수앱지스(ISU ABXIS)는 11일 MEK 키나아제를 타깃하는 알로스테릭 저해제의 인산화(phosphorylation) 억제기전을 규명한 논문이 국제학술지 ‘ACS Omega’에 게재됐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신경섬유종 치료제 개발을 위해 협업중인 AI 신약개발 기업 팜캐드(ParhmCADD)와 함께 진행됐다. 두 회사는 팜캐드의 분자동역학 시뮬레이션 기술을 이용해 기존 약물인 셀루메티닙(selumetinib), 트라메티닙(trametinib), 코비메티닙(cobimetinib) 등과 같은 MEK 알로스테릭 저해제의 인산화
피플바이오(People Bio)는 10일 이사회를 열고 총 142억원 규모의 전환사채(CB) 발행을 결의했다고 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100억원 규모의 CB는 코스닥 상장사인 아이마켓코리아를 대상으로, 나머지 42억원 규모의 CB는 한양증권, 디에스투자증권, 모멘스솔루션 등 기관투자자 7곳과 개인투자자 김도완씨에게 발행된다. 이번에 발행된 CB의 표면이자율과 만기이자율은 각각 0.0%, 2.5%이며 전환가액은 3800원이다. 시가하락에 따른 최저 전환가액은 2660원이다. 납입일은 7월12일, 만기일은 2027년 7월12일이다.
JW중외제약(JW Pharmaceutical)은 10일 제브라피쉬(zebrafish) 모델 전문 비임상시험기관인 제핏(Zefit)과 대사질환 신약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을 통해 JW중외제약은 비만, 당뇨 등 대사질환 신약후보물질 연구에 제핏의 제브라피쉬 모델을 활용한다. 제핏은 유전자편집 기술을 적용한 대사성질환 맞춤형 제브라피쉬 모델과 약물 스크리닝 플랫폼을 지원한다. 양사는 올해 말까지 새로운 기전의 혁신신약 후보물질 발굴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JW중외제약은 인공지능(AI) 기반
지씨셀(GC Cell)은 10일 유씨아이테라퓨틱스(UCI Therapeutic)와 CAR-NK 세포유전자치료제 위탁개발생산계약(CDMO)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계약을 통해 지씨셀은 유씨아이테라퓨틱스 파이프라인 의약품의 안정성 시험 18개월을 포함하여 향후 4년간 제조 및 보관, 품질 시험을 담당하며, 일부 공정에 대한 개발 업무를 위한 장기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유씨아이테라퓨틱스는 지난 2020년 설립된 바이오벤처로 유전자 도입을 통한 NK세포 엔지니어링 기술을 기반으로 CAR-NK 면역세포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퍼스트바이오테라퓨틱스(1ST Biotherapeutics)와 네이버클라우드(NAVER Cloud)는 인공지능(AI) 기반 바이오 빅데이터 및 문서 인텔리전스(intelligence) 기능 공동연구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퍼스트바이오는 퇴행성뇌질환, 면역항암제, 희귀질환 등 치료제를 개발하는 임상개발단계 바이오텍이다. 이번 협약은 네이버클라우드가 보유한 거대규모 컴퓨팅 파워와 AI 기술과 퍼스트바이오가 보유한 AI 기반 신약개발 솔루션을 고도화해 향상된 기술을 바탕으로 한 사업영역 확장을 위해 체결
HLB 글로벌은 9일 국내 비상장 기업인 바라바이오(Barabio)를 60억원에 인수했다고 공시했다. 바라바이오 지분 68.57%를 취득했다. 바라바이오는 안철우 연세대의대 교수이자 강남세브란스병원 당뇨센터장이 지난 2021년 설립한 기업으로 당뇨병 등 만성대사질환에 대한 진단, 관리 플랫폼을 개발하는 바이오텍이다. 안 교수는 근육에서 발생하는 호르몬인 마이오카인 기반 인슐린 저항성 진단키트와, 만성질환에 대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는 맞춤형 헬스케어 플랫폼도 개발중이다. 해당 플랫폼은 질병의 조기 진단부터 운동과
메드팩토(MedPacto)가 골육종(osteosarcoma) 모델을 대상으로 ALK5(TGF-βR1) 저해제인 ‘백토서팁(vactosertib)’으로 진행한 전임상 결과를 논문에 게재했다. 악성도가 높은 폐전이 골육종 마우스모델에 백토서팁을 투여했을 때 항암효능을 확인하고, 폐로 전이되는 것을 억제시킨 결과이며, 항암효능을 일으키기 더욱 유리하도록 종양미세환경(TME)의 세포조성을 변화시켰다는 내용이다. 메드팩토는 현재 미국과 국내 등에서 재발성 혹은 불응성 골육종을 대상으로 백토서팁의 단독요법을 평가하는 임상1/2상을 진행중이다
프리시젼바이오(Precision Biosensor)는 9일 미국 자회사 나노디텍이 코로나19와 독감(인플루엔자) 콤보 진단키트 ‘Nano-Check™ Influenza+COVID-19 Dual Test’에 대해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긴급사용승인(EUA)을 받았다고 밝혔다. Nano-Check™ Influenza+COVID-19 Dual Test는 코로나19와 인플루엔자 A, B를 동시에 진단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신속진단제품이다. 호흡기 감염 증상이 있는 개인의 비강 검체에서 15분 이내에 육안으로 감염여부를 확인할
셀트리온(Celltrion)은 9일 알러지성 천식, 만성 특발성두드러기 치료제 ‘졸레어(XOLAIR, omalizumab)’ 바이오시밀러 ‘옴리클로(OMLYCLO, CT-P39)’가 영국 의약품건강관리제품규제청(MHRA)으로부터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 셀트리온은 글로벌 임상3상 결과를 바탕으로 옴리클로의 품목허가를 신청, 알레르기성 천식(Allergic asthma), 비용종을 동반한 만성비부비동염(Chronic rhinosinusitis with nasal polyps), 만성 특발성 두드러기(Chronic spontaneou
알테오젠(Alteogen) 자회사 알토스바이오로직스(ALTOS Biologics)는 시리즈B로245억원 규모의 펀딩을 완료했다고 9일 밝혔다. 지난 2021년 시리즈A로 605억원을 유치한지 3년만의 후속 투자이다. 회사에 따르면 지난해 12월부터 진행한 이번 시리즈B 펀딩은 전환우선주(CPS)는 마그나인베스트먼트, 솔리더스인베스트먼트, IBK 기업은행 등 기관이 참여했으며, 보통주는 스마트앤그로스(대표 형인우) 외 일반투자자가 참여했다. 이번 투자금은 노인성 황반변성 치료제 파이프라인인 VEGFxTie2 다중항체 ‘OP-01’의
유빅스테라퓨틱스(Ubix Therapeutics)가 기존 약물에 내성을 보이는 전립선암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안드로겐수용체(androgen receptor, AR) 표적단백질분해(TPD) 약물에 대한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Advanced Science, IF 15.1)에 게재했다고 8일 밝혔다. 바로 지난주 유빅스가 유한양행(Yuhan)에 계약금 50원을 포함해 총 1500억원에 라이선스아웃한(L/O) AR 분해약물(AR degrader) ‘UBX-103(YH45057)’의 선도물질(lead compound)
펩트론, ADC의 "세포유입∙효능↑" 플랫폼 초기결과 '공개'
LG화학, 新면역관문 ‘LILRB1 항체’ 전임상 “첫 공개”
베링거, 'HER2 TKI' 폐암 "기세..post-ADC서도 효능"
머크, ‘키트루다' 美 생산시설 착공..”10억弗 투자”
유한양행, ‘TKI’ EGFR 엑손20도 효능..‘EGFRx4-1BB’ 공개
셀트리온제약, 신규 '이중페이로드' 플랫폼 "첫 공개"
노바티스, 레귤러스 17억弗 인수.."신장질환 강화"
AZ, 신경과학 임상개발 "3건 중단..파이프라인 제로(0)"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이엔셀, 셀트리온 출신 염건선 이사 영입
삼진제약, BD담당에 이서종 이사 영입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오스코텍, 'EP2/4 저해제' 고형암 "FDA 1상 IND 신청"
티움바이오, TGF-β/VEGF+키트루다 2상 "ASCO 발표"
이뮨온시아, 공모가 상단 3600원 확정.."329억 조달"
바이젠셀, 테라베스트와 'GD2 CAR-NK' 공동개발 계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