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삼성바이오에피스의 두번째 항암 항체 바이오시밀러 SB8(아바스틴 바이오시밀러, 성분명: 베바시주맙)의 유럽 판매허가 심사가 시작됐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18일(현지시간) 유럽 의약품청(EMA: European Medicines Agency)으로부터 SB8의 판매허가 승인을 위한 서류 심사가 시작됐다는 통보를 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서류 심사 착수는 삼성바이오에피스가 지난 6월 유럽의약품청(EMA)에 제출한 판매허가 신청서(MMA: Marketing Authorization Application)에 대한 사전 검토 완료 후 진행되는
Boehringer Ingelheim and Bridge Biotherapeutics announced on July, 18th, 2019, that they are entering into a new collaboration and license agreement with the goal of developing Bridge Biotherapeutics’s autotaxin inhibitor BBT-877 for patients with fibrosing interstitial lung diseases, including IPF.
에이치엘비가 중동, 인도 및 아프리카 의약품 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했다. 에이치엘비와 자회사 LSKB는 아랍에미리트(UAE)의 글로벌 제약사인 네오파마(Neopharm)와 전략적 파트너쉽을 위한 MOU(업무협약)를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파트너쉽을 통해 에이치엘비는 표적항암제 리보세라닙의 판매망을 구축하고 기타 파이프라인의 현지 임상 및 국내 우수 의약품의 중동 수출에 적극 나선다는 계획이다. 네오파마는 세계 4위 규모의 병원 체인인 'NMC healthcar'의 창업자인 비알 쉐티(B.R. Shetty) 회장이 경영하
국내 신약개발기업 메드팩토가 코스닥 기술특례 상장을 위한 기술성평가를 통과했다. 지난 5월 기술성 평가에서 한차례 고배를 마신뒤 곧바로 재도전해 코스닥 상장예비심사 청구 자격을 획득했다. 18일 투자업계에 따르면 메드팩토는 기술성 평가를 진행하는 전문평가기관 2곳(한국기업데이터, 이크레더블)으로부터 A, A 등급을 통보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코스닥 기술특례상장을 위한 첫 단계인 기술성 평가는 한국거래소가 지정한 2곳의 전문평가기관으로부터 각각 A, BBB 이상 등급을 받으면 코스닥 상장 예비심사 청구 자격을 얻는다. 메드팩토는 올해
Well Marker Bio, a company specialized in the development of anticancer drugs based on biomarkers, has announced on July, 10th, 2019, that it has invested \ 18 billion (won, Korean dollar) in series B. It is less than a year after investment of 28 billion won in series A last year, and succeeded in
Quratis is a bio venture that is taking up the challenge of developing tuberculosis vaccines for adolescents and adults whose immunity from BCG vaccine wanes. Quratis, which started from Yonsei University Medical Hospital in 2016, has secured the license to sell the anti-tuberculosis vaccine “QPT101
차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은 신경병증 통증 치료제 개발 기업 루다큐어와 ‘척추질환 재생 치료제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분당차병원과 루다큐어는 이번 협약을 바탕으로 분당차병원의 줄기세포 응용 재생기술과 루다큐어의 통증 조절 기술을 융합해 ▲통증 조절 및 재생 효과를 가진 새로운 척추질환 치료제 개발 ▲분당차병원에서 공동 개발한 치료제의 임상시험 진행 ▲공동 임상시험을 바탕으로 신약허가 ▲공동 기술 이전 및 신약 개발 등 척추질환 치료제의 산업화를 추진한다. 김재화 분당차병원장은 “퇴행성 디스크, 척수손상 등
한국얀센과 존슨앤드존슨 이노베이션은 서울시, 한국보건산업진흥원(KHIDI)과 스마트 헬스케어를 주제로 하는 '서울 이노베이션 퀵파이어 챌린지(Seoul Innovation QuickFire Challenge in Smart Healthcare)'를 공동 개최한다고 18일 밝혔다. 퀵파이어 챌린지는 인큐베이터 역할을 하는 존슨앤드존슨 이노베이션 제이랩스(JLABS)가 진행하는 공모전이다. 이번 서울 이노베이션 퀵파이어 챌린지는 지난 2017년과 2018년에 이어 서울에서 진행하는 3번째 공모전으로 ▲빅데이터/인공지능/블록체인 ▲3D프
이오플로우가 코스닥 상장을 위해 추진한 기술성평가에서 A, A 등급을 획득했다. 이오플로우는 이번 결과에 힘입어 오는 9월 코스닥 성장성 특례상장을 위한 예비심사를 청구할 계획이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이오플로우는 최근 기술성평가를 진행한 전문평가기관 2곳(신용평가사)으로부터 각각 A, A 등급을 통보받았다. 코스닥 기술특례 상장을 위한 자격요건인 A, BBB를 상회하는 등급을 획득한 것. 이오플로우는 성장성 특례상장을 추진하고 있어 코스닥 기술특례 상장 절차인 기술성평가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다만 회사의 기술력, 사업성
국내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가 베링거인겔하임에 오토택신(autotaxin) 저해제 계열의 신약 후보물질 BBT-877을 기술이전함에 따라 원천물질 개발자인 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도 상당한 마일스톤을 수령하게 됐다. 레고켐바이오는 18일 공시를 통해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가 베링거인겔하임과 기술이전계약을 체결함에 따라 사전합의한 비율에 따라 이익을 배분할 예정"이라면서 "상업화 될 경우 판매금액에 따른 별도의 로열티를 수령한다"고 밝혔다. 레고켐바이오는 2017년 5월 자체 개발한 오토택신(Autotaxin) 저해 신약후보물질 LCB17-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와 베링거인겔하임은 특발성 폐섬유증(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IPF)을 포함하는 섬유화 간질성 폐질환(fibrosing interstitial lung diseases) 치료를 위한 오토택신(autotaxin) 저해제 계열의 신약 후보물질, BBT-877 개발을 위한 양사 협업 및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는 계약금 및 단기 마일스톤으로 4500만유로(약 600억원)를 수령하게 된다. 또한, 임상개발, 허가 및 판매 마일스톤으로 최대 약 11억
크리스탈지노믹스는 pan-BTK, pan-FLT3 다중표적 저해 혈액암 신약후보물질 CG-806가 임상 1상(a/b)에 진입했다고 17일 밝혔다. 크리스탈은 CG-806을 2016년, 2018년 각각 3600억원(한국/중국 제외 전세계 판권)과 1340억원(중국판권)에 미국 바이오텍 앱토즈에 기술수출했다. 이번 임상은 표준 항암치료요법에서 치료효과를 보지 못했거나 실패한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소림프구성 림프종(CLL/SLL) 및 비호지킨림프(NHL)를 포함하는 재발성 또는 난치성 B세포 악성종양 환자들을 대상으로 CG-806을 경구
세포침투 항체 플랫폼기업 오름테라퓨틱이 국내 주요 투자사로부터 345억원의 시리즈B 투자를 유치했다. 17일 회사측에 따르면 이번 투자에는 기존 투자사인 인터베스트 및 KB/솔리더스인베스트먼트(공동펀드)와 함께 IMM인베스트먼트, 스마일게이트 인베스트먼트, KTB네트워크, 스타셋인베스트먼트가 새롭게 참여했다. 2017년 6월 90억원의 시리즈A 투자 유치 이후 2년여만에 시리즈B 를 마무리했다. 이번 투자를 발판으로 오름테라퓨틱은 오로맙(Oromab) 플랫폼 확장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김용성 아주대 교수팀과 공동개발하는 오로맙은
우정바이오는 중앙실험동물과 일본 최대 실험동물 업체인 SLC 동물 독점 판매계약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우정바이오는 1989년 회사 설립 이후 신약개발용 SPF(Specific Pathogen Free)동물자원을 최초로 소개한 이래 미니돼지, 비글견, 영장류 등 실험용 대동물 분야에 집중해왔다. 이번 SLC 동물(마우스)의 독점판권 계약체결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소동물까지 추가 확보하게 됐다. 천병년 우정바이오 대표이사는 "각종 질환모델 동물자원들 확보해 신약개발 연구와 관련한 서비스가 가능하게 됐다"면서 "소동물부터 대동물까
에빅스젠이 에이즈와 노인성황반변성, 안구건조증에 이어 4번째 임상파이프라인을 확보했다. 17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에빅스젠은 지난 16일 아토피피부염 신약 임상 1상을 승인받았다.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로 허가된 제품들은 모두 면역 억제 또는 염증 억제 기전을 가진다. 특히 중증의 아토피 피부염의 경우 스테로이드계 치료제가 제한적으로 처방되고 있어 부작용의 우려가 높다. 에빅스젠이 개발하는 아토피 신약은 아토피 피부염의 진행에 따라 과도하게 높아진 혈관내피세포의 투과성을 정상 수준으로 회복시킴으로써 염증 병변의 혈액 내 사이토카
일동제약은 17일 아토피피부염 개선용 프로바이오틱스 유래 물질 ‘RHT-3201’과 관련해 유럽, 러시아, 일본 특허를 취득했다고 밝혔다. RHT-3201은 일동제약이 자체 개발한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IDCC 3201’을 열처리 배양 건조한 물질이다. 일동제약은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이수영 아주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팀과 함께 아토피피부염 환자 대상 RHT-3201의 인체적용시험을 진행했으며 평가 지표인 아토피피부염중증도지수(SCORAD)가 시험군에서 유의미하게 개선, 면역 과민반응이 있던 피부상태가 호전되는
베링거, 'HER2 TKI' 폐암 "기세..post-ADC서도 효능"
LG화학, 新면역관문 ‘LILRB1 항체’ 전임상 “첫 공개”
셀트리온, 'HER2xCD3 TCE' 전임상 "AACR 구두발표"
獨머크 ‘결국’, 스프링웍스 39억弗 인수.."희귀종양 확대"
오름, 결국 'HER2 GSPT1 DAC' "자진취하..개발중단"
화이자, 'PD-1 SC' 방광암 3상 세부 "EFS 32% 개선"
릴리, AI 크레욘과 '新올리고 약물' 개발 "10.13억弗 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이엔셀, 셀트리온 출신 염건선 이사 영입
삼진제약, BD담당에 이서종 이사 영입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티움바이오, TGF-β/VEGF+키트루다 2상 "ASCO 발표"
이뮨온시아, 공모가 상단 3600원 확정.."329억 조달"
바이젠셀, 테라베스트와 'GD2 CAR-NK' 공동개발 계약
온코닉, ‘PARP/TNKS’ 위암 전임상모델 “효능 확인”
JW C&C硏, ‘STAT5/3’ 비임상 동물모델 결과 “첫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