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앱티스(AbTis)는 5일 론자(Lonza)와 항체약물접합체(antibody drug conjugates, ADC) 개발에 사용하기 위한 ADC 링커 플랫폼 기술협력(framework)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앱티스의 앱클릭(AbClick) 링커 기술은 론자의 바이오접합(bioconjugation) 툴박스 기술 중 하나로 포함될 예정이다. 론자는 고객사의 요청으로 ADC 약물개발 시 앱클릭 기술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앱티스는 해당 고객사와 별도의 라이선스 계약을 맺을 수 있다. 앱티스의 앱클릭 기술은 돌
이뮤노바이옴(ImmunoBiome)은 5일 ‘네트워크에 기반한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해 암 환자에 대한 면역관문억제제 치료효과와 전체 생존률을 예측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의 탐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국내 특허를 등록했다고 밝혔다. 회사에 따르면 해당 기술은 면역관문억제제에 대한 14만여 명의 엑솜(Exome) 서열 정보와 400여개의 세포주 스크리닝 정보를 결합해 약물 표적 유전자의 위험성을 계산한다. 유전자 위험성을 기반으로 임상시험이 완료된 약물의 성공 여부를 학습하고 새로운 표적에 대한 성공률을 예측하는 방식으로, 지난 6월
중추신경계(CNS) 전문 CRO인 나손사이언스(Naason Science)가 3년만에 대면으로 열린 신경과학 분야 최대규모 학회 SfN 2022(Society for Neuroscience Meetings 2022)에서 자체 개발한 외상후스트레스(PTSD) 모델을 공개했다. 지난 2019년부터 국제과제 개발사업인 유로스타2(Eurostars 2)를 통해 개발한 모델로 올해 7월 특허출원을 마쳤다. 또한 나손사이언스는 이번 SfN에서 질환을 확장하는 움직임으로 지난 몇년동안 자체 연구개발한 전임상 자궁내막증(endometriosis
SK바이오팜(SK Biopharmaceuticals)이 자체 개발한 다중 생체신호 기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첫 연구 사례를 공개했다. SK바이오팜은 2일에서 6일(현지시간)까지 미국 테네시주 내슈빌에서 열리는 미국 뇌전증학회(American Epilepsy Society, AES 2022)에서 뇌전증 증상 모니터링에 대한 선행연구를 발표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연구발표는 김헌민 분당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 연구팀이 포스터 발표를 통해 진행했다. 이번 연구에 사용된 SK바이오팜의 디바이스는 8시간 이상 연속 뇌파 측정이
아이엠바이오로직스(IMBiologics)는 2일 동아에스티(Dong-A ST)와 차세대 IgM 플랫폼을 기반으로 신규물질 발굴 및 사업화 기회 모색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암과 염증성질환 분야에서 표적치료제 개발을 위한 신규물질 발굴하게 된다. 아이엠바이오로직스의 차세대 IgM 플랫폼기술을 활용한 항체개발 경험과 역량에 동아에스티의 바이오의약품 공정개발, 제조, 평가기술 전문성을 더해 시너지를 기대한다. 향후 두 회사는 협력 프로젝트에 대한 전략을 공동으로 수립해, 물질 기술
이뮤노포지는 1일 만성골수성백혈병(CML) 치료제로 개발중인 ‘KF1601’이 보건복지부의 2022년도 제2차 바이오헬스 투자인프라 연계형 R&D 신규과제에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회사에 따르면 이뮤노포지는 이번 과제선정을 통해 13억원 규모의 연구개발비를 정부로부터 지원받게 됐다. 이뮤노포지는 이번 연구개발비로 현재 진행중인 KF1601의 비임상연구를 마무리하고 임상1상을 준비할 계획이다. KF1601은 BCR-ABL1 저해기전의 만성골수성백혈병 약물이다. KF1601가 기존 만성골수성백혈병 치료제를 장기 복용할 경우 발생가능한
큐리언트(Qurient)는 1일 CDK 저해제 ‘Q901’의 미국 임상1/2상 첫 환자 투약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큐리언트가 2번째로 임상에 들어간 항암제 프로젝트이다. 큐리언트는 향후 Q901 단독투여 뿐만 아니라 PD-1 항체 ‘키트루다’와 병용투여 임상도 진행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큐리언트는 지난 9월 미국 머크(MSD)로부터 약물무상공급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이번 임상1/2상은 진행성 고형암 환자 70여명을 대상으로 Q901을 투여해 안전성, 내약성, 약동학적특징, 유효용량, 초기 항암활성 등을 평가하기 위해 진행된다
대웅제약은 1일 SGLT2(sodium glucose cotransporter 2) 저해제 ‘엔블로정0.3밀리그램(Envlo, enavogliflozin)’이 제2형 당뇨병을 대상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품목허가를 취득했다고 밝혔다. 엔블로정은 단독요법, 메트포르민 병용요법, 메트포르민과 제미글립틴 병용요법 등 총 3가지 방법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대웅제약은 국내시장 출시를 위해 엔블로정의 급여 및 약가관련 절차를 진행해 단독요법, 메트포르민 병용요법, 메트포르민과 제미글립틴 병용요법 모두 2023년 상반기까지 급여등재를 마칠
셀트리온제약은 1일 아바스틴(Avastin, bevacizumab) 바이오시밀러 ‘베그젤마(Vegzelma)’의 보험약가 고시를 시작으로 국내 판매 절차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회사에 따르면 베그젤마는 올해 9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품목허가를 획득한 이후 보건복지부 약제 급여 상한금액 고시(제2022-262호)에 따라 이달 1일부터 건강보험 급여적용이 시작됐다. 베그젤마0.1g/4mL와 베그젤마0.4g/16mL의 약가는 각각 20만8144원과 67만7471원으로 책정됐다. 오리지널 의약품 아바스틴은 전이성 직결장암, 전이성 유방암
셀랩메드(Cellabmed)는 뇌종양의 일종인 교모세포종(glioblastoma) 치료를 위해 정맥(IV)투여 방식의 IL13Rα2 타깃 CAR-T ‘YYB-103(CLM-103)’을 개발하고 있다. 지난 1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임상1상 IND 승인을 받은 셀랩메드는 지난 9월 임상을 시작했으며 현재는 첫 환자 투약을 완료한 상태다. 셀랩메드는 왜 교모세포종 CAR-T의 타깃으로 IL13Rα2를, 투여방식으로는 IV를 선택했을까? 글로벌에서 많은 회사들이 다양한 타깃과 투여방식으로 교모세포종 CAR-T 임상을 진행하고 있다.
이뮨앱스(ImmunAbs, 구 앱틱스)는 30일 시리즈B로 130억원의 투자유치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로 이뮨앱스는 지난해 시리즈A 116억원을 포함 누적 311억원의 투자를 유치했다. 이번 투자에는 후속투자사로 마그나인베스트먼트, 서울투자파트너스, 대교인베스트먼트, D3쥬빌리파트너스, 신규투자사로 CKD창업투자, DTN인베스트먼트, 하나증권 등이 참여했다. 이뮨앱스는 시리즈B 투자 유치는 멀티클로징으로 진행되며 추가자금을 조달할 계획이다. 이뮨앱스는 투자금으로 C5 항체 ‘IM-101’의 미국 임상 1상을 진행하고, 추
유도만능줄기세포 기업 입셀(YiPSCELL)은 30일 유전자교정 기업 툴젠(ToolGen)과 차세대 줄기세포 기반 재생의료치료제 개발을 위한 업무제휴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두 회사는 공동연구에서 면역거부반응에 관련된 유전자를 교정해 폭넓은 재생의료 소재로 활용할 수 있는 유도만능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C)를 개발, 검증하게 된다. 또 이번 협약에 따라 유전자교정 기술 기반 유도만능줄기세포를 활용한 차세대 재생의료치료제를 개발하고 활용방안을 구체화하는데 협력할 계획이다.
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LegoChem Biosciences)가 1년전 소티오 바이오텍(SOTIO Biotech)과 체결한 항체약물접합체(ADC) 플랫폼 라이선스딜에 대한 첫 성과가 나왔다. 레고켐은 파트너사인 소티오가 5개 타깃에 대한 독점권리 중 1번째 타깃(비공개, 프로그램명 ‘SOT106’) ADC에 대한 옵션을 행사했으며, 현재 여러 고형암을 대상으로 SOT106에 대한 전임상이 진행되고 있다고 30일 밝혔다. SOT106은 전임상 효능과 내약성 연구에서 여러 고형암종에 걸쳐 경쟁력 있는 치료지수(therapeutic ind
새로운 모달리티로 떠오른 TPD(Targeted Protein Degradation)에 대한 투자 추세가 계속해서 이어지고 있다. 최근 몇년간 코로나 팬데믹, 글로벌 경제상황 악화 등 글로벌 바이오업계의 전반적인 침체에도 불구하고 그 추세는 쉽게 꺾이지 않는 분위기이다. 지난 2012년 이후 10년간 TPD 분야에 대해 65억달러가 넘는 투자(equity investment)가 이루어졌으며 이중 최근 5년간 투자된 금액이 60억달러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대부분의 투자가 집중된 것으로 새로운 모달리티에 기대감이 엿보
AI더뉴트리진(AItheNutrigene)이 29일 한국거래소 코넥스(KONEX) 시장에 상장했다. AI더뉴트리진은 종이 기반 바이오센서를 이용한 LOP(Lab-on-Paper) 방식의 신속 분자진단기기 개발기업으로 표적 유전자를 LAMP(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방식으로 증폭해 30분 내에 현장에서 발색반응으로 결과를 확인하는 플랫폼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회사에 따르면 유체분석기술을 이용한 LOP 신속분자진단 플랫폼은 신속함, 정확성, 비용경쟁력, 편의성을 경쟁력으로 한다. AI더
이중항체 바이오텍 에이비엘바이오(ABL Bio)가 내년 임상1상을 계획하고 있는 BCMAx4-1BB 이중항체 ‘ABL101’의 비임상 데이터와 CD3 이중항체와의 병용투여 전략을 공개한다. 에이비엘바이오가 다발성골수종(MM) 치료제 후보물질로 개발하고 있는 약물로, ABL101의 임상1상 임상시험계획서(IND)를 제출하기 위한 원숭이 독성시험을 완료한 상태이다. 미국 샌디에고에서 내달 4일부터 8일(현지시간)까지 개최되는 항체 엔지니어링·테라퓨틱스(Antibody Engineering & Therapeutics) 학회에 참여해 A
릴리 “新기준”, ’아밀린 단독‘ 비만 2상서 "20% 감량"
노보노, 항암·MASH 초기에셋 "중단"..주력분야 '베팅'
리가켐, 'World ADC Awards' 2개부문 동시 수상
일동제약, 디앤디파마텍 5만3023주 전량 "매각 결정"
화이자 勝, "치열했던 7일" 멧세라 100억弗 인수
화이자, 씨젠 ‘CD228x4-1BB’ 등 11개 프로그램 “중단”
루카스, ‘바이러스 세포치료제’ 접근법 “개발 전략은?”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인사]삼양그룹, 정기 임원인사 및 조직개편
일동생활건강, 박하영 신임 대표 선임
씨어스, 디지털 기반 "글로벌 의료격차 해소" 비전
[기고]『아웃포스트』, 신약개발 최전선을 기록하다
씨젠, 3분기 매출 1135억 "전년比 4.3%↑"
한미약품, 'AI 신약개발' 구축 "국책과제 연구기관 선정"
리스큐어, ‘LB-P8’ 희귀간질환 글로벌 2상 "환자투여"
동아 메타비아, ‘GLP-1/GCG’ 신규 전임상 “美학회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