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셀트리온(Celltrion)은 지난 5일 유럽의약품청(EMA)에 휴미라(Humira, adalimumab) 바이오시밀러 '유플라이마(Yuflyma, CT-P17)'의 20mg 용량 제형을 추가하는 변경 허가신청을 했다고 밝혔다. 셀트리온은 기존에 허가받은 유플라이마 40mg과 80mg 등 두가지 용량 제형에 더해 20mg 용량 제형 추가 신청으로 처방환경에서 다양한 니즈를 충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이번 제형이 추가되면 소아환자 범위가 확대돼 몸무게가 적게 나가 저용량 투여가 요구되는 소아 환자들에게도 유플라이마
아이젠사이언스(Aigen Sciences)는 16일 유한양행과 인공지능(AI) 기반 항암신약 작용기전 규명을 위한 연구협력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계약에 따라 아이젠사이언스는 유한양행으로부터 연구비를 받아 전사체(Transcriptome) 데이터 기반의 자체 AI 플랫폼을 이용해 유한양행이 개발중인 항암신약 후보물질의 작용기전을 예측하고 표적을 도출한다. 유한양행은 아이젠사이언스가 제안한 표적 및 작용기전을 검증하고 이후 차별화된 항암제 신약으로의 후속 개발을 진행한다. 아이젠사이언스는 AI 플랫폼을 이용해 전사체 데이터를 기
HK이노엔(HK inno.N)과 삼양홀딩스는 HK이노엔 서울 사무소에서 항암제 ‘제넥솔주(성분명 파클리탁셀)’의 국내 영업 및 마케팅을 위한 공동판매 계약 체결식을 진행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계약에 따라 양사는 제넥솔주에 대해 서울과 수도권 지역의 상급 종합병원에서는 공동으로 마케팅과 영업을 담당하고, 그외 지역은 HK이노엔이 맡을 예정이다. 국내 유통 및 판매는 HK이노엔이 맡는다. HK이노엔은 앞서 2001년부터 2013년까지 13년간 삼양홀딩스와 제넥솔주 공동 영업 및 마케팅을 진행한 바 있다. 과거 제휴 경험을 통해
루다큐어(Rudacure)는 16일 한림제약과 각막궤양 및 각막손상 치료제 후보물질 ‘RCI001U’의 70억원 규모로 라이선스아웃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계약에 따르면 루다큐어는 계약금 10억원에 더해 임상승인 등 마일스톤 등 총 70억원을 한림제약으로부터 받게 된다. 한림제약은 RCI001U의 국내 생산 및 판권을 가진다. 루다큐어는 상업화 이후 두자리수 이상의 로열티를 받는다. 양사는 신속한 상업화를 위해 올해 내에 RCI001U의 임상1상에 진입을 계획하고 있다. RCI001U는 루다큐어가 개발중인 기존 안구건조증 치료
동아에스티(Dong-A ST)는 16일 ‘스텔라라(Stelara, ustekinumab)’ 바이오시밀러 ‘DMB-3115’의 만성 판상건선(chronic plaque psoriasis) 임상3상에서 스텔라라와 치료적 동등성을 확인한 탑라인 결과를 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동아에스티는 미국, 폴란드 등 9개 국가에서 총 605명의 중등도에서 중증 환자를 모집해 임상을 진행했다. 동아에스티는 DMB-3115와 스텔라라 피하주사(SC) 제형간의 효능, 안전성, 면역원성 등을 비교했다. 임상의 1차 종결점은 투약 8주차, 12주차에 건선
베링거인겔하임(Boehringer Ingelheim)이 3T 바이오사이언스(3T Biosciences)와 고형암 타깃 TCR(T-cell receptor) 면역항암제 개발 딜을 맺었다. 지난 2021년 영국 에나라바이오(Enara Bio)와 파트너십을 체결한 이후 TCR 면역항암제에 투자를 이어가는 모습이다. 베링거는 지난 9일(현지시간) 3T 바이오사이언스와 이같은 TCR 기반 면역항암제 개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계약에 따르면 베링거는 3T에 비공개 규모의 계약금과 연구개발을 지원하며, 발굴, 전임상, 임상, 허가,
오스코텍(Oscotec)은 카이스트 교원 창업기업 바이오리버트(Biorevert)과 암세포를 정상세포로 되돌리는 ‘가역(revert)’ 항암치료 개념의 신규타깃에 대한 공동연구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계약에 따라 바이오리버트는 오스코텍과 자체 발굴한 신규 항암가역타깃 2종 ‘BRVT121(간암)’과 ‘BRVT221(폐암)’에 대한 초기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이를 통해 후속 개발과 사업화 협력을 기대하고 있다. 바이오리버트에 따르면 암세포를 정상세포를 되돌리는 개념의 항암가역치료 타깃이며, 창업자인 조광현 카이스
검찰이 식품의약품안전처 등을 대상으로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 등의 임상개발 및 승인 과정에 불법행위가 있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강제수사에 나섰다. 13일 검찰에 따르면 서울서부지검 식품의약범죄조사부는 식약처 등 9곳을 대상으로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이는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의 임상시험 지원과 승인에 관련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지난 2020년 9월부터 지난해 11월까지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를 통해 ‘코로나19 치료제 및 백신 신약개발 사업’을 진행하며 바이오제약기업을 대상으로 연구개발비를 지원해왔다. 국내
종양순환세포(CTC) 기반 액체생검 바이오텍 싸이토젠(Cytogen)은 12일 3차원 오가노이드 세포배양 플랫폼 전문기업 엠비디(MBD)와 CTC 활용 항암제 감수성 검사 사업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싸이토젠은 살아있는 상태의 CTC 분리·분석 기술을 기반으로 암을 진단하는 액체생검 기술과 단일세포유전체분석(single cell RNA sequencing) 등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엠비디는 독창적인 3차원 오가노이드 세포배양 기술을 기반으로 약물 효능과 독성을 예측하는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오가노이
삼성바이오로직스(Samsung Biologics)가 항체약물접합체(ADC)와 유전자치료제로 사업 포토폴리오를 확대한다. ADC 생산설비는 현재 준비중이며, 내년 2024년 1분기 생산을 목표로 한다. 존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사장)는 11일(현지시간) 2023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에서 “올해 4공장을 필두로 적극적인 수주 활동을 펼치면서, 제2바이오캠퍼스를 통한 생산능력 확장도 추진할 것”이라며 “또 ADC 유전자치료제 등 차세대 의약품으로 CDMO 포트폴리오를 늘리고, 글로벌 고객사가 밀집한 주요도시에 거점을 구축하며 3
메디톡스(Medytox)의 관계사로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개발 기업 리비옴(Liveome)은 지난 9일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개발 플랫폼 ‘eLBP™’의 핵심 기술에 대한 일본 특허를 취득했다고 11일 밝혔다. 일본 외에도 여러 국가에 특허를 출원, 등록을 앞두고 있다. 회사에 따르면 해당 특허는 리비옴의 차세대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LBP, Live Biotherapeutic Products) 개발을 위한 플랫폼 특허로 기존 마이크로바이옴 기술에 유전자 에디팅 기술을 적용해 미생물유전자치료제를 개발하는 'eLBP' 플랫폼의 핵심
에스엔바이오사이언스는 11일 보령과 알부민나노입자 항암제 후보물질 ‘SNA-001’의 국내 제조기술 이전 및 공동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계약에 따라 보령은 ‘SNA-001’의 국내 독점제조 및 판매권리를 보유하게 된다. 계약금 등 상세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에스엔바이오에 따르면 SNA-001은 인체 혈액에 존재하는 알부민에 세포독성 항암제를 정전기적결합을 통해 부착한 약물로 고형암 동물모델에서 항암효과를 보였다. 이외에도 보령은 지난 2021년 에스엔바이오가 개발한 고분자 나노입자 항암제 ‘SNB-101’의 국내 독점판
롯데바이오로직스(Lotte Biologics)가 글로벌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인수(acquisition)와 신규건설이라는 2가지 키워드를 제시했다. 롯데바이오로직스는 미국 시러큐스 공장설비를 증설해 항체약물접합체(ADC), 완제의약품(Drug Product, DP) 생산설비 추가와 시러큐스지역 외 북미 거점 확장을 검토하고 있다. 여기에 더해 롯데바이오로직스는 2030년까지 3조원을 투자해 국내에 총 36만리터 규모의 메가플랜트를 건설하고 롯데바이오 캠퍼스(Lotte Bio Campus)를 구축할 계획이다
투자전문회사 SK㈜는 오는 11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 포시즌스호텔에서 SK㈜ 제약·바이오 기업과 글로벌 파트너사, 투자회사 등 50여개사 관계자 약 100명이 참석하는 ‘SK 바이오 나이트(SK Bio Night)’ 행사를 개최한다고 10일 밝혔다. 글로벌 파트너십 확장을 위한 네트워킹 행사다. 이번 행사는 샌프란시스코에서 9일부터 12일 JP모건헬스케어 컨퍼런스(JPM 2023)가 열리고 있는 가운데 개최된다. 이날 행사에는 장동현 SK㈜ 부회장을 비롯해 이동훈 SK바이오팜 사장, 요그 알그림(Joerg Ahlgrimm
토모큐브(Tomocube)가 지난해 출시한 새로운 홀로토모그래피(holotomography) 제품을 이용한 오가노이드 라이브셀(live cell) 분석과 각 대학·연구기관의 ‘코어 퍼실리티(core facility)’에 집중하는 상업화 전략을 내놨다. 신약 후보물질 효과 분석 및 스크리닝 등에 새로운 툴(tool)로 사용되고 있는 오가노이드를 살아있는 상태로 분석이 가능한 이미징 기술과 각자 구매하기 부담스러운 고가 장비를 구비해 다수의 교수 및 연구원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코어 퍼실리티를 공략해 사용자 풀(user po
원형 RNA(circRNA) 치료제 개발사 뉴클릭스바이오(NuclixBio)는 10일 국내 mRNA 치료제 개발사 에스엠엘바이오팜(SML Biopharm)과 mRNA 의약품 개발을 위한 포괄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두 회사는 뉴클릭스바이오의 circRNA 기술과 에스엠엘바이오팜의 지질나노입자(LNP) 라이브러리를 이용해 암백신 공동개발, 기술이전 등 협력관계를 구축해 나간다. circRNA는 선형 mRNA 대비 반감기가 길다는 장점을 가져 기존 mRNA 치료제의 한계점을 해결할 수 있는 차세대 치료제 플랫폼으로
릴리 “新기준”, ’아밀린 단독‘ 비만 2상서 "20% 감량"
노보노, 항암·MASH 초기에셋 "중단"..주력분야 '베팅'
리가켐, 'World ADC Awards' 2개부문 동시 수상
암젠 "희망 불씨", 'FGFR2b' 병용 3상 "효능부족" 중단
온코크로스, 복지부 주관 '전임상·임상 모델개발' 사업선정
리가켐, 'B7H4 ADC' 고형암 1상 "고용량 코호트 추가"
루카스, ‘바이러스 세포치료제’ 접근법 “개발 전략은?”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인사]삼양그룹, 정기 임원인사 및 조직개편
일동생활건강, 박하영 신임 대표 선임
씨어스, 디지털 기반 "글로벌 의료격차 해소" 비전
[기고]『아웃포스트』, 신약개발 최전선을 기록하다
씨젠, 3분기 매출 1135억 "전년比 4.3%↑"
일동제약, 디앤디파마텍 5만3023주 전량 "매각 결정"
한미약품, 'AI 신약개발' 구축 "국책과제 연구기관 선정"
리스큐어, ‘LB-P8’ 희귀간질환 글로벌 2상 "환자투여"
동아 메타비아, ‘GLP-1/GCG’ 신규 전임상 “美학회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