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베링거인겔하임(Boehringer Ingelheim)이 로이반트 사이언스(Roivant Sciences) 스핀오프(spin-off) 코반트 테라퓨틱스(Covant Therapeutics)로부터 ADAR1(adenosine deaminase RNA1) 저해제를 도입한다. ADAR1 저해제와 면역항암제(IO)의 병용요법으로 면역항암제의 불응성을 개선하겠다는 전략이다. 코반트는 지난달 28일(현지시간) 베링거와 ADAR1 프로그램의 연구 파트너십과 독점적 글로벌 권리를 넘기는 라이선스아웃(L/O)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계약에 따르
셀트리온(Celltrion)은 3일 안과질환 치료제 '아일리아(Eylea, aflibercept)' 바이오시밀러 'CT-P42'의 글로벌 임상3상 24주결과 분석에서 동등성과 유사성을 확인한 결과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셀트리온은 독일, 스페인 등 총 13개국에서 당뇨병성 황반부종(DME, Diabetic Macular Edema) 환자 348명을 대상으로 52주간 임상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번 결과는 24주까지의 임상결과다. 셀트리온은 CT-P42 투여군과 오리지널 의약품 투여군 두 그룹으로 나눠, 기준선(baseline)
리제네론 파마슈티컬(Regeneron Pharmaceuticals)이 자가면역질환 블록버스터로 자리잡아가는 IL-4R 항체 ‘듀피젠트’의 성공을 이어가기 위해, 자가면역질환에서 새롭게 등장하기 시작하는 ‘조절T세포(Treg) 세포치료제’에 베팅한다. 면역항암제 분야에서 CAR-T 세포치료제와 같이 1회 투여로 치료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만, 세포치료제가 작동하는 컨셉은 다르다. 듀피젠트는 사노피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개발한 약물이다. 리제네론은 2007년부터 10년동안 사노피와 광범위한 항체치료제 개발 파트너십을 진행하면서 듀피젠트를
삼성바이오에피스(Samsung Bioepis)는 1일 유럽의약품청(EMA) 산하 약물사용자문위원회(CHMP)로부터 '솔리리스(Soliris)' 바이오시밀러 '에피스클리(Epysqli, SB12, eculizumab) '의 판매허가 승인권고(positive opinion)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솔리리스는 미국 알렉시온(Alexion)이 개발한 발작성야간혈색소뇨증(PNH) 등 난치성 희귀질환에 대한 치료제로 연간 치료비용이 수억원에 달하는 초(超)고가 바이오의약품이다. 솔리리스의 지난해 글로벌 매출은 37억6200만달러(한화 4조70
차바이오텍(CHA Biotech)은 31일 이사회를 열고 기존 오상훈 단독 대표이사 체제에서 오상훈·이현정 각자 대표이사 체제로 변경했다고 밝혔다. 차바이오텍은 사업부문과 연구개발(R&D)부문 총괄을 분리해, 각 부문의 노하우와 전문성을 살린 신속한 의사결정으로 경쟁력을 강화하고 효율성을 높여 시너지를 극대화할 방침이다. 이 신임 대표는 차바이오텍과 차바이오그룹의 R&D 부문을 총괄하며, 세포치료제 R&D 역량을 강화해 상업화 시기를 앞당길 계획이다. 이 대표는 지난해 12월 차바이오텍 R&D부문 사장으로 합류했다. 이 대표는 산
HLB그룹은 31일 사장단 인사를 단행하며 그룹 피플팀 총괄(CPO)에 김종원 사장을, 그룹 마케팅 총괄(CMO)에 황제이 사장을 신규 임명했다고 밝혔다. 신규 선임된 김종원 CPO는 연세대 경제학과를 졸업한 후 노사관계학 석사와 경제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신한은행, 소프트뱅크 파이낸스, 메릴린치증권을 거쳐 ACA인베스트먼트 대표를 역임했으며, 이후 HLB그룹에 소속돼 HLB파워 대표, HLB글로벌 대표를 지냈다. 황제이 CMO는 미국 노스웨스턴대를 거쳐 일리노이대 어바나샴페인캠퍼스에서 마케팅 학사 및 광고마케팅 석사 학위를 받
노바티스(Novartis)가 바이시클 테라퓨틱스(Bicyle Therapeutics)와 펩타이드-방사성의약품접합(Bicyle petide-radio conjugation, BRC) 약물 개발을 위해 17억5000만달러 규모의 딜을 맺었다. 노바티스는 2개의 방사성리간드(radioligand therapy) 치료제를 시판중이며, 접합(conjugation) 기전의 약물를 통해 방사성리간드의 적용범위를 넓히려는 움직임으로 보인다. 노바티스는 SSTR(Somatostatin receptors) 양성 신경계내분비종양(NETs) 치료제 ‘
노바티스(Novartis)가 CDK4/6 저해제 ‘키스칼리(Kisqali, ribociclib)’의 HR+HER2- 초기 유방암(EBC) 수술후요법(adjuvant) 임상3상에서 1차종결점을 충족시킨 긍정적인 결과를 내놨다. 키스칼리를 표준 내분비요법(endocrine therapy, ET)과 병용투여했을 때 ET 단독요법 대비 침습적 무병생존기간(iDFS)을 개선한 결과다. 독립적 데이터모니터링위원회(iDMC)는 1차종결점인 iDFS가 충족됨에 따라 임상을 조기 종료할 것을 권고했다. 노바티스는 임상 프로토콜에 따라 OS 등 장
애브비(Abbvie)가 ‘CD71’ 타깃 프로드럭(prodrug) 개발을 중단하며 사이톰엑스(CytomX)와 체결한 7년간의 공동개발 파트너십을 종료했다. 지난 2016년 트랜스페린 수용체 CD71를 타깃하는 프로드럭 ADC(Antibody drug conjugates) 신약 공동개발을 위해 양사가 체결한 파트너십 및 라이선스 계약으로, 당시 계약금 3000만달러, 개발, 허가 및 상업화 마일스톤으로 최대 4억7000만달러 총 5억달러 규모의 딜이었다. 특히 CD71은 체내 철 대사(Iron metabolism)에 중요한 역할을
펩트론(Peptron)은 오는 6월 개최되는 미국당뇨병학회(ADA)에 참가해 1~2개월 지속형 당뇨∙비만 치료제 후보물질 2종의 전임상 결과에 대해 발표한다고 31일 밝혔다. 발표하는 펩트론의 당뇨∙비만 치료제 후보물질 2종은 GLP-1R 작용제(agonist)인 세마글루타이드(semaglutide) 서방형제제 ‘PT403’과 ‘GLP-1/GIP 이중 수용체 작용제의 서방형제제’로 독자적인 약효 지속성 약물전달기술인 스마트데포(SmartDepot) 기술이 적용됐다. 펩트론은 두 후보물질의 1개월 지속형(매월1회 주사) 혹은 2개월
프로테옴텍(ProteomeTech)은 30일 한국거래소로부터 기술평가 특례 코스닥 이전상장을 위한 상장예비심사를 승인받았다고 공시했다. 프로테옴텍은 지난 2000년 설립된 체외진단 의료기기 전문기업으로, 2018년 코넥스시장에 상장했다. 프로테옴텍은 다음달 증권신고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상장주관사는 키움증권이다. 프로테옴텍은 알러지 진단키트, 항생제 감수성 진단키트, 면역력 모니터링 키트 등을 개발 및 판매하고 있다. 주력 제품으로는 총 118종의 알러젠(알러지 유발물질)을 한번에 검사할 수 있는 알레르기 다중진단 키트 ‘프로티아
휴젤(Hugel)은 지난 30일 제22기 정기 주주총회 및 이사회를 개최하고 차석용 전(前) LG생활건강 대표(부회장)를 신임 회장 겸 이사회 의장으로 선임했다고 31일 밝혔다. 신임 차 회장은 지난 2005년부터 2022년까지 18년간 LG생활건강 대표를 역임, 17년 연속 매출 및 영업이익 증대라는 기록을 세웠다. 그는 총 28건에 달하는 굵직한 인수합병(M&A)을 통해 각 사업부별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고 북미·중국·일본 등으로 시장을 확대하며 LG생활건강을 국내 뷰티업계 1위이자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시켰다. 차 회장은 그 외에
온코닉테라퓨틱스(Onconic Therapeutics)는 PARP/TNKS 이중저해제(dual inhibitor) ‘네수파립(nesuparib, JPI-547, OCN-201)’의 비임상 결과를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3)에서 발표한다고 31일 밝혔다. 네수파립은 PARP(poly (ADP-ribose) polymerase) 1/2와 PARP 패밀리에 속하는 탄키라제(tankyrase, TNKS) 1/2를 함께 저해하는 항암제 후보물질이다. 온코닉은 기존 1세대 PARP 저해제에 대한 내성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전략으로 네수파
GLP-1 타깃 비만 신약들의 경쟁이 뜨거워지는 가운데 후발주자 바이킹 테라퓨틱스(Viking Therapeutics)가 GLP-1과 GIP(glucose-dependent insulinotropic polypeptide)를 동시 타깃하는 이중작용제 ‘VK2735’로 비만 임상에서 긍정적인 초기 결과를 내놨다. 앞서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은 GLP-1/GIP 작용제 약물은 일라이릴리(Eli lilly)의 제2형 당뇨병치료제 ‘마운자로(Mounjaro, tirzepatide)’가 유일하다. 마운자로는 당화혈색소 (Hb
비임상 CRO 기업 노터스는 30일 주주총회를 열고 사명을 ‘HLB바이오스텝(HLB bioStep)’으로 변경하는 안건을 의결했다고 공시했다. 이는 HLB그룹 일원으로 정체성을 강화하고 기업 미래가치 제고를 위한 것으로, 지난해 HLB에 인수된 지 1년 만의 일이다. HLB바이오스텝은 지난 2012년 창립 후 지금까지 연 평균 1000건 이상의 동물실험을 수행했으며, 최근에는 바이오인프라 사업 분야로 사업을 확장했다. HLB바이오스텝은 바이오 연구시설의 설계부터 시공, 최적의 실험장비 세팅, 유지·관리까지 전과정을 책임지는 원스톱
희귀난치성질환 신약개발 바이오텍 티움바이오(Tiumbio)는 면역항암제로 개발중인 TGF-β/VEGFR2 이중저해제 ‘TU2218’과 PD-1 면역관문억제제 ‘키트루다(Keytruda, pembrolizumab)’를 병용투여하는 임상1b상 첫 환자투여를 시작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임상1b상은 진행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TU2218과 키트루다 병용투여에 대한 안전성과 임상2상 권장용량(RP2D) 등을 정하기 위해 진행된다. 임상은 넥스트 온코롤지(Next Oncology)를 포함해 미국내 임상사이트 3곳에서 진행된다. 티움
에이비엘, 'B7-H4x4-1BB' 키트루다 병용 "전임상 공개"
'AI 신약' 리커전, '애매' 2상 판독後 에셋 "절반 정리"
신라젠, 'TTK/PLK1 저해제' AML 연구 2건 "EHA 발표"
와이바이오, "독성 극복" 'pH 의존' B7-H3 ADC "공개"
HK이노엔, 'cAMP 편향 GLP-1' 비만 "국내3상 IND 승인"
사렙타 등 유전자 "타격"..FDA 프라사드 소장 '여파'
암젠, '보류' 비만 1상 재개..GLP/GIP 3상 "2건 진입"
FDA, 신설 '최고 AI책임자' 첫 임명.."AI 내부사용 확대"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이엔셀, 셀트리온 출신 염건선 이사 영입
삼진제약, BD담당에 이서종 이사 영입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앱클론. 종근당 대상 "122억 유상증자 결정"
셀트리온, 1분기 매출 8419억 "전년比 14.2% 증가"
JD바이오, ‘HTR2A 저해제’ MASH 2a상 “美 IND 승인”
SK바팜, 1Q 매출 1444억·영업익 257억 "美직판 효과"
뉴로핏, 코스닥 상장예심 '통과'.."파이프라인 확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