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스펙테이터 시카고(미국)=김성민 기자
▲와이바이오로직스 AACR 2025 포스터발표 현장, 출처=바이오스펙테이터 김성민 기자 촬영
와이바이오로직스(Y-Biologics)가 현재 항체-약물접합체(ADC) 개발의 가장 큰 이슈인 치료지수(therapeutic index, TI) 개선을 위한 새로운 접근법을 공개했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pH 의존적 항체(pH-dependent antibody)라는 전략을 선택했으며, 이를 ADC 프로젝트에 적용한 개념입증(PoC) 결과를 발표했다. 글로벌에서는 ADC의 종양조직 선택성을 높이기 위해 이중항체 ADC와 프로드럭(prodrug, 또는 masked) ADC 등이 시도되고 있는 가운데, 와이바이오로직스는 자체적으로 강점을 가진 항체에 포커스했다.
박범찬 와이바이오로직스 부사장은 지난달 29일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 암연구학회(AACR 2025) 포스터 발표에서 “ADC 약물개발 과정에서 온타깃(on-target), 오프튜머(off-tumor) 독성을 낮추기 위해 종양 특이적인 항원을 고르지만, 여전히 정상 조직에서도 일부 발현하는 한계가 있다”며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종양조직과 정상조직 사이 환경적으로 무엇이 다른지를 봤고, 종양미세환경내(TME) pH가 낮은 차이에 주목했다”고 말했다.
B7-H3는 PD-L1이 속하는 B7 패밀리(B7 family)에 속하는 막단백질로 폐암, 전립선암, 식도암을 포함한 여러 암종에서 과발현하고 있고, 발현이 높을수록 예후가 나쁘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첫 단계로 자체 인간항체 플랫폼 ‘Ymax®-ABL’을 기반으로 각각 약산성(pH6.0)과 정상(pH7.4)의 pH 조건하에서 결합력이 달라지는 B7-H3 항체를 스크리닝했다....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