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에이비온(Abion)은 지난 11일 이사회를 열고 결의한 210억원 규모의 전환사채(CB)를 발행을 완료했다고 14일 공시했다. 이번 CB는 랩지노믹스, 한국투자 Re-Up II 펀드, 에이티넘성장투자조합2020, NH투자증권(스타퀘스트헬스케어 일반사모투자신탁제3호) 등을 대상으로 발행됐다. CB의 만기는 오는 2028년 4월14일이며 표면이자율과 만기이자율을 각각 0%, 5%다. CB의 보통주 전환가액은 주당 8753원, 전환가액 조정에 따른 최저 조정가액은 6128원이다. 전환청구기간은 2024년 4월14일부터 2028년 3월
일라이릴리(Eli lilly)는 지난 13일(현지시간) 궤양성대장염(ulcerative colitis, UC) 타깃 IL-23 항체 ‘미리키주맙(mirikizumab)’의 생물의약품 허가신청서(BLA)에 대해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최종보완요구서(complete response letter, CRL)를 받았다고 밝혔다. 회사에 따르면 FDA는 CRL를 통해 제시된(proposed) 미리키주맙의 제조공정을 지적했으며 미리키주맙의 임상 결과(data package), 안전성, 라벨(label)에 대해서는 우려할 사항이 없다고
하이바이오(Human Immunology Biosciences, HI-Bio)가 치료옵션이 제한적인 희귀질환인 원발성 막성신병증(primary membranous nephropathy, PMN)의 임상2상에서 진단 및 예후 관련 바이오마커 ‘PLA2R’ 수치와 단백뇨 증상 등을 개선한 긍정적인 결과를 내놨다. 하이바이오는 이번 결과를 기반으로 후속 임상을 진행할 계획이다. 하이바이오가 이번 임상에 사용한 약물은 CD38 항체 ‘펠자르타맙(felzartamab)’으로 병원성 항체를 생산해 신장 사구체를 손상시키는 CD38 양성 형질
바이오젠(Biogen)이 디날리 테라퓨틱스(Denali Therapeutics)에 옵션을 행사해 혈뇌장벽(BBB)을 투과하는 아밀로이드베타(Aβ) 타깃 항체 ’ATV:Aβ’ 프로그램을 라이선스인(L/I) 한다. 이번 옵션행사로 바이오젠은 Aβ 타깃 약물의 개발 의지를 확고히 드러내는 모습이다. 바이오젠은 지난 2020년 디날리와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의 치료제 후보물질로 저분자약물 LRRK2(leucine-rich repeat kinase 2) 저해제를 개발하는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해당 딜에는 디날리의 B
피노바이오(Pinotbio)가 14일 임상 및 기초연구 연구개발 역량강화를 위한 R&D 인력으로 댄 쉬시(Dan Chiche), 술탄 아마드(Sultan Ahmad)를 신규 영입했다고 밝혔다. 댄 쉬시는 의사 출신으로, GSK, BMS 등에서 20년이상의 경력이 있는 임상개발 및 의학학술(Medical Affairs) 분야 전문가다. 댄 쉬시는 피노바이오의 MD(medical director)로서 향후 피노바이오 ADC 플랫폼의 의학적 연구 및 시장분석, 혈액암/고형암 표적 DNMT1 저해제 ‘NTX-301’의 임상개발 등을 수행
셀트리온(Celltrion)은 14일 아시아 염증성장질환학술대회(AOCC) 및 대한장연구학회 국제학술대회에 참가해 인플릭시맙 피하주사 제형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램시마SC(CT-P13 SC)의 글로벌 임상3상에서 유효성과 안전성을 확인한 결과를 포스터로 발표했다. AOCC는 13일부터 15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되며 염증성장질환(IBD) 환자들의 삶의질 향상을 목표로, 일본, 중국, 대만 등 아시아 국가에서 IBD 전문가들이 모여 최신 지견을 공유하는 국제학술대회로, 2013년 도쿄에서 처음 진행된 이래로 아시아 국가에서 매년
GSK가 지난해 10월 개발중단을 선언한 고형암 TCR(T-cell receptor)-T 세포치료제 에셋들의 본격적인 반환에 들어갔다. 어댑티뮨 테라퓨틱스(Adaptimmune Therapeutics)는 지난 11일(현지시간) GSK와 PRAME 및 NY-ESO 타깃 TCR-T세포치료제 프로그램의 권리 및 자료반환을 위한 전환계약(transition agreement)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반환계약을 통해 GSK와 어댑티뮨은 올해 안에 어댑티뮨으로 전임상 단계의 PRAME 타깃 TCR-T 세포치료제 프로그램과 관련된 시료(
노보노디스크(Novo Nordisk)가 비만 및 당뇨병 치료제 개발을 위해 에스팩트 바이오시스템즈(Aspect biosystems)로부터 세포를 잉크처럼 활용한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다. 에스팩트는 지난 12일(현지시간) 노보노디스크와 비만 및 당뇨병의 '조직 치료제' 개발을 위한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계약에 따라 노보노디스크는 에스팩트에 계약금, 연구 지원금 및 전환사채(convertible note) 방식의 투자금으로 7500만달러를 지급한다. 또한 향후 개발, 허가 및 상업화 마일스톤으로 치료제 한 건당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Bridge Biotherapeutics)는 특발성 폐섬유증(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IPF) 신약 후보물질 ‘BBT-877’의 임상2상에서 첫 환자 등록에 따라 투약을 시작했다고 13일 밝혔다. BBT-877은 경구용 오토택신(autotaxin) 저해제이며, 오토텍신은 특발성 폐섬유증을 포함한 여러 섬유화질환에 관여한다고 알려진 타깃이다. 오토택신은 혈중 리소포스파티딜콜린(LPC)을 리소포스파티드산(LPA)으로 전환시키는 세포밖 효소이며, LPA는 세포내 수용체와 결합해 경화증
신라젠(SillaJen)은 13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TTK/PLK1 저해제 ‘BAL0891’의 국내 진행성 고형암에 대한 임상1상(NCT05768932)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았다고 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이번 임상은 국내 2개 기관에서 120명의 진행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다. 환자들에게 용량증량 방식으로 BAL0891를 단독 또는 카보플라틴/파클리탁셀과 병용투여해 안전성과 내약성을 평가한다. 용량 탐색은 계획된 최고 용량(dose level)이 안전하고 내약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거나 최대내약용량(Maxi
뷰노(Vuno)는 13일 세브란스 심장혈관병원과 희귀 심장병 중 하나인 트랜스티레틴 아밀로이드 심근병증(Transthyretin Amyloid Cardiomyopathy, ATTR-CM) 환자진단, 관리 솔루션의 개발 및 연구협업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세브란스 심장혈관병원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강석민 세브란스 심장혈관병원 원장과 이예하 뷰노 대표 등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으로 뷰노는 세브란스 심장혈관병원과 심전도(ECG) 딥러닝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ATTR-CM을 심전도 측정만으로 조기에 탐지하는 AI
지노믹트리(Genomictree)는 대장암 보조진단 검사 ‘얼리텍-C’가 한국보건의료연구원(NECA)의 신의료기술평가 유예대상으로 선정됐다고 13일 밝혔다. NECA에 따르면 신의료기술평가 유예제도는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를 받은 의료기기 중 기존기술과 비교한 임상결과가 있거나 사용목적이 특정된 경우 신의료기술평가 절차를 유예할 수 있는 제도다. 신의료기술평가 유예 대상이 되면 건강보험 등재 전 유예기간동안 의료현장에서 먼저 사용이 가능하다. 지노믹트리는 이번 신의료기술평가 유예대상에 선정됨에 따라 얼리텍-C 검사가 기존의 건강검진
샤페론(Shaperon)은 13일 사업개발실장에 오연삼 전무를 영입했다고 밝혔다. 오 전무는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대에서 분자세포학을 전공했으며, 노스웨스턴대 및 컬럼비아대에서 대학원 과정을 마쳤다. 이후 삼성종합기술원, GSK, 한올바이오파마 등에서 사업개발 및 파트너 협상업무를 담당했다. 이후 포스코기술투자에서 국내외 바이오기업에 다양한 투자를 진행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 샤페론은 오 전무의 다양한 경험과 네트워크를 활용해 국내외 제약바이오 기업을 대상으로 기술이전(L/O) 및 공동 연구개발을 적극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HLB테라퓨틱스(HLB Therapeutics)는 13일 미국 자회사 리젠트리(ReGenTree)를 통해 신경영양성각막염(NK) 치료제 후보물질 ‘RGN-259’의 미국 임상3상 환자투여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HLB테라퓨틱스는 임상개발 기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RGN-259의 두번째 임상3상(SEER-2)과 세번째 임상3상(SEER-3)를 각각 미국과 유럽에서 동시에 진행하고 있으며, 환자투여가 시작된 임상은 미국에서 진행되는 임상3상이다. RGN-259의 성분은 티모신베타4(Tβ4)로 세포이동을 촉진하고 항염, 상처치료 등에 관련
암진단 개발 바이오텍 엑소퍼트(Exopert)가 혈액 내 엑소좀(exosome)을 분광학적으로 분석해 위암, 폐암, 췌장암 등 6개 암종을 한번에 진단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결과를 내놨다. 엑소퍼트는 표면증강라만분광법(surface-enhanced Raman spectroscopy, SERS)을 통해 혈액으로부터 분리한 엑소좀의 분자구조 패턴 데이터를 분석했다. 엑소퍼트는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여러 다양한 암종을 동시에 진단할 수 있는 엑소좀 분자구조 패턴을 식별하는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AI 알고리즘 학습
모더나(Moderna)가 북반구 지역에서 진행한 mRNA 4가백신 후보물질 ‘mRNA-1010’ 인플루엔자 A/B 임상3상의 효능 중간분석(efficacy interim analysis)에서 조기종료(declare early success)하기에는 사례가 부족(not enough cases)한 결과를 내놨다. 모더나에 따르면 독립적인 데이터안전성모니터링위원회(DSMB)는 효능 중간분석에서 임상을 조기종료하기에 통계적 임계치에 도달하지 않아(did not meet the statistical threshold), 다음 분석까지 추적
에이비엘, 'B7-H4x4-1BB' 키트루다 병용 "전임상 공개"
버텍스, ‘AAV 유전자치료제’ 프로그램 “전면 중단”
대웅제약, 면역항암 ‘ARG 저해제’ 전임상 “첫 공개”
HK이노엔, 'cAMP 편향 GLP-1' 비만 "국내3상 IND 승인"
4월 비상장 바이오투자, '3월이어 또 1곳'..290억 "TPD"
암젠, '보류' 비만 1상 재개..GLP/GIP 3상 "2건 진입"
FDA, 신설 '최고 AI책임자' 첫 임명.."AI 내부사용 확대"
'AI 신약' 리커전, '애매' 2상 판독後 에셋 "절반 정리"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이엔셀, 셀트리온 출신 염건선 이사 영입
삼진제약, BD담당에 이서종 이사 영입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셀트리온, 1분기 매출 8419억 "전년比 14.2% 증가"
JD바이오, ‘HTR2A 저해제’ MASH 2a상 “美 IND 승인”
SK바팜, 1Q 매출 1444억·영업익 257억 "美직판 효과"
뉴로핏, 코스닥 상장예심 '통과'.."파이프라인 확장"
대웅제약, P-CAB ‘펙수클루' DDW서 "구두·포스터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