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로반트(Urovant)가 ‘비베그론(Vibegron)’으로 진행한 과민성 대장증후군(Irritable Bowel Syndrome, IBS) 임상에서 실패했다. 유로반트는 지난 24일(현지시간) 과민성 대장증후군 임상 2a상(NCT03806127)에서 1차 종결점과 2차 종결점을 충족시키지 못한 결과를 발표했다. 임상은 222명의 여성 과민성 대장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12주 동안 진행됐고, 환자들은 랜덤으로 하루 한번씩 75mg의 비베그론 혹은 위약(placebo)을 받았다. 환자들은 설사를 동반한 과민성 대장증후군(IBS-D)
“티움바이오가 국내 뿐만 아니라 글로벌에서도 인정받는 희귀질환 치료제 개발 기업이 되고자 하는 비전을 가지고 있다. 미국 보스턴에 설립된 항체치료제 전문 개발 자회사 이니티움, 혈우병 치료후보물질의 호주 글로벌 임상 등이 이 비전을 이루는 출발점이 될 것이다.” 김훈택 티움바이오 대표는 지난 25일 뉴스1이 주최한 글로벌바이오포럼에서 티움바이오가 보유한 핵심기술 및 이를 기반으로 한 향후 성장 계획에 대해 발표했다. 티움바이오는 자궁내막증(Endometriosis), 특발성 폐섬유증(Idiopathic Pulmonary Fibro
젠맙(Genmab)은 지난 24일(현지시간) 다양한 고형암을 타깃으로 하는 항체-약물 접합체(Antibody-Drug Conjugate, ADC) ‘에나포타맙 베도틴(Enapotamab vedotin)’의 임상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임상 1/2상의 확장된 코호트에서 달라진 용량과 바이오마커를 젠맙의 임상 기준 내에서 최적화시킬 수 없다는 이유에서다. 얀 반 드 빈켈(Jan van de Winkel) 젠맙 CEO는 “암 환자를 위한 혁신적인 항체 치료제 개발을 위해 노력했지만 에나포타맙 베도틴의 확장 코호트 데이터로는 어렵다”며
이뮤노코어(Immunocore)가 개발중인 TCR(T Cell Receptor) 기반 면역항암제 ‘테벤타퍼스프(Tebentafusp)’가 임상3상에서 1차 충족점을 만족했다. 회사는 테벤타퍼스프가 임상에서 생존기간을 연장시킨 첫 TCR 기반 이중결합(Bispecific) 단백질 치료제라는 점을 부각했다. 이뮤노코어는 지난 23일(현지시간) 전이성 포도막 흑색종(Metastatic Uveal Melanoma) 대상 ‘테벤타퍼스프(Tebentafusp)’의 임상3상 중간결과 발표에서 1차 충족점인 전체생존율(Overall Surviv
올리패스(OliPass)가 비마약성 통증치료제의 임상개발에 속도를 내기 위해 소듐 이온채널 병증과 통증(sodium ion channelopathy and pain) 분야의 전문가 3명을 과학자문위원단(SAB)으로 영입했다고 25일 밝혔다. 과학자문위원단은 현재 중등도 내지 삼각한 통증을 가진 골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진통제 SCN9A 안티센스 ‘OLP-1002’를 테스트하는 임상1b상에 대해 자문하게 된다. 올리패스는 현재 OLP-1002의 글로벌 기술이전을 추진하고 있으며, 기술이전 이후에도 SAB은 계속적으로 OLP-1002
미국 머크(MSD)가 염증질환 치료후보물질 ‘CD24Fc’를 개발중인 온코이뮨(Oncoimmune)을 인수했다. 이번 인수로 머크는 온코이뮨이 진행하던 코로나19(COVID-19) 타깃 CD24Fc 기반 치료후보물질 ‘SACCOVID™’의 개발을 이어 나간다. 머크는 현재 릿지백 바이오테라퓨틱스(Ridgeback Biotherapeutics)와도 파트너십을 맺고 코로나19 치료제 후보물질을 개발하고 있다. 머크는 지난 23일(현지시간) 온코이뮨의 발행 주식 전부를 4억2500만달러 규모의 현금으로 인수했다고 밝혔다. 계약 조건에
BMS(Bristol Myers Squibb)가 물리학 기반 약물발굴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가지고 있는 슈뢰딩거(Schrödinger)와 27억달러의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BMS는 인시트로(insitro)와 20억달러 규모의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기반 신약발굴 파트너십을 맺은지 한달도 채 되지 않은 시점에서 또 한번의 약물발굴 파트너십을 맺었다. BMS가 지난 23일(현지시간) 슈뢰딩거와 암, 신경, 면역분야의 치료제 발굴, 개발 및 상업화에 대한 파트너십을 맺었다고 발표했다. 계약에 따라 BMS는 슈뢰딩거에 5
로슈(Roche)가 임상 개발하다 중단한 면역항암제 CSF-1R(Colony Stimulating Factor-1 Receptor) 항체를 다시 개발하겠다고 나선 회사가 등장했다. 셀레론(Celleron)에서 스핀아웃한 시녹스 테라퓨틱스(SynOx Therapeutics)는 지난 19일(현지시간) 건활막 거대세포 종양(Tenosynovial Giant Cell Tumor, TGCT)을 타깃으로 한 에막투주맙의 임상개발을 위해 시리즈A로 4400만달러를 투자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는 헬스캡(HealthCap)과 메디치(Medic
셀랩메드(CellabMed)가 HGF 항체의 임상 1상 데이터를 내놨다. 고형암을 대상으로 진행한 결과로 안전성과 약동학적 특성을 확인했다. 송성원 셀랩메드 대표는 지난 19일 국가항암신약개발사업단이 주최한 NOV-FEBPS Anti-cancer 심포지엄에서 HGF 항체 ‘YYB-101’의 임상 개발 현황에 대해 발표했다. 셀랩메드는 지난해 5월 유영제약에서 스핀오프해 설립됐으며, 송성원 대표는 유영제약 연구소장 출신이다. 셀랩메드가 개발중인 파이프라인은 대장암 치료제 후보물질 ‘YYB-101’과 교모세포종 치료제 후보물질 ‘YY
‘킴리아(Kymriah)’, ‘졸겐스마(Zolgensma)’ 등의 유전자·세포 치료제에 과감히 베팅하고 있는 노바티스가 이번엔 코로나19(COVID-19)를 포함한 심각한 호흡기 질환에서 첫 시판 가능성을 보고 중간엽줄기세포(MSC) 치료제 후보물질을 도입하겠다고 나섰다. MSC는 줄기세포에서 유래한 동종유래(allogeneic) 세포치료제다. 노바티스는 메조블라스트(Mesoblast)가 개발하는 ‘레메스템셀-L(remestemcel-L, Ryoncil)’을 코로나19를 포함한 급성호흡증후군(acute respiratory dis
일라이릴리(Eli Lilly)도 뒤센근위축증(Duchenne Muscular Dystrophy, DMD) 치료제 개발 대열에 뛰어든다. 릴리가 지난 20일(현지시간) 프리시전 바이오사이언스(Precision Biosciences)의 유전자편집(Genome Editing) 플랫폼 ‘ARCUS®’에 대한 독점적인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먼저 뒤센근위축증 타깃 인비보(In Vivo) 유전자치료제 개발에 초점을 맞추며 이후 추가로 2개의 유전자치료제 개발도 진행한다. 단 이후 진행할 2개의 유전자 타깃에 대해서는 공개
화이자(Pfizer)가 중국의 리안바이오(LianBio)와 파트너십을 맺었다. 시스톤(CStone pharmaceuticals)과의 딜에 연이은 중국 바이오텍과의 파트너십 체결로 중국내 의약품 개발 및 상업화 입지를 확보하려는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다. 화이자는 지난 19일(현지시간) 리안바이오와 전략적 협업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두 회사는 임상개발, 허가 및 상업화에 대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환자들에게 최고의 치료제를 제공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Konstantin Poukalov 리안바이오의 회장은 “제약산업
제넥신(Genexine)과 네오이뮨텍(NeoImmuneTech)이 지난 9일에서 14일(현지시간) 열린 미국 면역항암학회(The Society for Immunotherapy of Cancer, SITC)에서 면역항암제로 개발하고 있는 지속형 IL-7 약물 ‘GX-I7(NT-I7, efineptakin alfa)’과 '키트루다(pembrolizumab)' 병용투여 데이터에 대한 포스터 발표를 진행했다. 올해 5월 열린 미국임상종양학회(ASCO)에 전이성 삼중음성유방암(mTNBC) 대상 2차 치료제로 NT-I7과 키트루다 병용투여
CMG제약과 한독이 공동개발하는 pan-TRK 저해제의 비임상 데이터가 공개됐다. CMG제약이 비임상 개발을 진행했으며, 한독이 국내 임상1상을 진행하고 있다. 김진성 CMG제약 연구소장과 현복진 한독 상무는 지난 19일 국가항암신약개발사업단이 주최한 NOV-FEBPS Anti-cancer 심포지엄에서 TRK(Tropomyosin Receptor Kinase) 저해제 ‘NOV1601(CMG2014, CHC2014)’의 개발 현황에 대해 발표했다. 김 연구소장은 NOV1601의 비임상 결과에 대해 발표했으며, 현 상무는 임상 진행
치료 타깃으로 ‘생체분자 응축물(biomolecular condensate)’을 겨냥하는 새로운 접근법을 가진 네레이드 테라퓨틱스(Nereid Therapeutics)가 지난 16일(현지시간) 애플트리파트너스(Apple Tree Partners, ATP)로부터 시리즈A로 5000만달러 규모의 투자 유치를 알리면서 업계에 데뷔했다. 네레이드는 우선 상전이(phase transition)에 영향을 받는 병리 단백질이 병을 일으키거나 영향을 받는 특정 암과 퇴행성뇌질환에 포커스한다. 특히 알츠하이머병과 루게릭병(ALS), 헌팅턴병 등에
콜레스테롤 대사(Metabolism) 조절의 핵심 단백질인 PCSK9 저해제가 PD-1 항체의 항종양 효과를 증가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흥미롭게도 PCSK9 억제제는 지질대사 기전과 별개로 암세포가 발현하는 주조직적합성복합체(MHC) 분해를 막아 면역관문억제제 효능을 높였다. 추안-위안 리(Chuan-Yuan Li) 듀크(Duke) 메디컬센터 연구팀은 지난 11일(현지시간) PCSK9 저해제가 면역관문억제제(Immune Checkpoint Inhibitor)의 항종양 효과를 높인다는 사실과 그 작용기전을 밝힌 연구결과를 네이
동아ST, HK이노엔 공동개발 ‘EGFR TPD’ 개발전략은?
우정바이오, 천병년 회장 별세..대표이사 변경 공시
CMS '가이드라인 초안'에 할로자임·알테오젠 등 "여파"
앱클론, CAR-T '네스페셀' 림프종 "ORR 94% EHA 발표"
알지노믹스, 릴리와 'RNA 편집' 난청치료제 "13억弗 옵션딜"
악투러스, 매출감소 "백신 축소"..mRNA 치료제 "집중"
애브비, 'cMET ADC' 첫 cMET고발현 폐암 "가속승인"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이엔셀, 셀트리온 출신 염건선 이사 영입
삼진제약, BD담당에 이서종 이사 영입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멥스젠, KAIST 연구팀과 망막혈관장벽모델 "연구협약"
대원제약, 1분기 매출 1578억∙영업이익 94억
뷰노, ‘흉부영상 진단보조AI‘ 비급여 청구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