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클레옴(Nucleome therapeutics)은 지난 19일(현지시간) 시리즈A로 3750만파운드(약 4240만달러)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뉴클레옴은 단백질을 암호화하고 있지 않은(non-coding) 유전자 부위인 다크지놈(Dark genome)을 타깃해 인공지능(AI)과 3D 기술을 활용한 신약개발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이번 시리즈투자는 독일 머크(Merck KGaA)의 벤처캐피탈 부문인 엠벤처스(M Ventures)가 리드했으며 JJDC(Johnson and Johnson Innovation), 화이자벤처스(Pfize
존슨앤존슨(J&J)이 향후 시장에 출시되면 각각 50억달러 이상의 매출을 올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 주요 5가지 프로그램 목록을 공개했다. 이들 프로그램은 △’리브레반트(Rybrevant, amivantamab)+레이저티닙(lazertinib)’ 병용요법 △’밀벡시안(milvexian)’ △’니포칼리맙(nipocalimab)’ △타리스(Taris) 플랫폼 △’카빅티(Carvykti, cilta-cel)’ 등 5가지이다. 그중에서도 국내 유한양행으로부터 라이선스인(L/I) 한 레이저티닙이 포함돼 눈에 띈다. J&J는 지난 18일(현
애브비(Abbvie)가 항체 개발회사 DJS안티바디(DJS antibodies)를 2억2500만달러에 인수한다. 애브비는 이번 인수를 통해 DJS의 GPCR(G protein-coupled receptor) 타깃 항체개발 플랫폼 ‘HEPTAD 플랫폼’을 획득하게 됐다. 또한 애브비는 DJS의 섬유증 분야 GPCR 타깃 항체도 보유하게 됐으며, 향후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로 개발할 계획이다. 애브비는 지난 8월에도 일본 소세이 헵타레스(Sosei Heptares)와 신경질환 분야 GPCR 타깃 저분자화합물 발굴을 위해 12억8000만달
업테라(UPPTHERA)는 소세포폐암(SCLC)을 주요 적응증으로 개발하고 있는 PLK1 분해약물(degrader)의 비임상 후보물질이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의 신규 비임상 지원과제로 선정됐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과제선정을 통해 업테라는 PLK1 분해약물 후보물질의 비임상 연구와 임상시험계획서(IND) 승인을 위한 연구비를 지원받게 된다. 업테라는 현재 PLK1 분해약물 후보물질의 CMC, 임상개발을 위한 연구(IND-enabling study)를 진행하고 있다. 내년말 임상1상에 진입하는 것이 목표이다. 소세포폐암은 전
앰브릭스 바이오파마(Ambrx Biopharma)가 차세대 HER2 약물개발접합체(ADC) ‘ARX788’ 개발을 중단하기로 결정하면서, 시장에 공개적으로 에셋을 내놓았다. 앰브릭스는 자체 개발을 중단하는 이유에 대해, 지난해부터 HER2 전이성 유방암 개발경쟁에서 나타난 큰 변화에 따른 결정이라고 설명했다. ARX788은 초기 임상1상에서 HER2 유방암을 포함한 고형암 환자에게서 전체반응률(ORR) 67~74%라는 긍정적인 결과를 낸 에셋이다. 지난해만해도 앰브릭스는 ARX788을 유망한 리드에셋으로 HER2 유방암, 위암 등
존슨앤존슨(Johnson & Johnson)이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 및 골수형성이상증후군(MDS) 타깃 DHODH(Dihydroorotate dehydrogenase) 저해제 ‘JNJ-6665’의 개발을 중단한다. J&J 은 지난 18일(현지시간) 올해 3분기 실적발표에서 개발중인 파이프라인을 업데이트하며 혈액암 치료제로 임상1상 단계에서 개발중이었던 JNJ-6665를 파이프라인에서 삭제했다. J&J는 전략적인 이유로 JNJ-6665를 개발 우선순위에서 제외했다(de-prioritized)고 설명했다. 경구용 DHODH 저
재즈 파마슈티컬즈(Jazz Pharmaceuticals)가 자임웍스(Zymeworks)로부터 HER2 이중항체 ‘자니다타맙(Zanidatamab)’을 17억6250만달러에 라이선스인(L/I)했다. 재즈는 이번 인수로 항암제 파이프라인에 첫 항체 에셋을 추가했다. 자니다타맙은 담도암(biliary tract cancer) 임상2상(NCT04466891)을 진행하고 있으며, 올해말 탑라인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재즈는 항암제 약물로 ‘젭젤카(Zepzelca)’, ‘데피텔리오(Defitelio)’, ‘빅세오스(Vyxeos)’ 등을 시
길리어드 사이언스(Gilead Sciences)가 차세대 CD3 기술이 적용된 CD123 이중항체의 옵션을 사들이면서, 혈액암에서 CD123 신약개발에 모험을 걸어보고 있다. CD123은 최근 10년간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혈액암 치료표적으로 높은 관심을 받고 있지만, 동시에 임상개발 과정에서 부작용 이슈가 끊이지 않고 있는 타깃이기도 하다. 길리어드가 선택한 회사는 마크로제닉스(MacroGenics)로 지난 17일(현지시간) 임상1상을 진행중인 CD123xCD3 이중항체 ‘MGD024’의 라이선스옵션을 사들였다고 밝혔다.
프롤린 수산화효소 저해제(Prolyl Hydroxylase Inhibitor, PHI)로 저산소증 유도인자 1α(Hypoxia-Inducible Factor 1α, HIF1α)의 분해를 억제하면 γ글로빈 합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새로운 연구결과가 나왔다. γ글로빈 합성 증가로 HbF 형성을 유도해 겸상적혈구증(sickle cell disease, SCD)과 베타지중해성빈혈(beta-thalassemia)에 대한 치료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다. 미국 세인트주드 아동연구병원(St. Jude Children’s Research Hosp
일라이릴리(Eli Lilly)가 아쿠오스(Akouos)를 4억8700만달러에 인수하며 임상 1상 단계의 ‘AK-OTOF’ 등 AAV 유전자치료제 에셋을 파이프라인에 추가했다. 조건부가격청구권(contingent value right, CVR) 달성에 따른 비용 1억2500만달러를 합치면 총 6억1200만달러 규모다. 이는 릴리가 지난 2020년 신경과학 분야의 AAV 유전자치료제 개발사 프리베일 테라퓨틱스(Prevail Therapeutics)를 최대 10억4000만달러로 인수한 이후 두번째 M&A 딜로 서서히 유전자치료제 분야로
LG화학(LG Chem)이 항암제 제품을 가진 나스닥 상장사를 5억6600만달러에 인수하기로 결정하면서, 그동안 움츠려 들어있던 국내 제약·바이오 시장에 신선한 충격을 던졌다. 시장침체, 투자절벽의 분위기속에서 냉기만 흐르던 업계에 국내 대기업이 바이오제약 분야에 과감한 베팅에 나섰다는 점에서 지금까지와는 다른 변화의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LG화학이 인수에 나선 아베오 온콜로지(AVEO Oncology; 아베오 파마슈티컬)는 지난해 미국에서 신장암 항암제 제품 ‘포티브다(FOTIVDA®, tivozanib)’를 출시한 회사다.
바이오젠(Biogen)이 SOD1(superoxide dismutase 1) 돌연변이로 인한 루게릭병(ALS)을 적응증으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심사를 받고있는 SOD1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ASO) 약물 ‘토퍼센(tofersen)’의 승인여부 결정 기한이 연기됐다. 바이오젠은 지난 17일(현지시간) FDA가 토퍼센의 신약허가신청(NDA)에 대한 검토기간을 3개월 연장했다고 밝혔다. FDA는 지난 7월 SOD1 ALS를 적응증으로 가속승인(accelerated approval) 절차하에 제출한 토퍼센의 NDA를 승
GC녹십자가 ‘헌터라제(Hunterase, idursulfase-beta)’의 뇌실내투여(ICV) 제제에 대한 일본 시판허가 과정을 통해 얻은 4가지 배울점에 대해 발표했다. 헌터라제는 GC녹십자가 개발한 헌터증후군(Hunter syndrome) 치료제로, 국내에서는 지난 2012년 정맥투여(IV) 용법으로 승인받아 판매중인 약물이다. 하지만 IV 투여방식의 헌터라제는 중중의 헌터증후군에서 나타나는 중추신경계(CNS) 증상을 개선시키는데 한계가 있으며 GC녹십자는 헌터라제를 뇌실내로 직접 주입하는 ICV 제제로의 개발도 진행했다.
STING(STiulator of Interferon Genes) 작용제와 IL-35 항체 병용요법(dual therapy)이 항암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는 새로운 연구결과가 나왔다. 노스캐롤라이나대(University of North Carolina, UNC) 라인버거 통합암센터(Lineberger Comprehensive Cancer Center) 연구팀은 지난 7일(현지시간) STING 작용제로 인한 면역억제 기전과, 마우스 모델에서 STING 작용제와 IL-35 항체를 병용으로 사용했을때 STING 작용제의 효능을 향상시
NGM 바이오파마슈티컬(NGM Biopharmaceutical)이 지도모양위축증(geographic atrophy, GA)의 병변면적(GA lesion area)을 유의미하게 개선하지 못하며 C3 항체 ‘NGM621’의 임상2상에 실패했다. 이 소식이 알려진 후 NGM의 주가는 전날보다 70.48% 급락한 3.41달러로 마감했다. NGM은 연이은 임상 실패로 어려움이 더해지고 있는 모습이다. NGM은 지난해 FGF19 유사체(analog) ‘알다페르민(aldafermin, NGM282)’이 NASH 임상 2상에서 간섬유화를 개선하
올해를 기점으로 국내 P-CAB 개발경쟁이 시작되면서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선두주자인 HK이노엔(HK inno.N)이 P-CAB 신약의 적응증 확대 전략을 공개했다. HK이노엔은 2019년 위식도역류질환(GERD) 치료제로 ‘케이캡(K-CAB, 성분명: 테고프라잔)’을 첫 출시하면서 국내 P-CAB 시장을 열었으며, 3년반만에 위식도역류질환을 포함한 위궤양, 헬리코박터제균(H. pylori eradication) 등 5가지 적응증으로 처방 범위를 넓혔다. 현재 3가지 적응증에서 건강보험적용을 받는다. 이에 따라 지난해
HLB제약, 중앙연구소장에 강성권 박사 선임
리가켐, 'HER2 ADC' 美1상 "첫 공개..엔허투 불응서 PR"
올릭스, 고한석 사업전략 이사 영입
BMS "84억弗 L/I", 'EGFRxHER3 ADC' 中3상 "첫 히트"
알테오젠, 이영필 최고제품책임자(CPO) 영입
쥬가이, 싱가포르 게로와 노화 타깃 항체 "2.5억弗 딜"
차백신연구소, '재조합 대상포진 백신' 1상 CSR 수령
진큐어, 'MMP9 활성 저해제' 후보물질 "KDDF 과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CJ바이오사이언스, 윤상배 대표 내정.."천종식 고문"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코어라인, ‘심혈관 AI SW’ 과기부 “혁신제품 지정”
신라젠, 'TTK/PLK1 저해제' 위암 오가노이드 연구 "발표"
멥스젠, 인하대 연구팀과 '태반모델' 공동개발 협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