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일약품은 최근 경기도 용인시 백암공장에서 생산한 항생제 ‘세프포독심’ 원료의약품이 유럽의약품품질위원회(EDQMA) 승인을 획득했다고 11일 밝혔다. 제일약품은 지난 2015년 4월부터 유효균종에 의한 특정 감염질환에 사용되는 세팔로스포린계 항생제인 ‘세프포독심’의 유럽약전규격합치 인증서(CEP) 취득을 진행했고 최근 최종승인 통보를 받았다. 제일약품은 2012년 EU GMP수준에 부합하는 ‘세팔로스포린’ 전용 제조시설을 신축, ‘세팔로스포린’ 원료의약품의 유럽진출을 준비해왔다. 회사 관계자는 "이번 승인을 시작으로 유럽시장
동아쏘시오홀딩스는 정부의 블라인드 채용 정책에 발맞춰 제약업계 최초로 블라인드 채용 방식을 도입한다. 58년 동안 고수했던 한자 자필 기재 입사지원서도 한글 기재 형식으로 변경된다. 동아쏘시오그룹은 동아쏘시오홀딩스를 비롯한 동아에스티, 동아제약 등 주요 사업회사들은 블라인드 채용 방식으로 하반기 인턴 40여명을 채용한다고 11일 밝혔다. 연구∙개발 등 전문직을 제외한 전 부문에 걸쳐 내년까지 순차적으로 200여명으로 확대 운영할 계획이다. 채용된 인턴들은 약 4개월간 근무하게 된다. 직무능력과 근무성적 등 공정한 평가를 통해
국내 유전체 분석기업인 이원다이애그노믹스(EDGC)가 인천대학교와 손잡고 '인천 인공지능 유전자 프로젝트(Incheon Artificial Intelligence Genome Project – IAIGP)를 시작한다. 인천대학교는 김성호 미국 UC 버클리 명예교수를 융합과학기술원장으로 이민섭 EDGC 대표이사를 교수로 영입해 IAIGP를 공식 론칭한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최근 급격한 속도로 팽창하는 유전체 빅데이터를 컴퓨터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활용해 다양한 복합 질병 (Complex Disease) 예측과 원인을 밝
광동제약은 지난 6일부터 이틀 동안 ‘혁신 2017! 새로운 광동! 정도경영과 핵심가치 확립’을 주제로 2017년 하반기 워크숍을 실시했다고 10일 밝혔다. 경기도 성남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과 서울 서초aT센터에서 열린 행사에서 광동제약 임직원은 상반기 실적을 공유하고, 각 사업부별 하반기 계획을 점검해 올해 목표달성의 의지를 다지는 시간을 가졌다. 행사는 영업부서와 일반부서로 나눠 실시됐으며 서울 본사를 비롯해 전국의 지점, 공장 등에서 모인 임직원 700여명이 참석했다. 최성원 대표이사는 인사말을 통해 “국가 리더십
"이 회사가 실패한다면 '더는 한국에서는 살 수 없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더군요." 최근 만난 한 바이오텍 대표가 겪은 '연대보증제' 이야기다. 공동창업자들이 떠나고 맡게 된 대표자리에는 50억원의 연대보증이 먼저 꽈리를 틀고 있었다. 그는 "평균 2.8회 재도전하는 미국 실리콘밸리 창업자들과 달리 우리나라가 1.2회에 불과한 것은 연대보증제 때문"이라면서 "다행히 무사히 엑싯(Exit) 할 수 있었지만 지금 생각해도 아찔한 순간이었다"고 소개했다. 새롭게 출범한 문재인 정부가 연대보증제 폐지를 핵심 공약으로 내세우면서 그 실현
삼양바이오팜은 7일 의약바이오, 식품 연구소인 삼양디스커버리센터 준공을 기념해 ‘항암치료의 새로운 동향’을 주제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먼저 김용만 서울아산병원 교수가 삼양바이오팜의 ‘제넥솔® PM주’의 임상 결과를 발표했다. 제넥솔PM주는 파클리탁셀 성분의 항암제인 ‘제넥솔®주’에 삼양의 약물전달 특허인 폴리메릭마이셀(PM)기술을 결합시켜 고용량 투여시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확보한 항암제다. 삼양바이오팜은 제넥솔 PM주의 적응증을 기존의 유방암, 폐암, 난소암 외 다양한 암종으로 확대하기 위해 서울아산병원을 비
피부질환 전문 글로벌 기업 레오파마(LEO Pharma)의 한국법인인 레오파마 유한회사는 지난 3일자로 김지현 신임 사장을 임명했다고 7일 밝혔다. 김 사장은 최근까지 길리어드 사이언스 코리아(Gilead Sciences Korea)에서 HBV/HCV사업부 총괄책임자를 역임했다. 지난 20년동안 아스트라제네카 코리아 등 제약 산업 및 소비재 분야에서 마케팅 및 영업 등의 폭넓은 경험을 가지고 있다. 회사측은 "김지현 사장이 회사의 지속적인 성장을 이끌 적임자라 임명했다"고 밝혔다. 한편 김지현 신임 사장은 서강대 신문방송학과를 졸업
바이오씨앤디가 7일 강릉 과학산업단지 내 보툴리눔 톡신 전용 공장을 준공했다. 지난해 9월 착공한 강릉 공장은 대지면적 1만 561.4㎡, 연면적 6112.28㎡ , 지상 3 층 규모의 보툴리눔 톡신 전용 공장으로 연간 200만 바이알(vial) 규모의 생산능력을 확보했다. 바이오씨앤디는 공장 완공 이후 수출용 허가를 진행해 2018년부터 보툴리눔 톡신 수출을 시작할 계획이고 이와 동시에 임상시험에 착수할 예정이다. 회사 관계자는 "유인원을 이용한 동물실험 결과와 최첨단 GMP 제조시설을 기반으로 2018 년부터 의미 있는 매출
셀트리온의 항체 바이오시밀러 ‘램시마’가 국내 의약품 시장의 성장세를 주도한다는 의미있는 지표가 나왔다. 램시마의 원료의약품인 램시마원액은 원료의약품과 완제의약품을 통틀어 단일 제품 생산실적에서 압도적인 1위를 기록했다. 국내 원료의약품 생산실적 중 17%를 램시마 1개 품목이 차지할 정도로 존재감을 과시했으며 국내 바이오의약품의 무역수지 개선도 이끌었다. 6일 식품의약품안전처의 2016년 의약품 생산실적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의약품 생산실적은 18조8061억원으로 전년대비 10.8% 증가했다. 원료의약품 생산실적은 2015년 2
20대 젊은이를 중심으로 임상시험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확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시험 경험자 보다는 비경험자가, 환자 보다는 일반인의 부정적 인식이 컸다. 한국임상시험산업본부는 6일 일반인 1000명과 환자 및 보호자 3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임상시험 인식도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의료발전과 새로운 치료법 개발의 필수 과정인 임상시험에 대한 일반 국민의 인식 수준을 파악하고, 향후 인식도 개선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임상시험에 대해서는 일반인(82.7%)보다 환자 및 보호자(94.0%)에서 ‘들어 본
지난해 국내에서 생산된 완제의약품 중 국내개발 신약이 차지하는 비중이 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총 26건의 신약을 배출하면서 점차적으로 연구개발(R&D) 성과를 내고 있지만 아직 상업적 성공과는 거리가 멀다는 지적이다. 국산신약 26개 중 6개는 생산실적이 전무했다. 6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의약품 생산실적은 18조8061억원으로 전년대비 10.8% 증가했다. 원료의약품 생산실적은 2015년 2조1136억원에서 지난해 2조4932억원으로 18.0% 늘었고 완제의약품 생산실적은 14조8569억원에서 16조
실시간 박테리아 검출센서를 개발하는 '더웨이브톡(THE WAVE TALK)'이 국내 처음 치러진 스타트업 대회 '헬로 투모로우 코리아 & 글로벌 스타트업 챌린지(Hello Tomorrow Korea and Global Startup Challenge)'에서 'Top 3'에 선정됐다. 더웨이브톡은 지난 3~4일 서울 광진구 워커힐 호텔에서 열린 행사에서 수상해 글로벌 스타트업 대회인 '헬로 투모로우 글로벌 서밋(Hello Tomorrow Global Summit)' 진출권을 확보했다. 프랑스 파리에 본부를 둔 스타트업 육성 기관
유한양행은 길리어드의 C형간염치료제 '소발디'와 '하보니'의 국내 독점 판매를 담당한다고 지난 5일 공시했다. 소발디(성분명 소포스부비르)는 1일 1회 식사유무와 관계없이 정량(400mg) 경구 복용하는 만성 C형간염 치료제다. 2015년 9월 10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다른 약물과 병용해 성인의 유전자형 1, 2, 3, 4형 만성 C형간염의 치료제로 승인받았다. 하보니(성분명 레디파스비르, 소포스부비르)는 1일 1회 식사유무와 관계없이 1정을 정량(레디파스비르 90mg, 소포스부비르 400mg) 경구 복용하는 만성 C형
시판 후 조사 건수 부족으로 재심사 여부가 불투명했던 파미셀의 줄기세포치료제 ‘하티셀그램에이엠아이’가 기사회생할 수 있는 기회를 잡았다. 보건당국이 조사 의무 건수를 당초 제시한 600건의 6분의 1 수준인 100건으로 축소해주기로 결정했다. 이미 전문가 자문 회의를 통해 파미셀의 요청을 수용할 수 없다고 결정했음에도 추가 자문 절차를 거치지 않고 기존 입장을 번복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보건당국은 유병률이 낮을 뿐더러 세포치료제의 시판 후 조사 건수를 조정해준 전례가 있다는 이유로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식품
LG화학(옛 LG생명과학)이 개발하고 대웅제약이 공동 판매 중인 당뇨신약 '제미글로'가 가파른 성장세를 기록 중이다. 5일 대웅제약은 제미글로와 제미메트가 지난 5월 62억원(유비스트 집계)의 원외 처방실적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1월 31억원 대비 2배 성장했다. 지난 2012년 국산신약 19호로 허가받은 제미글로는 인슐린 분비 호르몬 분해효소(DPP-4)를 저해하는 작용기전으로 갖는 약이다. 제미메트는 또 다른 당뇨약 ‘메트포민’과 결합한 복합제다. 지난해부터 대웅제약이 제미글로의 영업에 가세하면서 성장세가 가팔라졌
보령제약은 남아공 제약기업 키아라헬스와 4일(현지 시간)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 샌튼 썬 호텔에서 카나브∙카나브플러스 수출 계약 및 위궤양치료제 '베스토' 수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계약식에는 보령제약의 창업주인 김승호 보령제약그룹 회장을 비롯해 최태홍 보령제약 사장이 직접 참여했다. 이번 계약으로 보령제약은 키아라헬스를 통해 카나브∙카나브플러스를 아프리카 10개국 (남아공, 나미비아, 보츠와나, 짐바브웨, 우간다, 탄자니아, 나이지리아, 에티오피아, 르완다, 케냐)에 공급한다. 계약기간은 7년이며, 계약
에이비엘, "이번엔" 릴리에 'BBB 플랫폼' 26억弗 L/O
삼성에피스홀딩스, 바이오 '플랫폼 개발' 자회사 설립
HLB 엘레바, 'FGFR2 저해제' 왜 인수? 확장성은?
올릭스, ‘MyD88 RNAi’ 황반변성 1상 “최종결과 수령”
릴리, 메이라 '초희귀 안구질환' AAV 4.75억弗 L/I
MIT 연구팀, ‘결핵백신’ 100년만에 “新타깃 발견”
릴리, 사네진과 '대사질환 RNAi' 개발 "12억弗 딜"
로슈, '경구 BTK저해제' MS 3상 2건 ‘1차종결점 달성”
루카스, ‘바이러스 세포치료제’ 접근법 “개발 전략은?”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광동제약, 경영총괄 사장에 박상영 부사장 승진
[인사]일동제약 임원 인사
씨어스, 디지털 기반 "글로벌 의료격차 해소" 비전
[기고]『아웃포스트』, 신약개발 최전선을 기록하다
HLB사이언스, HLB와 합병안 주총서 "승인"
루닛, 3Q 누적 매출 567억..“2027년 흑자전환 목표”
젠큐릭스, 3분기 누적매출 54억..전년比 93% 증가
보령, ‘오픈이노베이션 활성화’ 유공자 포상 수상
SK바팜, 서울바이오허브와 오픈이노베이션 운영 M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