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오이뮨텍(NeoImmuneTech)이 반감기를 늘린 IL-7 약물 ‘NT-I7(efineptakin alfa)’와 PD-1 항체 ‘키트루다’를 병용투여한 임상2a상 바이오마커 분석결과 종양내 PD-1+ T세포 침투(infiltration)가 늘어나고, 종양내 면역반응(immunogenicity)이 증가하는 데이터를 공개했다. 해당 임상은 이전 면역항암제를 투여받지 않은(naïve) MSS(microsatellite stability) 대장암, 췌장암, 난소암 등 환자를 대상으로 NT-I7과 키트루다를 병용투여한 NIT-110 시
메드팩토(MedPACTO)는 14일 ‘백토서팁+폴폭스(FOLFOX)’ 병용요법의 췌장암 연구자임상 1b상 중간결과를 미국암연구학회 췌장암 컨퍼런스(AACR Special Conference on Pancreatic Cancer)에서 포스터로 발표했다고 밝혔다. 발표에 따르면 메드팩토는 ‘백토서팁+폴폭스(FOLFOX)’ 병용요법으로 백토서팁 200mg을 1일2회 투여한 환자(13명)의 전체생존기간 중앙값(mOS) 9.3개월의 결과를 확인했다. 전체반응률(ORR) 23.1%, 안정상태(SD) 38.5%로 질병통제율(DCR)은 61.5
뇌질환 영상 인공지능(AI) 솔루션 전문기업 뉴로핏(Neurophet)은 14일 한림대 산학협력단과 디지털헬스케어 분야 AI 연구에 대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뉴로핏은 한림대 산학협력단과 뇌혈관질환 관련 디지털헬스케어 산학 공동연구 및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산학연계 교육과정 개발, 현장실습, 취업연계형 인턴십 등을 진행할 계획이다. 뉴로핏은 AI 기반으로 뇌질환의 진단, 치료가이드, 치료 등에 필요한 뇌 영상 분석솔루션을 연구 개발하는 기업이다. 뇌 영상을 초고속으로 분할하고 사람마다 다른 뇌
보로노이(Voronoi)는 13일 미국 메티스(METiS Therapeutics)에 고형암을 타깃하는 경구용 인산화저해제의 라이선스아웃(L/O)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이번 계약은 계약금·유지보수 및 리서치 마일스톤 170만달러를 포함해 총 4억8220만달러 규모다. 공시에 따르면 보로노이는 메티스로부터 계약금, 유지보수 및 리서치 마일스톤으로 170만달러(한화 24억원)에 더해 개발단계 및 판매 마일스톤(Development/Sales Milestone)으로 4억8050만달러(한화 6656억원)을 받게된다. 로열티는 전체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이 흉부 엑스레이 영상분석 AI 솔루션 '루닛 인사이트 CXR'이 전문의의 폐질환 진단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인다는 연구결과를 내놨다. 이번 연구는 루닛이 지난 2020년 연구 파트너십을 맺은 미국 하버드 의과대 매사추세츠종합병원(MGH)과 공동 진행된 것으로, 루닛은 해당 연구 결과가 국제학술지 JAMA Network Open(IF=13.353)에 최근 게재됐다고 13일 밝혔다(doi: 10.1001/jamanetworkopen.2022.29289). 논문에 따르면 연구팀은 루닛 인사이트 CXR이 영
에임드바이오는 13일 ‘이건희 소아암·희귀질환 극복사업 신규사업과제’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과제선정으로 에임드바이오는 최대 11억2000만원의 연구비를 지원받게 된다. 회사측에 따르면 에임드바이오는 유전체 통합분석과 초고효율 약물 스크리닝을 통한 소아고형암 정밀의학 구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다. 에임드바이오는 과제 주관기관인 서울대병원과 기존에 수행하던 소아암 공동연구를 확장해 전국 규모의 다기관 소아고형암 약물스크리닝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종양보드(Tumor Board)가 소아암 환자들의 개인맞춤 치료법을 위해 수집하는
EDGC(이원다이애그노믹스)는 13일 샘 마틴(Sam Martin) 해외 사업개발 총괄 부사장을 영입했다고 밝혔다. 샘 마틴 부사장은 미국에서 유전학·유전 상담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및 디자인 석사를 전공한 아메리칸협회 인증 유전상담사다. 개인 유전체의학을 전문으로 하는 미국 유전학 회사인 인바이테(Invitae)와 앰브리제네틱스(Ambry Genetics)에서 재직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뉴욕 베스 이스라엘 병원(Beth Israel Hospital)에서 8년간 일하면서 유전상담을 통한 임상경험을 가지고 있다. EDGC는 해외 유
셀트리온이 12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유럽종양학회(ESMO 2022, The European Society for Medical Oncology)에서 아바스틴(Avastin, 베바시주맙) 바이오시밀러 ‘베그젤마(CT-P16)’의 임상3상 후속 결과를 포스터로 발표했다. 셀트리온은 유럽, 남미, 아시아 등에서 전이성 비소세포폐암(NSCLC) 환자 689명을 대상으로 아바스틴 투여군과 베그젤마 투여군으로 나눠 최대 3년 치료에 대한 임상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 학회에서 발표한 데이터는 셀트리온이 마지막 환자 등재로부터 1
스펙트럼(Spectrum Pharmaceuticals)은 한미약품으로부터 라이선스인(L/I) 한 ‘롤론티스(Rolontis, eflapegrastim)’가 지난 9일(현지시간)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시판허가를 받았다고 밝혔다. 롤론티스는 미국내에서 ‘롤베돈(Rolvedon)’이라는 제품명으로 판매될 예정이며, 스펙트럼은 올해 4분기 시판이 시작될 것으로 보고있다. 해당 약물은 골수억제성 항암제를 투여받는 비골수성 악성종양(non-myeloid malignancy) 성인환자의 호중구감소증 치료 혹은 예방을 적응증을 한다. 롤론
희귀난치성질환 신약개발 바이오텍 티움바이오(Tiumbio)는 면역항암제로 개발하는 TGF-ß/VEGFR 저해제 ‘TU2218’의 임상개발이 국가신약개발재단(KDDF)의 ‘혁신신약 임상연구비 과제’로 선정됐다고 9일 밝혔다. 이번 과제선정으로 티움바이오는 TU2218와 미국 머크(MSD)의 ‘키트루다(Keytruda®)’ 병용투여 개발비용 중 약 17억5000억원 규모의 임상 연구비를 2년에 걸쳐 지원받게 된다. TU2218은 면역항암제의 낮은 반응률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는 TGF-β/R1과 VEGF/R2를 동시에 저해하는 저분자
레고켐 바이오사이언스(LegoChem Biosciences)의 HER2 항체-약물접합체(ADC) 첫 임상결과가 공개됐다. 레고켐바이오의 ADC 플랫폼이 적용된 ADC 후보물질의 첫 임상 결과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8일(현지시간) 미국 샌디에고에서 개최되고 있는 ‘World ADC 2022’에서 중국 파트너사 포순제약(Fosun Pharma)이 진행한 HER2 ADC ‘LCB14’의 임상1상 중간결과가 공개됐으며, 임상결과 발표는 LBC14의 글로벌 파트너사인 익수다 테라퓨틱스(Iksuda Therapeutics) 최고과학책임자(C
HLB의 VEGFR2 TKI ‘리보세라닙(rivoceranib)’과 PD-1 병용투여가 간암 1차치료제 세팅으로 중국 항서제약(Hengrui Pharma)이 진행한 글로벌 임상3상에서 1차 종결점인 전체생존기간 중간값(mOS) 22.1개월이라는 결과를 냈다. 기존의 표준치료제인 ‘넥사바(소라페닙)’ 15.2개월 대비 생존기간을 7개월 늘린 결과이다. 리보세라닙과 PD-1 병용투여가 넥사바 대비 환자의 사망위험을 38% 줄인 결과이다(HR=0.62). 수치상으로는 같은 세팅에서 미국내 시판허가를 받은 로슈의 PD-L1 ‘티쎈트릭’과
셀트리온(Celltrion)은 7일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CT-P43’의 판상형 건선 임상3상 12주차 분석결과 오리지널의약품과 1차종결점에서 동등성을 확인한 결과를 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셀트리온은 중등도 내지 중증 판상형 건선(plaque psoriasis) 환자 509명을 대상으로 스텔라라와 CT-P43의 유효성, 안전성 등을 평가하는 임상3상을 진행했다. 셀트리온은 1차종결점을 12주차시점에 기준선 대비 PASI(Psoriasis Area and Severity Index) 평균 백분율 개선을 평가해 CT-P43과 스텔
휴메딕스(Humedix)는 지난 6일 에피바이오텍(Epibiotech)과 탈모치료제 공동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휴메딕스는 이번 협약을 통해 자체 개발중인 탈모치료제 아이템에 에피바이오텍의 탈모치료 기술을 접목해 다양한 유형의 탈모치료 솔루션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에피바이오텍은 탈모치료제 연구개발 기업으로, 탈모치료 관련 플랫폼기술 모유두세포 분리/배양기술, 유도만능줄기세포 제조기술, 오가노이드 기반 모낭세포 분화기술, 유전자편집 기술 등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모유두세포를 활용한 탈모치료제 후보
마이크로바이옴 신약개발 바이오텍 고바이오랩(KoBioLabs)은 궤양성대장염(UC) 치료제 후보물질 ‘KBLP-007(성분: KBL697)’의 임상2상 시험 지역에 국내를 포함하고자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임상시험계획(IND)을 제출했다고 6일 공시했다. 고바이오랩은 국내 임상의들과 논의에 따라 KBLP-007 임상을 한국 지역을 추가해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올해 4월 식약처가 ‘생균치료제 임상시험시 품질 가이드라인’을 새롭게 마련함에 따라,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생균치료제의 국내 임상 진행이 가능해진 제도적 기반을 고려한 결정이다. 앞
큐리언트(Qurient)는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Q702'와 미국 머크(MSD)의 항PD-1 면역항암제 ‘키트루다(펨브롤리주맙)’의 병용요법에 대한 임상1b/2상 시험계획(IND)을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승인받았다고 6일 공시했다. Q702는 경구투여 Axl/Mer/CSF1R를 타깃하는 삼중저해제이다. 큐리언트와 머크는 공동 임상팀을 구성해 임상 계획을 수립했으며, 미국과 한국에서 약 14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10여개 병원에서 임상시험을 진행할 예정이다(NCT05438420). 타깃 적응증은 진행성 식도암, 위암, 간세포암, 자
릴리 “新기준”, ’아밀린 단독‘ 비만 2상서 "20% 감량"
노보노, 항암·MASH 초기에셋 "중단"..주력분야 '베팅'
화이자 勝, "치열했던 7일" 멧세라 100억弗 인수
리가켐, 'World ADC Awards' 2개부문 동시 수상
일동제약, 디앤디파마텍 5만3023주 전량 "매각 결정"
티움, ‘ALK5/VEGFR2’ 두경부암 2a상 “ORR 70.6%”
루닛 "AI 확장", SITC서 "항체신약 타깃발굴" 연구 발표
루카스, ‘바이러스 세포치료제’ 접근법 “개발 전략은?”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인사]삼양그룹, 정기 임원인사 및 조직개편
일동생활건강, 박하영 신임 대표 선임
씨어스, 디지털 기반 "글로벌 의료격차 해소" 비전
[기고]『아웃포스트』, 신약개발 최전선을 기록하다
동국생명과학, 조영제 '메디레이' 우크라이나 수출계약
유한, J&J와 '리브리반트+렉라자' 국내 공동판촉 계약
신라젠, 'TTK/PLK1 저해제' 전임상 "SITC 발표"
큐로셀, 서울대서 '고형암 CAR-T' 기술독점권 사들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