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BridgeBio Therapeutics)는 미국 올랜도에서 열린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3)에서 4세대 비소세포폐암(NSCLC) 치료제 후보물질 ‘BBT-207’의 전임상 연구결과 포스터를 발표했다고 20일 밝혔다. BBT-207은 비소세포폐암 환자에게서 3세대 EGFR 저해제 치료 이후 내성으로 나타나는 C797S 양성 이중 돌연변이 등 다양한 돌연변이 사례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개발되고 있다. 브릿지바이오는 지난 2021년부터 BBT-207을 개발해오고 있다. 이번 발표에서 브릿지바이오는 C79
GSK가 캐나다의 만성기침 및 과민반응 관련 질환 신약개발 회사 벨루스헬스(BELLUS Health)를 인수하며 현재까지 시판된 치료제가 없는 만성기침 시장에 도전한다. GSK는 지난 18일(현지시간) 벨루스헬스를 주당 14.75달러, 총 20억달러(16억유로)에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전날 종가 대비 103%의 프리미엄을 얹은 가격이다. 인수거래는 올해 3분기에 완료될 예정이다. GSK는 이번 인수로 벨루스헬스가 난치성 만성기침(refractory chronic cough, RCC) 치료제로 개발중인 P2X3
에이프릴바이오(April Bio)는 19일 이사회를 열고 운영자금 조달을 위해 15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CB) 발행을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이번 CB는 하이바이오헬스케어 신기술조합, 이현자산운용, 레이크자산운용 등을 대상으로 발행되며, 사모발행으로 1년간 전환권 행사가 금지된다. CB의 청약일과 납입일은 오는 21일이며, 만기는 2028년 4월21일이다. 표면이자율은 0%, 만기이자율은 2%이다. CB의 보통주 전환가액은 주당 2만5655원, 전환가액 조정에 따른 최저 조정가액은 1만7959원이다. 전환청구기간은 2024년
웰트(Welt)는 19일 불면증 디지털치료기기(DTx) ‘WELT-I’가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승인받았다고 발표했다. 디지털치료기기는 의학적 장애나 질병을 예방·관리·치료하기 위해 환자에게 근거 기반의 치료적 개입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의료기기를 의미한다. 발표에 따르면 WELT-I는 의학적으로 입증된 인지행동치료를 환자의 수면패턴에 맞춰 개인맞춤형으로 제공하게 된다. 인지행동치료는 현재 임상진료 지침에서 1차치료로 권고되는 치료법이다. 웰트가 불면증 환자 12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임상시험 결과, WELT-I는 수면 효율을
젠큐릭스는 19일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3)에서 대장암 수술 후 미세잔존암(Minimal Residual Disease, MRD) 검출을 통해 대장암 재발을 예측한 연구결과를 포스터로 발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젠큐릭스의 대장암 조기진단 검사 ‘콜로이디엑스(COLO eDX)’를 대장암 재발 모니터링으로 사용목적을 확대한 연구결과로, 김진수 보라매병원 교수팀과 공동으로 진행했다. 연구팀은 2017~2018년 수술적 절제를 받은 대장암 환자에게서 얻은 혈액샘플로 콜로이디엑스를 이용해 연구를 수행했다. 혈액샘플은 대장암 2
아피메드(Affimed)가 항암치료 전력이 많은(heavily pre-treated) CD30 양성 말초T세포림프종(PTCL) 환자를 대상으로 NK세포 인게이저(engager) ‘AFM13’ 단독요법을 평가하는 임상2상에서 ORR 32.8%의 결과를 내놨다. 아피메드는 이번 임상결과를 바탕으로 AFM13이 제한적인 치료옵션을 가진 PTCL에 새로운 치료옵션이 되어줄 것이라 기대했다. AFM13은 CD30xCD16A 이중항체로, 선천성 면역세포인 NK세포 혹은 대식세포(macrophage) 표면에 존재하는 CD16A와 암세포에서 발
로슈(Roche)가 고위험 간암(HCC) 환자 대상 수술후요법(adjuvant)으로 PD-L1 항체 ‘티쎈트릭(Tecentriq, atezolizumab)’과 VEGF 항체 ‘아바스틴(Abvastin, bevcacizumab)’의 병용요법을 평가한 임상3상에서 사망위험(hazard ratio, HR)을 28% 개선시킨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임상은 고위험 간암 환자의 수술후요법에서 무재발생존기간(recurrence-free survival, RFS)을 개선시킨 첫 임상이라고 로슈는 의미를 부여했다. 고위험 간암 환자의 경우 대부분
네덜란드 아젠엑스(Argenx)와 덴마크 젠맙(Genmab)이 면역질환(immunology)과 암질환(Oncology)에 대한 신규 항체치료제를 공동개발하는 파트너십을 맺었다. 이번 계약에 따라 양사는 공동연구를 통해 면역질환과 암질환에서 미충족의료수요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신규 항체 발굴 및 개발을 위해 각각의 회사가 보유한 항체기술 플랫폼과 항체치료제 에셋을 이용할 수 있다. 젠맙과 아젠엑스는 협력을 통해 개발한 항체 후보물질의 발굴, 개발 및 상업화를 공동으로 진행하며 개발비용과 상업화 이후 매출을 동등하게 분담한다. 두
제노팜(Genopharm)이 인터페론베타(IFN-β) 사이토카인 기반 면역항암제인 ‘GNP101’의 전임상 결과를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3)에서 발표했다. 제노팜의 GNP101은 HER2 항체인 ‘트라스투주맙(제품명 : 허셉틴)’에 IFN-β를 링커로 연결시킨 약물이다. 이 모달리티를 통해 HER2를 발현하는 암종을 선택적으로 공격함으로써 사이토카인의 전신독성 위험을 낮추는 전략이다. 제노팜은 현재 미충족의료수요가 있는 ‘엔허투(Enhertu)’ 저항성 암과 HER2 저발현(HER2-low) 암 등 2가지 적응증에 포커싱해
TORL 바이오테라퓨틱스(TORL BioTherapeutics LLC)가 지난 13일(현지시간) 시리즈B로 1억5800만달러의 투자금을 받았다고 발표하며 공식적인 출범(public launch)을 알렸다. 이번 시리즈B 투자는 골드만삭스자산운용(Goldman Sachs Asset Management)이 리드했으며, 신규 투자자로 BMS, UC(UC Investments), 버텍스(Vertex Ventures HC), 딥트랙캐피탈(Deep Track Capital), 무어스트래티직벤처스(Moore Strategic Ventures)
미국 머크(MSD)가 PD-1 항체 ‘키트루다(Keytruda, pembrolizumab)’의 담도암(BTC) 임상3상 세부결과를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3)에서 공개했다. 올해초 해당 임상의 1차종결점인 전체생존기간(OS)을 유의미하게 개선했다고 밝힌 이후 구체적인 데이터는 이번에 첫 공개한 것이다. 효능 평가결과, 1차치료제 세팅에서 키트루다와 화학항암제를 병용투여했을 때 화학항암제 단독투여 대비 mOS(중앙값)에서 1.8개월의 차이를 나타냈다. 사망위험은 키트루다+화학항암제 병용투여군이 대조군 대비 17% 감소한 것을
얀센(Janssen)이 미국 파이프라인 테라퓨틱스(Pipeline Therapeutics)로부터 신경계질환(nervous system disorders)을 대상으로 개발중인 M1 무스카린 수용체(muscarinic M1 receptor, M1R) 길항제(antagonist) ‘PIPE-307’의 글로벌 권리를 10억5000만달러 규모로 사들였다. PIPE-307은 임상1상을 완료하고 재발-완화형 다발성경화증(relapsing-remitting multiple sclerosis, RRMS)에 대한 임상2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승
오스코텍(Oscotec)이 지난해 3월 카나프테라퓨틱스로부터 라이선스인(L/I)한 EP2/4 이중저해제 ‘OCT-598’의 연구결과를 17일(현지시간) 미국 올랜도에서 열린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3)에서 공개했다. 오스코텍은 지난 1년동안 조병철 연세대 교수팀, 카나프와 공동연구를 통해 기전과 중개연구(translational research)를 진행해왔다. 오스코텍은 현재 OCT-598의 공정개발과 시험생산에 착수했으며, 오는 3분기내 GLP 독성을 비롯한 전임상(IND enabling study)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
이뮨온시아(ImmuneOncia)는 17일(현지시간) 미국 올랜도에서 열린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3)에서 PD-L1 항체 ‘IMC-001’의 상부위장관암에 대한 수술전요법(neoadjuvant) 연구자주도 임상2상 결과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자주도 임상2상은 박숙련 서울아산병원 교수가 진행했으며, 절제 가능한 위암, 식도암, 간암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전에 IMC-001을 2주간격으로 2회 투여했다. 지난 2019년 9월부터 2022년 11월까지 총 50명의 환자가 등록돼 약물을 투여받았다. 모든 암은 현미부수체안
아이엠바이오로직스(IMBiologics)는 17일(현지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올랜도에서 열리고 있는 미국 암연구학회(AACR 2023)에서 차세대 IgM 플랫폼 기술 ‘ePENDY(engineered and enhanced PENtamer boDY)’의 연구결과에 대한 포스터를 발표했다고 18일 밝혔다. 아이엠바이오로직스는 IgM 항체가 가진 특성을 기반으로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다. 두 개의 팔을 갖는 IgG와 달리 IgM은 구조적으로 다중결합기를 갖고 있으며, J-chain을 포한한 10개 결합기(pentamer 또는 J-cha
노벨파마(Novel Pharma)가 18일 채종희 서울대병원 임상유전체의학과 교수를 과학자문위원회(SAB) 위원으로 영입했다고 밝혔다. 채 교수는 서울대병원 희귀질환센터장 겸 희귀질환 권역별 거점센터사업 중앙지원센터장으로, 앞서 서울대병원 의생명연구원 바이오마커 센터장, 대한아동신경학회 과학위원회 위원장을 지내기도 했다. 채 교수는 노벨파마의 SAB 위원을 역임하며 임상 디자인, 프로토콜 설계 자문 등의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노벨파마는 지난 2020년부터 GC녹십자와 산필리포증후군 A형 치료제 ‘MPSIIIA’를 공동개발 중이
에이비엘, 'B7-H4x4-1BB' 키트루다 병용 "전임상 공개"
버텍스, ‘AAV 유전자치료제’ 프로그램 “전면 중단”
대웅제약, 면역항암 ‘ARG 저해제’ 전임상 “첫 공개”
HK이노엔, 'cAMP 편향 GLP-1' 비만 "국내3상 IND 승인"
4월 비상장 바이오투자, '3월이어 또 1곳'..290억 "TPD"
암젠, '보류' 비만 1상 재개..GLP/GIP 3상 "2건 진입"
FDA, 신설 '최고 AI책임자' 첫 임명.."AI 내부사용 확대"
'AI 신약' 리커전, '애매' 2상 판독後 에셋 "절반 정리"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이엔셀, 셀트리온 출신 염건선 이사 영입
삼진제약, BD담당에 이서종 이사 영입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셀트리온, 1분기 매출 8419억 "전년比 14.2% 증가"
JD바이오, ‘HTR2A 저해제’ MASH 2a상 “美 IND 승인”
SK바팜, 1Q 매출 1444억·영업익 257억 "美직판 효과"
뉴로핏, 코스닥 상장예심 '통과'.."파이프라인 확장"
대웅제약, P-CAB ‘펙수클루' DDW서 "구두·포스터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