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웅제약(Daewoong Pharmaceuticals)이 국내 유도만능줄기세포 연구기업 입셀(YiPSCELL)과 ‘인공적혈구’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개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고 15일 밝혔다. 인공적혈구란 혈액 내 적혈구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는 물질이다. 최근 코로나19와 같은 다양한 감염질환의 발생, 저출산∙고령화사회 진입 등에 따라 혈액수급 불균형이 커지고 있다. 이에 수혈에만 의존되는 기존 혈액 공급시스템이 곧 한계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되며, 인공적혈구 및 인공혈소판 등의 개발을 통해 국가차원의 안정적인 혈액 공급 대안
디지털 헬스케어 에버엑스(EverEx)가 80억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유치를 완료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시리즈는 프리미어파트너스, 우리벤처파트너스(구 KTB 네트워크), KB증권, 인사이트에퀴티파트너스, 쿼드자산운용, 하나벤처스, 삼성넥스트(Samsung NEXT)가 신규 투자자로 참여했고, 전략적 투자자로 LG전자가 참여했으며, 기존 투자자인 스프링 캠프와 빅무브벤처스로부터 후속투자를 받았다. 에버엑스는 이번 투자금으로 근골격계 재활∙운동치료 솔루션 ‘모라(MORA, Mobile Orthopedic Rehabilitatio
다음달 5일 미국 보스턴에서 바이오 인터내셔널(BIO USA 2023) 개최를 앞두고, 재미한인제약인협회(Korean American Society in Biotech and Pharmaceuticals, KASBP) 봄 심포지엄이 개최될 예정이다. 이번 KASBP 봄 심포지엄은 6월 2~3일(토, 일) 양일에 걸쳐 미국 매사추세츠주 보스턴 근교의 월섬에 위치한 웨스틴 호텔(The Westin Waltham Boston, 70 Third Ave, Waltham MA 02451)에서 열릴 예정이다. KASBP가 주최하고, 유한양행
바이오엔텍(BioNTech)이 마티나스 바이오파마(Matinas Biopharma)와 체결했던 경구용 mRNA 백신개발 파트너십을 약 1년만에 종료했다. 마티나스는 음전하를 띄는 인지질(phospholipids)과 양전하를 띄는 칼슘(calcium) 이온을 활용한 지질 나노크리스탈(lipid nanocrystal, LNC) 기반의 약물전달 플랫폼 기술을 갖고있다. 지질 나노크리스탈은 내부에 저분자 합성물, 단백질, 핵산(siRNA, ASO) 등의 치료제를 삽입할 수 있어, 바이오엔텍은 지난해 4월 경구용 mRNA 백신개발을 위해
셀트리온헬스케어(Celltrion Healthcare)는 올해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5036억원을 기록했다고 12일 공시하면서, 사업 특성상 상대적으로 비수기인 1분기 매출액 5000억원을 첫 돌파했다. 전년동기 대비 21.1% 증가한 수치이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13.3% 증가한 510억원, 당기순이익은 24.1% 증가한 541억원을 기록했다. 당기순이익은 원화약세에 따른 외화환산이익 증가 등의 영향으로 세전이익이 증가한 영향을 받았다. 셀트리온헬스케어는 전제품의 글로벌 처방이 고르게 확대된 가운데 수익성 높
소비(Swedish Orphan Biovitrum AB, SOBI)가 미국 CTI 바이오파마(CTI BioPharma)를 17억달러에 인수하며 희귀 혈액질환 파이프라인을 강화했다. 지난 1991년 설립된 CTI는 지난해 2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경구용 JAK 저해제 ‘본조(Vonjo, pacritinib)’를 골수섬유증(myelofibrosis) 치료제로 가속승인 받았다. CTI의 유일한 승인약물인 본조의 지난해 매출은 5390만달러였으며, 이 중 2110만달러는 지난해 4분기에 발생했다. 스웨덴 소비는 10일(현지시
이뮤노포지(ImmunoForge)는 미국 듀크대(Duke University)와 반감기를 늘리는 ELP(Elastin-Like Polypeptide) 플랫폼 기술와 관련해 연구협력을 확대해나가기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앞서 이뮤노포지는 지난 2월 미국 바이오텍 페이즈바이오(PhaseBio)로부터 ELP 플랫폼 기술을 비롯해 이를 기반으로 한 전임상 단계 연골무형성증 신약(CNP 유사체) 등 신약과 관련한 특허 88건을 인수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이뮤노포지는 기존 페이즈바이오와 ELP 기술에 대해 협력하고 있던 듀
다중항체 기반 면역항암제 개발 바이오텍 머스트바이오(MUSTBIO)가 기존 면역항암제 타깃이 가진 독성이슈를 극복하기 위한 이중항체 2건의 연구결과를 공개했다. 각각 CD3 기반 T세포 인게이저(T cell enegager)와 사이토카인 인터루킨-2(IL-2)의 전신독성을 극복하기 위한 이중항체이다. 머스트바이오는 지난달 18일(현지시간) 미국 올랜도에서 열린 미국 암연구학회(AACR 2023)에서 PD-L1xCD3 이중항체 ‘MB101’과 PD-L1xIL-2 융합단백질 ‘MB201’의 전임상 결과에 대한 포스터 발표를 진행했다.
베링거인겔하임(Boehringer Ingelheim)의 글루카곤(glucagon, GCG)/GLP-1 이중작용제(dual-agonist) ‘BI 456906’가 투여 46주차에 최대 14.9%의 체중감소를 달성하며 비만치료제 약물로서 긍정적인 임상결과를 보였다. 앞서 일라이릴리(Eli Lilly)의 GIP(glucose-dependent insulinotropic polypeptide)/GLP-1 이중작용제 ‘마운자로(Mounjaro, tirzepatide)’는 72주차에 평균 20.9%의 체중감소를 달성했다(NCT04184622
넥스아이(Nex-I)는 12일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 정부과제에 선정됐다고 발표했다.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는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가 시스템반도체, 바이오헬스, 미래모빌리티, 친환경에너지, 로봇 등 10대 신산업 분야에서 국가경제를 이끌어갈 딥테크 스타트업을 1000개 이상 육성하기 위해 향후 5년간 민관합동으로 2조원이상을 투입하는 프로젝트다. 중기부는 먼저 150개사를 선정해 지난 10일 발표했으며, 프로젝트 추진 첫해인 올해말까지 120개사를 추가 선정할 계획이다. 신규 선정된 스타트업은 향후
바이시클 테라퓨틱스(Bicycle Therapeutics)는 지난 10일(현지시간) 바이엘(Bayer)과 신규타깃(novel target)에 대한 바이시클 펩타이드 접합 방사성의약품(Bicycle radioconjugates, BRC) 항암제 후보물질을 개발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는 바이시클이 지난 3월 노바티스(Novartis)와 17억5000만달러 규모의 BRC 개발 딜을 체결한지 2달만에 이어진 소식이다. 바이시클(Bicycle) 펩타이드는 암세포를 특이적으로 표적하고 침투력(penetration)을 높인 이중고리
로슈(Roche)가 중국 지온파마(Zion Pharma)로부터 초기 임상단계의 HER2 TKI ‘ZN-A-1041’을 6억8000만달러에 사들이며 HER2 파이프라인을 강화했다. 로슈는 '허셉틴(Herceptin, trastuzumab)', ‘퍼제타(Perjeta, pertuzumab)’, '캐싸일라(Kadcyla, ado-trastuzumab emtansine)', '페스고(Phesgo, pertuzumab/trastuzumab/hyaluronidase)' 등 HER2 타깃 약물을 보유하고 있다. 이들 4개 약물의 올해 1분기
암젠(Amgen)이 티스캔 테라퓨틱스(TScan Therapeutics)와 크론병(Crohn’s disease)의 새로운 표적발굴을 위해 5억3000만달러 규모로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딜에서 암젠은 티스캔의 ‘TargetScan’ 플랫폼을 이용해 크론병 유발 항원을 동정(identify)하고 발굴한 항원으로 다양한 모달리티의 크론병 치료제 후보물질을 개발해 평가할 계획이다(evaluate a variety of modalities to create therapeutics). TargetScan은 TCR(T cell recepto
툴젠(Toolgen)은 11일 호주 카데릭스(CARtherics)가 자사로부터 도입(L/I)한 TAG-72 CAR-T ‘CTH-004’의 중화권(중국, 홍콩, 마카오, 대만) 권리를 중국 순시(Shunxi Holding Group)에 부여했다고 밝혔다. 카데릭스는 지난 2021년 툴젠으로부터 CRISPR로 유전자편집한 TAG-72 CAR-T CTH-004의 글로벌 권리를 총 1500억원 규모로 라이선스인(L/I)한 바 있다. 순시는 중국 상하이에 본사를 둔 의료산업 그룹으로 의료서비스 및 혁신적 의약품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일동제약(Iidong)은 11일 제2형 당뇨병 치료제 신약 후보물질 ‘ID110521156’이 미국에서 물질특허를 취득했다고 밝혔다. ID110521156는 GLP-1(glucagon-like peptide-1) 수용체 작용제(agonist) 계열의 저분자 화합물로, 체내에서 인슐린 분비를 유도해 혈당 수치를 조절하는 GLP-1 호르몬의 유사체로 작용한다. 일동제약은 ID11052115이 생물학적 제제기반 약물에 비해 구조상으로 안정적이며 혈중 반감기가 긴 것이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이 물질은 당뇨질환 동물모델을 이용한 효능
셀트리온헬스케어(Celltrion healthcare)는 11일 유럽서 시판중인 전이성 직결장암 및 유방암 치료용 아바스틴 바이오시밀러 '베그젤마(베바시주맙, Vegzelma)'가 유럽 주요국 입찰에서 잇달아 수주에 성공하며 시장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회사에 따르면 유럽 주요 5개국 가운데 하나인 이탈리아에서 올해 1분기 열린 롬바르디아(Lombardia), 에밀리아 로마냐(Emilia Romagna) 및 토스카나(Toscana) 주정부 입찰에서 베그젤마는 낙찰에 성공했다. 3개 주정부는 이탈리아 베바시주맙 공공시장의
에이비엘, 'B7-H4x4-1BB' 키트루다 병용 "전임상 공개"
버텍스, ‘AAV 유전자치료제’ 프로그램 “전면 중단”
대웅제약, 면역항암 ‘ARG 저해제’ 전임상 “첫 공개”
HK이노엔, 'cAMP 편향 GLP-1' 비만 "국내3상 IND 승인"
4월 비상장 바이오투자, '3월이어 또 1곳'..290억 "TPD"
크리스퍼, ANGPTL3 인비보편집 1상 "중성지방 82%↓"
AZ, ‘엔허투’ 초기 유방암 수술전요법 3상도 “성공”
와이바이오, "독성 극복" 'pH 의존' B7-H3 ADC "공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이엔셀, 셀트리온 출신 염건선 이사 영입
삼진제약, BD담당에 이서종 이사 영입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뉴로핏, 코스닥 상장예심 '통과'.."파이프라인 확장"
대웅제약, P-CAB ‘펙수클루' DDW서 "구두·포스터 발표"
GC녹십자, 충북대와 인재양성·공동연구 업무협약
SK바사, 1분기 매출 1546억·영업손실 151억
동아 메타비아, ‘GPR119 작용제’ MASH 2a상 “EASL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