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룬드벡(Lundbeck)은 5년전 어바이드 테라퓨틱스(Abide Therapeutics)를 인수해 확보한 에셋의 가치 7900만달러를 상각했다고 지난 23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번 상각 처리는 올해 5월 신경병증성 통증 임상1상을 마친 MAGL 저해제 'Lu AG06474'의 개발중단을 결정하면서 이뤄졌다. 이에 앞서 어바이드의 리드에셋이었던 MAGL 저해제 ‘Lu AG06466’도 지난 2020년 뚜렛증후군 임상2a상에서 실패하면서 일찌감치 파이프라인에서 제외된 바 있다. 룬드벡은 지난 2019년 어바이드를 현금 2억5000만
노바티스(Novartis)가 그동안 약물로 표적하지 못했던(undruggable) VAV1을 타깃하는 분자접착제 약물(molecular glue degrader, MGD)을 확보하기 위해 계약금 1억5000만달러를 베팅한다. 현재 건강한 피험자를 대상으로 임상1상을 진행하고 있는 약물로, 내년 1분기 임상결과 도출을 앞두고 이번 딜이 체결됐다. 노바티스는 VAV1이 T세포와 B세포를 조절하는 특징에 기반해 면역매개 질환 경구용 치료제로서 개발 가능성을 보고 있다. 지금까지 자가면역·염증질환 경구용 치료옵션으로는 JAK 저해제가 있
레볼루션 메디슨(Revolution Medicines)이 KRAS(ON) G12D 변이 선택적 저해제로 개발하는 ‘RMC-9805’ 임상1상의 초기 결과를 처음으로 공개했다. 레볼루션은 췌장선암(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 PDAC) 하위그룹에서 전체반응률(ORR) 30%를 달성했다. 이는 직접비교는 힘들지만 지금까지 공개된 KRAS G12D 선택적 저해제의 임상 결과 중 가장 높은 ORR 수치다. 이번 레볼루션의 결과 발표 이전까지 KRAS G12D 선택적 저해제의 임상결과는 부진한 성적을 보였다
젬백스(GemVax)가 캐나다 토론토에서 열린 뉴로2024(Neuro2024: The PSP and CBD International Research Symposium) 심포지엄에서 지난 24일(현지시간) 펩타이드 약물 ‘GV1001’의 진행성핵상마비(PSP) 임상2상 탑라인 결과를 발표했다고 30일 영문보도자료를 통해 밝혔다. GV1001은 텔로머라아제(telomerase) 서열을 기반으로 하는 16개 아미노산으로 이뤄진 합성 펩타이드 약물이다. 젬백스 주장에 따르면 GV1001은 교세포(glial cell)의 표현형과 신경염증(
시나픽스(Synaffix)로부터 3세대 링커-페이로드 접합기술과 전임상 파이프라인을 들여오며 설립한 키부 바이오사이언스(Kivu Bioscience)가 지난 28일(현지시간) 시리즈A로 9200만달러를 유치하며 본격 출범을 알렸다. 시나픽스는 토포이소머라아제1(TOP1) 페이로드와 위치특이적 링커-페이로드 접합기술로 글로벌 빅파마를 비롯해 국내 종근당(CKD), 에이비엘바이오(ABL Bio) 등과 ADC 개발 딜을 이끌어낸 바이오텍이다. 또한 시나픽스는 지난해 6월 글로벌 CDMO 기업인 론자(Lonza)에 총 1억6000만유로
한미약품(Hanmi Pharmaceutical)이 신규 항암제로 합성치사(synthetic lethality) 기전의 MAT2A 저해제를 첫 공개했다. MAT2A 저해제는 글로벌에서 초기 개념입증(PoC) 임상개발 단계에 있는 타깃이다. 한미약품은 지난 23일부터 25일(현지시간)까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글로벌 암학회 ENA 2024(EORTC-NCI-AACR 2024)에서 ▲MAT2A 저해제 ‘HM100760’ ▲선택적 HER2 엑손20 삽입 변이 저해제 ▲SOS1 저해제 ‘HM99462’ 등 3건의 연구결과를 포스터로
애브비(AbbVie)가 헝가리 게데온 리히터(Gedeon Richter)와 20여년간 이어오고 있는 신경정신질환 치료제 파트너십을 또다시 확대했다. 리히터는 애브비가 시판하고 있는 블록버스터 정신질환 치료제인 ‘브레일라(Vraylar, cariprazine)’의 원개발사로, 브레일라는 지난해 28억달러 가량의 매출을 올렸으며, 애브비는 브레일라의 한해 최대 매출액을 50억달러로 예상하고 있다. 애브비는 브레일라에 대한 리히터와의 파트너십 이후에도, 2년전 신규 도파민 수용체에 대한 추가적인 파트너십을 체결했으며 이번에 또다른 신규
GPCR(G protein-coupled receptor) 저분자화합물 신약개발 셉터나 테라퓨틱스(Septerna)가 24일(현지시간) 나스닥 기업공개(IPO)에서 2억8800만달러의 공모자금을 유치했다. 공식 출범한지 2년만의 IPO이다. 셉터나는 시리즈B까지 총 2억5000만달러를 조달했으며, 지난해 버텍스 파마슈티컬(Vertex Pharmaceuticals)과 비공개 발굴단계 프로그램에 대해 계약금 4750만달러의 라이선스딜을 체결한 바 있다. 당초 셉터나가 계획했던 1억5800만달러보다 더 큰 규모이며, 당일 ‘SEPN’
애브비(AbbVie)가 얼마전 아밀로이드 플라크(amyloid plaque) 타깃 항체의 임상2상을 중단한 이유가 있었다. 지난 7월 2분기 실적발표자리에서 애브비는 일라이릴리(Eli Lilly)의 '도나네맙(donanemab, 제품명 키순라)‘과 유사한 메커니즘을 가진 아밀로이드베타(Aβ) 항체 'ABBV-916’의 임상2상을 중단했다고 공개했다. 당시 루팔 타카르(Roopal Thakkar) 애브비 최고과학책임자(CSO)는 “이미 시판된 항체와 유사한 효능과 안전성 프로파일을 확인했으나, 진화하는 경쟁구도 속에서 충분히 차별화
라이엘 이뮤노바이오파마(Lyell Immunopharma)이 CAR-T 영역에서 어려움을 돌파하기 위해 CD19/20 CAR-T 임팩트바이오(ImmPACT Bio)를 인수한다. 동시에 자체 진행하던 임상개발 프로그램 2건을 중단했다. 임팩트바이오는 지난 2022년 시리즈B로 1억1000만달러 펀딩 당시, 국내 제약사인 부광약품, 한독 등이 투자한 회사로도 알려져 있다. 라이엘은 지난 24일(현지시간) 임팩트바이오를 계약금 3000만달러와 약 4000만달러에 해당하는 라이엘 보통주 3750만주를 주고 인수키로 최종합의했다고 밝혔다.
오스코텍(Oscotec)이 3세대 EGFR TKI ‘렉라자(레이저티닙)’의 시판허가 성공을 이어가기 위한 키워드로, 항암제 내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플로이디 사이클(ploidy cycle; 배수성 주기)’ 저해제 개발 전략을 공개했다. 윤태영 오스코텍 대표는 지난 24일 여의도 거래소별관 5층 코스닥협회 강당에서 ‘2024년 하반기 R&D Day’에서 이같은 중장기 비전을 첫 발표했다. 윤 대표는 지난 2020년 3월 오스코텍 대표로 합류했으며, 이번 발표 이전까지는 임상개발 프로젝트 이외 전임상, 발굴(discovery)
인텔리아 테라퓨틱스(Intellia Therapeutics)가 CRISPR/Cas9 기반 in vivo 유전자편집 치료제 후보물질인 ‘NTLA-2002’로 진행한 유전성혈관부종(HAE) 임상2상에서 발작 발병을 최대 77% 낮춘 결과를 내놨다. 이번 결과 발표 이후 인텔리아의 주가는 20% 급락했다. 이는 발작 감소율이 투자자들의 기대에 미치지 못한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인텔리아는 올해 6월 NTLA-2002로 진행한 HAE 임상1상에서 발작을 최대 98% 낮춘 결과를 공개했고, 두달뒤인 8월에는 임상2상에서 효능을 충족한 긍정
아벤셀 테라퓨틱스(AvenCell Therapeutics)는 지난 22일(현지시간) 시리즈B로 1억1200만달러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아벤셀은 CAR-T의 활성을 스위치 처럼 on/off를 할 수 있는 스위처블(switchable) CAR-T를 개발하는 회사다. 이번 시리즈B는 노보홀딩스(Novo Holdings)의 주도로 진행됐으며 기존 투자자인 블랙스톤라이프사이언스(Blackstone LFE Sciences)와 신규 투자자인 에프프라임 캐피탈(F-Prime Capital), 에잇 로드 벤처스 재팬(Eight Roads Vent
자이랩(Zai Lab)이 다시금 시작된 DLL3 표적치료제 영역에서 항체-약물접합체(ADC) 플레이어로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으며, 어쩌면 암젠(Amgen)의 DLL3 T세포 인게이저(T cell engager)에 위협이 될 만한 데이터를 내놨다. 자이랩은 24일(현지시간) ENA 2024(EORTC-NCI-AACR symposium)에서 토포이소머라아제1(TOP1) 저해제 페이로드(payload) 기반 DLL3 ADC ‘ZL-1310’의 확장기 소세포폐암(ES-SCLC) 임상1a상에서 전체반응률(ORR) 74%를 공개했다. 다만
로슈(Roche)가 다이노 테라퓨틱스(Dyno Therapeutics)와 계약금 5000만달러와 마일스톤 10억달러 이상 규모로 신경질환을 타깃하는 신규 AAV 캡시드 개발딜을 체결하며 파트너십을 확대했다. 로슈와 다이노는 앞서 지난 2020년 비공개 계약금을 포함, 18억달러 이상 규모에 신경질환과 간을 타깃하는 AAV 캡시드 개발 딜을 체결한 바 있다. 로슈는 다이노와의 파트너십에서 진전을 거뒀다고 설명하고 있으며, 이번에 더욱 과감한 투자를 진행하는 것으로 보인다. 로슈는 유전자치료제 분야 선두그룹으로, 지난 2019년 스파
로슈(Roche)가 만성기침(chronic cough)에 대한 신규 타깃으로 개발해온 TRPA1 길항제 임상2상을 포함해, 올해 3분기에도 총 9건의 임상 프로그램을 중단했다. 로슈는 유망 프로젝트에 집중하기 위해 대대적인 파이프라인 구조조정을 진행해 오고 있으며, 지난 분기에 이미 전년동기 대비 신규 프로그램을 25% 축소한 바 있다. 로슈는 이번 분기에 만성기침 프로그램 외에도, KRAS 저해제 ‘디바라십(divarasib)’의 임상3상 1건을 중단했으며, PD1xLAG3, GPRC5DxCD3 이중항체 항암제 프로그램 등의 개
스파크바이오, LG화학과 '저분자 신약' "공동연구 계약"
월드ADC서 살펴본 '이중페이로드 ADC' 주목하는 이유?
루닛 "대주주 보호예수 해제물량, 매각계획 없어"
보로노이, 500억 규모 CB발행 "결정"
지아이이노, 'CD80-IL2'+키트루다 2상 "초기결과 공개"
카나프, 롯데바이오와 'ADC 플랫폼' 2차 공동연구
구글 칼리코, 中맵웰서 ‘IL-11 항체’ 5.96억弗 사들여
이노벤트, '첫' GLP-1/GCG 비만치료제 "中 승인"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인사]일동제약, 임원승진 인사
지노믹트리 美자회사, 테오 드보스 수석부사장 영입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신라젠, 우성제약 흡수합병 "완료"
“신약개발 선도 연구자 발굴"..'임성기연구자상' 공모
JW중외, 리겔 개발 'SYK 저해제' ITP신약 국내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