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오노기(Shionogi)가 영국 F2G와 항진균제(antifungal agent) 후보물질 ‘올로로핌(olorofim)’의 공동개발을 위해 최대 4억8000만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 계약금만 1억달러 규모의 베팅이다. 올로로핌은 표준치료제인 ‘아졸(azole)’계 약물에 저항성을 가지는 아스페르길루스증(aspergillosis) 등 곰팡이 감염병 치료제로 개발중이다. F2G는 현재 아졸 치료제에 저항을 띠거나 부적합한 침습성 아스페르길루스증(invasive aspergillosis, IA) 환자를 대상으로 올로로핌의 임상3
아스트라제네카가 RQ바이오(RQ Biotechnology)의 코로나19 항체를 사들이며 빠르게 변화하는 감염질환 치료제 시장에 대비한다. RQ바이오는 이번 딜을 통해 공식 데뷔했다. 아스트라제네카는 지난 17일(현지시간) RQ바이오의 개발 초기단계 코로나19 타깃 항체를 라이선스인(L/I) 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아스트라제네카는 코로나19 항체의 전세계 개발, 생산, 상업화 독점권을 갖게됐다. 계약에 따라 RQ바이오는 아스트라제네카로부터 최대 1억5700만달러와 판매에 따른 한자릿수 로열티를 지급받는다. 그 외의 세부적인
바이엘(Bayer)이 아타라 바이오테라퓨틱스(Atara Biotherapeutics)와 개발중이던 고형암 타깃 메소텔린(mesothelin) CAR-T 공동개발 파트너십 계약을 종료하고 권리를 반환했다. 이번 결정은 아타라의 자가유래 메소텔린 CAR-T 후보물질 ‘ATA2271’이 임상 1상에서 환자가 사망하는 이상반응이 나타나 임상중단 소식을 알린지 약 2개월만에 이뤄졌다. 아타라는 현재 환자모집을 중단하고 원인을 분석하고 있다. 사망환자는 고용량의 ATA2271 투여군에서 발생했으며, 기저질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병헌 경북대의대 교수는 고형암 모델에서 엑소좀을 타깃하는 펩타이드-약물접합체(peptide-drug conjugate, PDC)의 항암효과를 확인한 초기 연구결과를 내놨다. 이 교수는 고형암을 대상으로 암세포 엑소좀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펩타이드에 항암효과가 있는 독성물질을 붙여 암세포를 공격하는 방법을 이용했다. 암이 전이되는 병변으로 암세포 엑소좀이 이동하는 특성을 역이용(hijacking)한다는 전략이다. 이 교수는 지난 17일 안다즈 서울강남에서 열린 제 14회 바이오파마 테크콘서트에서 이같은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 행
최근 2~3년동안 잇따른 부작용과 임상보류로 AAV(adeno-associated virus) 유전자치료제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만연해진 상황에서, 이같은 부작용이 특정 치료유전자/환자유전자형(transgene/genotype)과 관련된 ‘클래스 이팩트(class effect; 같은 계열에서 나타나는 현상)’일 가능성이 나왔다. 당장 지난달만해도 화이자가 뒤센근이영양증(DMD) AAV에서 보고된 환자 사망건으로 관련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임상3상이 보류받은지 반년만에, 환자 안전성 모니터링 프로토콜을 추가하면서 임상이
사노피(Sanofi)는 면역질환 치료제 ‘듀피젠트(Dupixent, dupilumab)’와 백신을 앞세워 매출을 올리는 글로벌 빅파마다. 사노피 사업부문은 제약(Pharmaceuticals), 백신(Vaccines), 컨슈머 헬스케어(Consumer Healthcare)로 나뉘며 이 중 제약부문이 사노피 매출액의 71%, 백신이 17%를 차지한다. 사노피의 지난해 매출액은 430억달러로 글로벌 매출순위 9위에 자리했다. 전년 6위에서 3계단 추락했다. 매출액도 전년대비 2.3% 감소했다. 사노피의 매출감소를 이 수준으로 방어하는
이창준 기초과학연구원(IBS) 단장 연구팀이 개발중인 알츠하이머병(AD) 치료 약물은 in vitro 실험에서 과산화수소(H2O2)의 농도를 낮추고, 치매 마우스모델로 진행한 in vivo 실험에서 마우스 모델의 기억력을 개선시켰다. 연구팀은 뇌의 반응성 별세포(reactive astrocyte)로부터 과하게 생성되는 과산화수소를 알츠하이머병의 원인으로 보고 약물을 개발하고 있다. 해당 약물은 과산화효소를 타깃하는 저분자화합물로, 과산화수소를 직접 분해하지 않고 과산화효소를 거쳐 간접적으로 분해해 안전성을 높였으며 뇌혈관장벽(BB
ADC 대표회사 미국 씨젠(Seagen, 이전 시애틀제네틱스)의 공동창업자이자 대표(CEO)인 클레이 시걸(Clay Siegall) 박사가 가정폭력 혐의를 받고있는 가운데 결국 대표이사직을 사임한다. 그는 1998년 씨젠을 공동설립해 지금까지 약 25년동안 대표직을 맡아왔으며, 올해 61세다. 씨젠은 혐의를 공개한지 1주일만에 이같은 결정을 내렸으며, 곧바로 새로운 대표이사를 물색하기 시작했다. 이 소식에 주가는 혐의가 나온 직후 하락했던 가격보다 약 35% 오른 상태이다. 앞서 시걸 대표는 4월 23일 시애틀에 위치한 자택에서
면역항암제 개발기업 넥스아이(NEX-I) 연구팀이 PD-L1 항체와 입양T세포요법(adoptive T cell Transfer Therapy, ACT) 등 면역항암 치료에 불응성을 나타내는 TCTP(translationally controlled tumor protein) 신호전달 기전에 관한 연구결과를 내놨다. 암의 성장과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TCPT는 PD-L1 항체 및 ACT요법 불응성 종양 모델에서 mRNA와 단백질 발현이 유의미하게 증가해 있었다. 이를 유전적인 방법과 약물을 이용해 억제하면 면역항암 치료에 다시
지난해 8월 설립된 일리미스 테라퓨틱스(Illimis Therapeutics)가 퇴행성뇌질환에서 항체 치료제의 Fc 메커니즘이 아닌, 뇌 면역을 조절하는 TAM 수용체를 통해 아밀로이드베타(Aβ)를 제거하는 새로운 접근법을 공개했다. 현재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상업화하는데 가장 큰 난관 중 하나는 부작용이다. 바이오젠의 ‘아두헬름(Aduhelm, aducanumab)’은 환자의 약 35~40%에게서 ARIA 부작용을 일으켰으며, 효능이 제한적이었다. 일리미스는 이러한 부작용 이슈를 극복하기 위해 메커니즘에 주목했으며, 기존 방식과
표적단백질분해(targeted protein degradation, TPD) 기술기반 신약개발 업테라(UPPTHERA)가 시리즈B로 280억원 규모의 투자유치를 마무리했다고 18일 밝혔다. 업테라는 지난 2018년 셀트리온 출신 5명이 공동창업한 회사이며, 설립이후 2019년 시드 26억원, 2020년 시리즈A 127억원 등 지금까지 총 430억원규모의 투자유치를 완료했다. 이번 라운드에는 기존 투자기관으로 IMM인베스트먼트, SBI인베스트먼트, 알바트로스인베스트먼트, 산은캐피탈, 인라이트벤처스 등이 후속투자를 진행했으며, 신규
일라이릴리(Eli lilly)의 GIP(glucose-dependent insulinotropic polypeptide)/GLP-1(glucagon-like peptide-1) 이중작용제 ‘티제파티드(tirzepatide)’가 제2형당뇨병 치료제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았다. GIP/GLP-1 이중작용제로는 첫 승인이다. 릴리는 이번에 승인받은 약물이 기존의 GLP-1 수용체 활성화 기전의 ‘트루리시티(Trulicity, dulaglutide)’를 이을 블록버스터 약물로 기대하고 있다. 트루리시티는 지난해에만 64억
로슈(Roche)의 비소세포폐암 대상 TIGIT 병용투여 임상3상 실패가 업계에 즉각적인 파장을 일으키기 시작했다. GSK는 실패소식이 알려지고 하루만에 한발짝 뒤로 물러나, TIGIT 항체의 임상개발 전반에 대한 재검토에 들어갔다. GSK는 TIGIT 붐 속에서 항체의 Fc 기능을 강화한 에셋에 베팅했던 빅파마이다. GSK는 1년전 아이테오스 테라퓨틱스(iTeos Therapeutics)로부터 Fc 엔지니어링을 통해 ADCC 작용을 높인 TIGIT 항체 ‘EOS-448(GSK4428859A)’를 계약금만 6억2500만달러를 포함
에임드바이오(Aimedbio)는 환자 빅데이터와 머신러닝(ML)을 이용한 데이터 분석, 환자유래 모델을 이용한 약물 스크리닝을 통해 새로운 타깃을 발굴한다. 이를 활용한 효율적인 타깃발굴, 항체발굴, 약물검증 시스템으로 2018년 설립된 에임드바이오는 내년 교모세포종 치료제로 개발중인 리드파이프라인의 임상 진입을 목표로 한다. 허남구 에임드바이오 R&D센터 연구소장은 지난 12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 바이오코리아 2022에서 ‘에임드바이오의 환자중심 AI 신약개발과 정밀의료기술 소개’라는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에임드바이오는
듀셀바이오(Dewcell Biotherapeutics)가 만능유도줄기세포(iPSC)를 이용한 인공혈소판(aritificial platelets) 개발에 나섰다. 듀셀바이오는 공급이 부족해 미충족의료수요가 높으며, 국내시장 선점이 가능하고, 신약개발보다 임상이 신속하게 진행될 것으로 기대되는 등 3가지 포인트에 주목했다. 대한적십자사 홈페이지에 따르면 국내 혈소판 전체 여유 보유량은 단 1.9일분(4일 기준)에 불과하다. 현재 수술 중 응급수혈이 필요한 환자, 백혈병 환자 등 정말 필요한 사람들에게만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어 미충족
컴패스 테라퓨틱스(Compass Therapeutics)가 담도암(BTC) 대상 DLL4xVEGF-A 이중항체 ‘CTX-009(ABL001)’의 임상2상 중간 결과를 최근 공개했다. 해당 이중항체 후보물질은 에이비엘바이오가 개발했으며, 현재 국내에서는 한독이, 그 외 지역(중국 제외)에서는 컴패스가 임상을 진행하고 있다. 중국은 엘피사이언스(Elpiscience)가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에 발표한 데이터는 CTX-009와 화학항암제 파클리탁셀(paclitaxel)을 병용투여한 결과로 담도암 환자 24명을 대상으로 전체반응률(
CMS '가이드라인 초안'에 할로자임·알테오젠 등 "여파"
동아ST, HK이노엔 공동개발 ‘EGFR TPD’ 개발전략은?
노보노, 'GPCR' 셉터나서 '경구 인크레틴' 22억弗 L/I
우정바이오, 천병년 회장 별세..대표이사 변경 공시
알지노믹스, 릴리와 'RNA 편집' 난청치료제 "13억弗 옵션딜"
악투러스, 매출감소 "백신 축소"..mRNA 치료제 "집중"
애브비, 'cMET ADC' 첫 cMET고발현 폐암 "가속승인"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이엔셀, 셀트리온 출신 염건선 이사 영입
삼진제약, BD담당에 이서종 이사 영입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멥스젠, KAIST 연구팀과 망막혈관장벽모델 "연구협약"
앱클론, CAR-T '네스페셀' 림프종 "ORR 94% EHA 발표"
대원제약, 1분기 매출 1578억∙영업이익 94억
뷰노, ‘흉부영상 진단보조AI‘ 비급여 청구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