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노바티스가 파킨슨병을 타깃한 알파시누클레인(α-synuclein, αSyn) 치료제 후보물질을 사들이면서, 로슈, 아스트라제네카, 바이오젠 등과의 개발 경쟁대열에 뛰어들었다. 독특하게 이번에 노바티스가 사들인 핵심 에셋은 임상2상 단계의 경구용 알파시누클레인 저해제로 현재 주류를 이루고있는 항체와는 다른 접근법이다. 회사에 따르면 알파시누클레인이 잘못 응집되는 것을 저해하는 “첫 저분자화합물이 될 가능성”을 가지며, 노바티스는 계약금 규모만 1억5000만달러를 베팅했다. UCB는 2일(현지시간) 노바티스와 경구용 알파시누클레인 저
이뮤노젠(ImmunoGen)이 실패를 딛고 다시 일어났다. 이뮤노젠은 난소암 대상 FRα(folate receptor alpha) ADC ‘머베툭시맙 소라브탄신(mirvetuximab soravtansine, IMGN853)’의 임상3상에서 전체반응률(ORR) 32.4%를 확인하며, 1차 충족점에 도달했다. 특히 난소암에서도 치료옵션이 제한적인 백금 저항성(platinum-resistant) 환자에게서 확인한 결과다. 이뮤노젠은 2년전 난소암 대상 머베툭시맙 소브라탄신 임상3상에서 1차 충족점인 무진행생존기간(PFS)에서 차이를
아이엔테라퓨틱스(iN Therapeutics)가 비마약성 골관절염 통증치료제 후보물질의 핵심 차별성을 보여주는 전임상과 임상1상 중간분석 데이터를 첫 공개했다. 현재 임상1상 단계에 있는 'iN1011-N17(DWP17061)'로 경구용 Nav1.7 저해제다. 박종덕 아이엔테라퓨틱스 대표는 지난 1일 데일리파트너스(DAYLI Partners)가 주최한 ‘2021 하반기 D’LABS DEMO DAY’에서 “아이엔은 대웅제약에서 첫 스핀오프(spin-off) 회사로, 대웅제약이 진행하는 주요 5가지 주제 가운데 글로벌 신약이 될 가능
다임바이오(DigmBio)가 새로운 GPCR 타깃인 T1R3를 활성화하는 약물로 신경발생(neurogenesis)을 유도해 알츠하이머병 치료제를 개발하는 전략을 공개했다. 김정민 다임바이오 대표는 지난달 30일 온라인 방식으로 열린 제26회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단 정기세미나에서 “지금까지 알츠하이머병 신약 개발 분야에서 많은 실패가 있었다. 대부분 아밀로이드를 타깃하는 약물이 후기 임상에 가장 많이 진입했고 실패를 겪었다. 그러다 올해 6월 아밀로이드 약물인 아두카누맙이 효능부족 이슈에도 불구하고 시판허가를 받았다”며 “다임바이오는
블루프린트메디슨(Blueprint Medicines)이 임상을 앞두고 있는 항암제 에셋을 인수하면서, 이전과는 다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블루프린트는 표적항암제 개발회사로서 지금까지 2개 제품을 시판했으며, 라이선스아웃 중심의 비즈니스 모델을 갖고 있었다. 이러한 와중에 회사를 인수하는 한층 진화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블루프린트는 폐암 EGFR 엑손20 삽입변이(EGFR exon 20 insertion variant) 치료제의 니치마켓을 선점하기 위해 총 4억6500만달러를 베팅했다. 엑손20 삽입변이는 폐암에서 19del,
수지상세포 면역수용체(dendritic cell immunoreceptor, DCIR)를 통한 염증반응 및 골대사(bone metabolism) 억제 기전이 밝혀졌다. DCIR 염증억제 경로는 염증질환 치료제의 새로운 타깃이 될 수 있을까? 요이치로 이와쿠라(Yoichiro Iwakura) 도쿄대(Tokyo university) 교수 연구팀은 DCIR이 수지상세포와 골세포 표면에 있는 당단백질인 NA2(asialo-biantennary N-glycan)와의 상호작용으로 염증반응을 억제한다는 내용의 논문을 발표했다. 해당 내용은 지
미국 머크(MSD)가 경구용 코로나19 항바이러스제 ‘몰누피라비르(molnupiravir, MK-4482)’의 최종 임상 분석결과, 이전보다 효능이 급격하게 떨어진 결과를 발표했다. 이 결과는 몰누피라비르에 대한 전망을 흐리고 있으며, 반대로 머크의 뒤를 바짝 추격하는 화이자의 경구용 코로나19 항바이러스제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당일 머크 주가는 3.79% 하락한 반면, 화이자의 주가는 6.11% 올랐다. 또한 다가오는 30일 몰누피라비르의 긴급사용승인(EUA)과 관련된 이슈를 논의하는 미국 식품의약국(FDA) 자문회의를 앞두고
하버드 의대 연구팀이 암세포가 나노튜브(nanotube)를 뻗어서 T세포의 미토콘드리아를 탈취해 T세포의 산소소비량과 세포수를 감소시키는 연구결과를 내놨다. 암세포가 나노튜브로 T세포의 미토콘드리아를 탈취함에 따라 암세포의 산소소비량은 증가해 세포 성장(growth)이 촉진되고, 미토콘드리아를 뺐긴 T세포는 산소소비량이 감소하고 세포수가 줄어들었다. 또 연구팀은 유방암 동물모델에 나노튜브 형성 억제제와 PD-1 항체를 병용투여한 결과 각 약물을 단독투여할 때보다 높은 항암효과를 확인했다. 쉴라디티아 센굽타(Shiladitya Se
중국 베이진(Beigene)이 바이오기업으로는 처음으로 미국·홍콩·중국 3개 시장에 기업공개(IPO)라는 타이틀로, 기다림 끝에 드디어 중국 시장에 상장한다. 베이진은 상하이증권거래소(SSE)의 스타마켓(STAR Market, 커촹반(科創板): 과학기술혁신거래소)에 IPO 절차를 시작했다고 23일(현지시간) 밝혔다. SSE 스타마켓은 나스닥을 따라잡겠다는 목표에 따라 ‘중국판 나스닥’으로도 불리며, 중국 정부가 2019년 혁신기술 기업의 자금조달 유연성을 늘리기 위해 출범했다. 올해 중반을 기점으로 스타마켓의 전체 시총이 850조
거듭된 악재로 침체됐던 블루버드의 분위기에 숨통이 트일까? 렌티바이러스 벡터 유전자치료제 승인거절, 혈액암 발생에 따른 임상중단, 독일시장 철회 등 연이은 블루버드의 악재 속에서 ‘베티셀(betibeglogene autotemcel, beti-cel)’에 대한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우선심사 지정은 블루버드에 변곡점을 제공할 중요한 마일스톤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블루버드는 22일(현지시간) 미국 FDA가 베티셀의 바이오의약품 신약허가신청서(BLA)를 우선심사(priority review) 대상으로 지정했다고 밝혔다. FDA는
지난 연재에서 소개한 것처럼 2010년 정도까지 단백질의 3차구조 예측, 특히 예측하려는 단백질과 서열이 유사한 단백질의 구조가 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예측하는 방법은 그다지 발전이 없었다. 수십년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단백질 구조를 예측하려는 시도에서 뚜렷한 성과가 없다보니, 단백질 구조 예측이 세기의 난제라는 인식 역시 확고해졌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은 2010년 이후 서서히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그 원동력이 된 것은 바로 단백질의 진화 정보였다. 그렇다면 어떻게 이러한 진화 정보가 단백질의 구조 예측에 사용될 수 있었을까? 단백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Lunit)이 pre-IPO로 720억원 규모의 투자를 마무리했다고 24일 밝혔다. 지난 7월 미국 암 진단기업 가던트헬스(Guardant Health)로부터 300억원을 유치한지 4개월만의 추가 투자다. 이번 투자에는 글로벌 헬스케어 투자전문 벤처캐피탈(VC)인 헬스퀘스트 캐피탈(HealthQuest Capital), 캐스딘 캐피탈(Casdin Capital), ACS 브라이트엣지(American Cancer Society BrightEdge), 홍콩·샌프란시스코 기반의 투자사 타이번 캐피탈메니지
면역항암제 항체 후보물질의 Fc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실제 어떤 임상적 이점을 만들어낼 수 있을까?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단서로 아제너스(Agenus)가 항체의 Fc 기능을 강화한 CTLA-4 항체(Fc-enhanced anti-CTLA-4) ‘AGEN1181’의 초기 임상 결과를 발표했다. 아제너스는 면역항암제에 잘 반응하지 않거나 이전 PD-1 치료에 실패한 환자 등을 포함해 9개의 고형암종에 걸쳐 부분반응(PR) 이상의 약물 반응을 관찰했다. 이는 아제너스가 차세대 면역항암제를 개발하기 위한 전략 중 하나로, 이번에 Fc를 강
다이이찌산쿄(Daiichi Sankyo)가 FLT3-ITD(internal tandem duplication) 양성 급성골수성백혈병(AML) 대상 FLT3 저해제 ‘퀴자티닙(quizartinib)’ 임상 3상에서 전체생존기간(OS)을 유의미하게 개선한 긍정적인 결과를 내놨다. 다이이찌는 이번 결과를 기반으로 미국 식품의약국(FDA) 및 글로벌 규제기관과 허가절차를 논의할 예정이다. 퀴자티닙은 지난 2019년 미국 FDA로부터 승인거절을 받은 바 있다. 당시 FDA 항암제 자문위원단(ODAC)은 다이이찌산쿄가 제출한 임상 데이터에
2021년 한해 글로벌 항암제 학회에서 가장 화두가 됐던 키워드는 단연 차세대 항체-약물 접합체(ADC) 약물 ‘엔허투(Enhertu, trastuzumab deruxtecan; T-DXd)’였다. 엔허투는 HER2 양성 유방암 환자에게서 유례가 없는 치료 성적을 거두고 있으며, 시판 1년만에 신약 불모지였던 위암 시장에서 성공적으로 적응증을 넓히면서 시장의 판도를 뒤흔들고 있다. 엔허투의 긍정적인 임상 결과에 힘입어 최근 2년 동안 아스트라제네카, 미국 머크(MSD), BMS, 길리어드(Gilead Sciences) 등 빅파마는
올해 8~10월 3개월동안 바이오기업에 대한 투자금액은 4192억원에 불과해 투자업계에도 찬바람이 불기 시작했다. 특히 7월 한달 20개 기업에 7265억원의 투자가 이뤄진 것과 비교하면 기업수와 투자규모는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 22일 바이오스펙테이터가 자체 집계한 바이오기업 투자현황에 따르면, 지난 8~10월 21개사에 4192억원의 투자가 이뤄졌다. 이중 시리즈A 초기투자는 8곳으로 38%에 달했으며, 이오플로우가 주주배정 유상증자로 1352억원의 자금을 조달해 전체 투자금의 32.2%를 차지했다. 8월에는 9개사에 1000억
펩트론, ADC의 "세포유입∙효능↑" 플랫폼 초기결과 '공개'
유한양행, ‘TKI’ EGFR 엑손20도 효능..‘EGFRx4-1BB’ 공개
셀트리온제약, 신규 '이중페이로드' 플랫폼 "첫 공개"
머크, ‘키트루다' 美 생산시설 착공..”10억弗 투자”
LG화학, 新면역관문 ‘LILRB1 항체’ 전임상 “첫 공개”
노바티스, 레귤러스 17억弗 인수.."신장질환 강화"
AZ, 신경과학 임상개발 "3건 중단..파이프라인 제로(0)"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이엔셀, 셀트리온 출신 염건선 이사 영입
삼진제약, BD담당에 이서종 이사 영입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오스코텍, 'EP2/4 저해제' 고형암 "FDA 1상 IND 신청"
티움바이오, TGF-β/VEGF+키트루다 2상 "ASCO 발표"
이뮨온시아, 공모가 상단 3600원 확정.."329억 조달"
바이젠셀, 테라베스트와 'GD2 CAR-NK' 공동개발 계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