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제네론 파마슈티컬(Regeneron Pharmaceuticals)이 EGFRxCD28 이중항체로 진행한 고형암 임상1상에서 MSS 대장암 환자군을 대상으로 전체반응률(ORR) 6%의 저조한 효능결과를 내놨다. 리제네론의 PD-1 항체 ‘리브타요(Libtayo, cemiplimab)’와 병용투여한 결과다. 리제네론은 PD-(L)1 면역관문억제제의 불응성을 극복하는 전략으로 CD28 공동자극수용체 타깃 이중항체(costimulatory bispecific) 개발을 시도하고 있다. 리제레론은 이번 결과에 앞서 또다른 CD28 에셋인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와 다이이찌산쿄(Daiichi Sankyo)의 TROP2 항체-약물접합체(ADC)가 비소세포폐암(NSCLC) 2차치료제 세팅 임상3상에서, 1차종결점인 전체환자군을 대상으로 한 전체생존기간(OS) 개선에 실패했다. 그러나 비편평(non-squamous) 암종 하위그룹에선 임상적으로 의미있는(clinically meaningful) OS 개선 효능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임상결과는 이미 예견돼 있던 것으로 보이며, 해당 ‘다토포타맙 데룩스테칸(Dato-DXd)’은 앞서 동일 임상의 중간분석에
글로벌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 베터파마(Vetter Pharma International GmbH)는 28일(현지시간) '최고경영기업 어워즈(Best Managed Company Award) 2024'에서 최고경영기업상(Best Managed Companies Award)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수상으로 베터파마는 5년 연속 최고경영기업상을 받으며 골드등급(gold status)과 Best in class 등급을 유지했다. 이 행사는 딜로이트 프라이빗(Deloitte Private), 프랑크푸르트 알게마이네신문(Frankf
질랜드파마(Zealand Pharma)의 저용량(low dose) GLP-1/GLP-2 이중작용제(dual agonist)가 비만 연구자주도 임상2상에서 1차종결점을 충족하지 못했다. GLP-1/GLP-2 이중작용제 ‘다피글루타이드(dapiglutide)’를 저용량인 4mg, 6mg으로 투여한 결과 12주차에서 최대 4.3%의 체중감량 효과를 확인했으나 위약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질랜드는 이번에 진행한 다피글루타이드의 용량이 치료범위(therapeutics range) 하한(lower end)에 있는 것으로 분석
화이자(Pfizer)가 개발중인 IB6 타깃 항체-약물접합체(ADC)의 비소세포폐암(NSCLC) 임상1상의 업데이트된 결과가 공개됐다. 해당 IB6(integrin beta-6) ADC인 ‘시그보타투그 베도틴(sigvotatug vedotin, SGN-B6A)’은 화이자가 지난해 씨젠(Seagen)을 인수하며 확보한 에셋으로, 향후 매출성장 동력이 될 수 있는 핵심 에셋중 하나로 기대하고 있는 약물이다. 이번 업데이트된 임상결과, 시그보타투그 베도틴은 전체 환자군을 대상으로 전체반응률(ORR) 19.5%, 무진행생존기간 중앙값(m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가 비만치료제를 개발하는 스위스 식스픽스 바이오(SixPeaks Bio)를 일정 시점에 인수할 수 있는 옵션딜을 체결했다. 아스트라제네카는 식스픽스의 시리즈A 투자에 참여했고, 계약금을 포함해 8000만달러 규모의 딜을 체결했다. 식스픽스는 근육량을 유지하면서 체중을 감소시키는 ‘액티빈 IIA/B 수용체(activin IIA/B receptor) 이중항체’를 전임상 단계에서 개발하고 있다. 이는 GLP-1 기반 비만치료제에서 나타나는 근손실 부작용을 극복하려는 전략이다. 시판 비만치료제는 체중감
일라이릴리(Eli Lilly)가 지난 24일(현지시간) 미국 인디애나주 레바논(Lebanon, Indiana) 소재 제조시설 확장을 위해 53억달러를 추가 투자하기로 밝혔다. 젭바운드(Zepbound), 마운자로(Mounjaro) 주사제에 대한 원료의약품(API) 생산을 확대하기 위한 투자이다. 이번 투자로 해당 제조시설에 대한 총 투자규모는 90억달러 규모로 늘어났다. 데이비드 릭스(David A. Ricks) 릴리 회장겸 CEO는 “합성의약품 API 제조에 대한 단일투자로는 미국 역사상 최대 규모”라며 “젭바운드와 마운자로를
메루스(Merus)가 EGFRxLGR5 이중항체 후보물질의 두경부편평세포암(HNSCC) 임상2상 1차치료제 세팅에서 전체반응률(ORR) 60%을 확인한 예비분석(preliminary) 데이터를 공개했다. 재발성/전이성 HNSCC에 대한 1차치료제로 메루스의 EGFRxLGR5 이중항체 후보물질 ‘페토셈타맙(petosemtamab)’과 미국 머크(MSD)의 PD-1 항체 ‘키트루다(Keytruda)’를 병용투여한 결과다. 키트루다는 지난 2019년 백금기반 화학요법과 병용해 두경부암에 대한 1차치료제로 승인받았다. 허가임상 데이터에
노보노디스크(Novo Nordisk)가 제2형 당뇨병(T2D)을 가진 만성신장질환(chronic kidney disease, CKD) 임상3상에서 신장질환 진행, 신장 및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위험을 24% 줄인 GLP-1 작용제(agonist) 세마글루타이드의 세부결과를 내놨다. 노보노는 지난해 10월 데이터 모니터링위원회(Independent Data Monitoring Committee, IDMC)가 진행한 중간분석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확인한 후, IDMC의 권고에 따라 임상 조기종료를 결정한 바 있다. 당시 구체적인 임상
오르나 테라퓨틱스(Orna Therapeutics)가 레나게이드 테라퓨틱스(ReNAgade Therapeutics)를 인수했다.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며 차세대 mRNA 기반 치료제 개발을 위해 등장했던 기업들이 재편되는 모습이다. 레나게이드는 지난해 5월 시리즈A로 3억달러를 유치하며 출범한 기업으로 지질나노입자(LNP) 기반의 독자적인 RNA 전달기술과 유전자 서열코딩, 편집, 유전자 삽입 기술을 통합시킨 다중모달(multimodal) RNA 플랫폼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또 모더나(Moderna)를 창업한 플래그십 파이오니
탱고 테라퓨틱스(Tango Therapeutics)가 합성치사(synthetic lethality) 전략의 USP1 저해제의 고형암 임상1/2상에서 심각한 간독성 부작용이 발생하며 개발을 아예 중단했다. 탱고는 USP1 저해제로 임상에 진입한 선두그룹중 하나로, 지난해 12월 해당 1/2상을 시작했다. USP1은 관심을 받고 있는 합성치사 타깃으로, 로슈(Roche), 엑셀리시스(Exelixis)도 외부로부터 USP1 저해제를 사들여 임상개발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탱고의 안전성 이슈와 함께, 로슈의 USP1 저해제의 임상1상의
다케다(Takeda)가 중국 데그론 테라퓨틱스(Degron Therapeutics)와 표적단백질분해제(targeted protein degrader, TPD) 기전의 분자접착제(molecualr glue) 개발을 위해 12억달러 규모로 딜을 맺었다. 다케다는 데그론의 분자접착제 발굴 플랫폼을 이용해 핵심 질환영역인 종양, 신경과학, 염증질환 분야에서 다양한 표적에 대한 신규 분자접착제를 개발할 계획이다. 이달초 대규모 구조조정 소식을 알린 다케다는 신규 모달리티 확보를 통해 R&D 분야에서 돌파구를 찾는 모습이다. 이달 업데이트된
존슨앤존슨(J&J)의 KLK2 타깃 방사성의약품(RPT)이 전립선암을 대상으로 한 첫 임상1상에서 약물과 관련된 부작용으로 4명의 환자가 사망했다. 해당 RPT는 알파방사체(α-emitter)인 악티늄-225(actinium-225, 225Ac)를 KLK2 항체에 연결한 약물로, J&J가 향후 10억~50억달러의 매출을 올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 에셋이다. 이번 결과는 해당 ‘JNJ-6420’의 첫 임상(first-in-human) 데이터로, JNJ-6420의 안전성 프로파일에 대한 업계의 우려가 나오고 있다. KLK2(hK2)는
베링거인겔하임(Boehringer Ingelheim)은 23일(현지시간) 프랑스 OSE 이뮤노테라퓨틱스(OSE Immunotherapeutics)와 암과 심혈관-신장-대사질환(cardio-renal-metabolic diseases, CRM)에 대한 치료제 개발을 위해 파트너십을 확장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파트너십 확장은 지난 2018년 베링거와 OSE가 맺은 11억유로 규모의 항암제 개발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이뤄졌다. 베링거는 미충족의료수요를 해결하기 위해 암과 심혈관-신장-대사질환에 대한 새로운 파이프라인을 구축
바이오젠(Biogen)이 하이바이오(Human Immunology Biosciences, HI-Bio)를 계약금 11억5000만달러, 마일스톤을 포함 총 18억달러에 인수한다. 바이오젠은 지난해 7월 초희귀질환 치료제 개발사인 리아타 파마슈티컬(Reata Pharmaceuticals)을 73억달러에 인수한 이후, 추가적인 M&A 딜을 체결한 것이다. 이번엔 면역학(immunology)에 더욱 초점을 맞췄으며, 희귀 면역질환을 적응증으로 CD38 항체의 후기임상을 준비중인 하이바이오를 인수키로 했다. 이번 딜은 지난 2022년 11
알트루바이오(AltruBio)가 시리즈B로 2억2500만달러의 투자금을 유치했다. 알트루바이오는 면역관문(immune checkpoint) 조절인자인 PSGL-1을 타깃하는 4가항체(tetravalent) 후보물질 ‘ALTB-268’의 궤양성대장염(UC) 임상2a/b상을 진행할 계획이다. PSGL-1은 T세포 고갈을 촉진해 T세포 활성화를 억제하고 과도한 면역반응을 막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LTB-268은 질병환경에서 만성적으로 활성화된 T세포(late-stage T cell)를 감소시켜(down regulate)
'AAV' 뉴라클제네틱스, 시리즈C 261억..이연제약 최대주주
서밋, 'PD-1xVEGF' 폐암3상 세부 "의문가중..OS 미충족"
AZ "마침내", '타그리소 병용' 폐암1차 OS 도출.."경쟁↑"
머크, ‘B7-H3 ADC’ 소세포폐암 2상 “ORR 48.2%”
그래비티랩스, 시리즈A 180억 유치.."디지털 헬스케어"
에이비엘, 'CLDN18.2x4-1BB' 위암1차 "확대..2상 추진"
아이디야, 'DLL3 ADC' 소세포폐암 中1상 “ORR 73.2%"
삼성바이오, 美 제약사와 1.8조원 "CMO 수주계약 체결"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삼진제약, '양자컴퓨팅∙AI 융합' 신약개발 "복지부 과제"
지아이이노베이션, ‘CD80-IL2 SC제형’ 유럽특허 등록
뉴로핏, 日의료센터와 '뉴로핏 아쿠아' 공급계약
지노믹트리, ‘폐암 체외분자진단법’ 임상결과 WCLC 발표
노벨티노빌리티, 코아스에 투자철회 요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