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항체의약품을 개발하는 덴마크 젠맙(GenMab)이 지난 28일(현지시간)미국 나스닥(Nasdaq)시장 기업공개(IPO) 신청서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에 제출했다. 젠맙은 IPO를 통해 5억달러 규모의 자금을 확보, 지난 3월 임상2상(InnovaTV 204, NCT03438396)을 종료한 항체-약물 접합체(ADC, Antibody-Drug Conjugate) ‘티소투맙 베도틴(Tisotumab Vedotin)’의 상업화 준비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젠맙이 시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British Columbia)주가 오리지널의약품을 바이오시밀러로 대체 처방토록 하는 새로운 정책을 발표했다. 바이오의약품 확대로 인한 재정부담을 덜기 위해 공공 보건프로그램에 바이오시밀러 우선 사용을 강제화한 것이다. 유럽에 이어 북미 지역에서도 바이오시밀러 사용이 확산하는 추세를 보여준다. 캐나다 BC주는 27일(현지시간) 파마케어(Pharma Care) 프로그램에 바이오시밀러 사용을 확대한다고 밝혔다. 파마케어 BC주 보건부가 2003년 5월 도입한 제도로 일정 소득에 따라 약값을 보조해주는 프로그램이다
일라이릴리(Eli Lilly)는 만성 통증 치료제를 개발하는 미국 센트렉시온 테라퓨틱스(Centrexion Therapeutics)의 비오피오이드(Non-opioid) 진통제 신약 후보물질 ‘CNTX-0290’을 라이선스인했다고 지난 28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일라이릴리는 센트렉시온에게 선급금 4750만달러를 지급하기로 했다. 센트렉시온은 개발 및 상업화 마일스톤에 따라 5억7500만달러를 지급받게 되며, CNTX-0290이 성공적으로 출시되면 판매 마일스톤으로 3억7500만달러를 받을 수 있다. 로열티 비율은 CNTX-0290
유전자 치료제를 개발하는 미국 로카나(Locana)가 5500만달러 규모의 시리즈A를 유치했다고 지난 22일(현지시간) 발표했다. 로카나의 시리즈A에는 기존 투자자였던 ARCH 벤처 파트너스(ARCH venture partners), 테마섹 홀딩스(Temasek holdings), 라이트스톤 벤처스(Lightstone Ventures), 신규 투자자로 UCB 벤처스(UCB Ventures), 구글 벤처스(Google Ventures)가 참여했다.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가위로 치료제를 개발 중인 로카나는 크리스퍼의 기존 표
노보큐어(Novocure)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수술이 불가능한 악성 흉막 중피종(MPM, Malignant Pleural Mesothelioma) 환자를 대상으로 종양 치료 전기장 전달 시스템 ‘NovoTTF-100L’을 승인받았다고 지난 23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번 FDA 승인은 MPM 치료법으로는 15년 만이다. FDA는 NovoTTF-100L을 인도주의적 사용 의료기기(HUD, Humanitarian Use Device)로 선정했으며, 인도주의적 의료기기 면제제도(HDE, Humanitarian Devic
유전질환 치료제를 개발하는 미국 스토크 테라퓨틱스(Stoke Therapeutics)는 지난 23일(현지시간) 나스닥(Nasdaq) 기업공개(IPO) 신청서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에 제출했다. 스토크는 IPO를 통해 8625만달러 규모의 자금을 확보한 이후, 내년 상반기 중으로 유전성 뇌전증 증상을 보이는 드라벳 증후군(Dravet syndrome) 치료제 ‘STK-001’ 임상1상/2상을 시작할 예정이며, 임상3상으로 신속하게 진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중증
노바티스는 척추성 근육 위축증(SMA, Spinal Muscular Atrophy) 치료제 ‘졸겐스마(Zolgensma)’에 이어 PIK3CA(Phosphatidylinositol-4,5-bisphosphate 3-kinase catalytic subunit Alpha) 돌연변이를 가진 HR+(Hormone Receptor positive)/HER2-(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2 negative) 진행성, 전이성 유방암 환자 대상 PI3K 억제제(Phosphoinositide 3-kin
저분자, 생물학제제로 정신질환, 통증, 중독 치료제를 개발하는 미국 토닉스 파마슈티컬스(Tonix Pharmaceuticals)는 컬럼비아대로부터 T172R/G173Q 이중 돌연변이를 가진 코카인 분해효소(CocE, Cocaine Esterase) 'TNX-1300'을 라이선스인했다고 지난 23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세부적인 계약 내용은 밝히지 않았다. 코카인은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세로토닌 등 모노아민 계열의 신경전달물질 재흡수를 차단하며, 심장 근육의 소듐 채널도 차단한다. 코카인을 과다복용하면 코카인 독성(Cocaine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2세 이하의 척수성 근육 위축증(SMA, Spinal Muscular Atrophy) 환자를 대상으로 노바티스(Norvatis)의 유전자 치료제 '졸겐스마(Zolgensma)' 판매를 지난 24일(현지시간) 승인했다. 단 1회만 사용하는 졸겐스마의 판매가는 212만5000달러로 전 세계 최고가의 단일 치료제가 됐다. 노바티스는 5년 간의 약정으로 매년 42만5000달러씩 지불하는 옵션을 마련했다. 전 세계 인구의 1만명당 1명 꼴로 태어나는 SMA 환자는 SMN(Survival Motor Neuron)
암, 자가면역질환, 만성통증 치료제를 개발하는 미국 넥타 테라퓨틱스(Nektar Therapeutics)는 중추신경계(CNS) 질환 치료제 개발을 전문으로 하는 인헤리스 바이오파마(Inheris Biopharma)를 설립했다고 지난 23일(현지시간) 밝혔다. 인헤리스는 넥타로부터 뮤오피오이드 수용체 작용제(mu-opioid receptor agonist)이자 진통제인 NKTR-181의 상용화 권리를 획득했다. 현재 NKTR-181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판매허가승인을 위한 심사를 받고 있으며, 오는 8월 결과가 발표될
프로바이오틱스를 이용해 합성 생물의약품을 개발하는 미국 신로직(Synlogic)은 진행성 고형암 치료제 개발을 위해 로슈(Roche)와 공동 임상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지난 22일(현지 시간) 발표했다. 스폰서인 신로직은 임상시험을 주도하며, 로슈는 임상시험에 사용할 면역항암제 티쎈트릭(Tecentriq)을 공급하기로 했다. 신로직은 STING 경로 작용제 CDA(Cyclic-di-AMP)로 면역항암제를 개발하고 있다. 활성화된 STING 경로는 제1형 인터페론(Type 1 Interferon), 염증사이토카인(Proinflamm
어레이 바이오파마(Array BioPharma)는 BRAF(V600E) 돌연변이를 가진 전이성 직장암(mCRC,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환자 대상 브라프토비(Braftovi), 멕토비(Mektovi), 일라이릴리(Eli Lilly)의 얼비툭스(Erbitux) 삼중병용 임상3상(BEACON CRC, NCT02928224)에서 종결점을 충족했다고 지난 21일(현지 시간) 발표했다. 전체 CRC 환자의 21%가 mCRC로 진단받으며, mCRC 환자 중 BRAF(B-type serine/threonine-s
GSK-3β(Glycogen Synthase Kinase-3β) 억제제이자 저분자 화합물 '9-ING-41'를 개발하고 있는 미국 액츄에이트 테라퓨틱스(Actuate Therapeutics)가 2170만달러의 시리즈B를 유치했다고 지난 14일(현지 시간) 발표했다. 액츄에이트는 이번 시리즈B로 9-ING-41 임상 1/2상(1801, NCT03678883) 진행에 필요한 자금을 확보했다. 이번 시리즈B 투자에는 카이로스 벤쳐스(Kairos Ventures), 바이오스 파트너스(Bios Partners), 데프타 파트너스(DEFTA
머크(Merck)는 PD-1 항체 '키트루다(Keytruda)'의 전이성 삼중음성유방암(mTNBC, metastatic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적응증 추가를 위한 임상3상(KEYNOTE-119, NCT02555657)에서 종결점을 충족하지 못했다고 지난 20일(현지 시간) 밝혔다. 에스트로겐 수용체(ER, Estrogen receptor), 프로게스테론 수용체(PR, Progesterone receptor), HER2(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2)는 유방
독일 모포시스(Morphosys)는 재발성/불응성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r/r DLBCL, relapsed/refractory Diffuse Large B Cell Lymphoma) 환자 대상 타파시타맙(Tafasitamab), 레날리도마이드(Lenalidomide) 병용 임상2상(L-MIND, NCT02399085)에서 종결점을 충족했다고 지난 16일(현지 시간) 밝혔다. 고용량 화학요법, 자가 줄기세포 이식이 불가능한 r/r DLBCL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L-MIND 연구에서 타파시타맙, 레날리도마이드 병용요법은 객관
심혈관계 질환 치료 방법을 연구하는 미국 메디슨스 컴퍼니(The Medicines Company)는 앨라일람(Alnylam)과 공동개발 중인 인클리시란(Inclisiran) 임상2상(ORION-3, NCT03060577) 중간결과를 지난 18일(현지 시간) 발표했다. 고지혈증의 표준 치료제로 HMG-CoA(β-Hydroxy β-methylglutaryl-CoA) 환원 효소 억제제 스타틴(Statin)을 사용하고 있다. 스타틴은 콜레스테롤의 생성을 막아 고지혈증으로 생긴 심혈관계 질환, 사망 위험도를 낮추지만, 스타틴을 처방받은 환
롯데바이오, 송도 바이오캠퍼스 '1공장 상량식' 개최
노보노디스크 "후폭풍 감내", 9000명 해고 '결단'
바이오엔텍-BMS, ‘PD-L1xVEGF’ 글로벌 2상 “히트”
뷰노, 마이허브에 ‘골연령 분석 AI’ 27억 "매각"
中항서, 이번엔 ‘심혈관’ NewCo와 “10.8억弗 L/O 딜”
세르비에, 카에루스서 ‘BK채널 조절제’ 4.5억弗 인수
루닛, 프랑스 최대 공공의료 조달기관 "입찰 수주"
릴리, 'AI 약물발굴 플랫폼' 출시 "스타트업에 제공"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셀트리온, 고용노동부 '일자리 으뜸기업' 선정
SG바이오, 넥셀과 ‘hiPSC+오가노이드’ 항암제 평가 협력
보령, 안산 캠퍼스 '페니실린 생산시설' 증설
일동제약, 印尼칼베와 고지혈증 ‘드롭탑’ 공급계약 확대
동국생명과학, 제이앤제이와 'MRI 소프트웨어' 공급계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