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다발성 골수종(MM, Multiple Myeloma) 치료제 ‘닌라로(Ninlaro)’가 재발성, 불응성 AL 아밀로이드증(Relapsed or refractory systemic light-chain amyloidosis)에 대한 적응증 추가에 실패했다. 일본 다케다(Takeda)는 재발성, 불응성 AL 아밀로이드증 환자 248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임상3상(TOURMALINE-AL1, NCT01659658) 연구에서 1차 종결점을 ‘전체 혈액학적 반응(Overall hematologic response)’, ‘2년간 주요 장기(
30년간 실패를 거듭해온 KRAS 타깃 항암제 개발을 위한 새로운 도전이 주목을 받았다. 암젠의 KRAS(G12C) 변이 타깃 항암제 ‘AMG 510’이 그 주인공으로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된 ‘2019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연례행사에서 임상1상 결과가 공개됐다. 암젠은 3일 오전(현지시간) ASCO 구두발표 세션에서 AMG 510의 안전성과 내약성, 약동학,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진행한 임상1상 데이터를 공개했다. 발표자로 나선 시티오브호프(City of Hope)병원의 Marwan G. Fakih 박사는 KRAS G
머크(Merck)의 항생제 ‘저박사(Zerbaxa)’가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로 인한 감염증의 위험은 줄이며 치료 효과를 유지하는 임상3상(ASPECT-NP, NCT02070757) 결과를 근거로 적응증을 추가했다. 머크(Merck)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우선 심사(Priority Review) 대상으로 지정했던 항생제 ‘저박사’의 적응증 추가를 승인했다고 지난 3일(현지시간) 발표했다. 머크는 저박사 감수성을 확인한 18세 이상 박테리아 감염증 환자만을 대상으로 사용해야 하며, 베타-락탐(β-lactam)계열에 알러지를 가
바이엘이 아비나스(Arvinas)가 단백질 분해 플랫폼인 PROTAC®(Proteolysis-Targeting Chimera)에 1억1000만달러 규모의 투자를 한다. PROTAC은 질병을 일으키는 타깃 단백질과 E3 리가아제(ligase)에 동시에 결합하는 저분자화합물이다. PROTAC을 매개로 타깃 단백질에 유비퀴틴 딱지가 붙으면, 치료 타깃이 체내 유비퀴틴/프로테아좀 시스템에 의해 분해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바이엘과 아비나스는 심혈관계 질환, 암 질환, 부인과 질환 신약을 개발하기로 협약했다고 지난 4일 밝혔다. 또한, 두
암젠이 소세포폐암 치료제를 위해 DLL3(Delta-like ligand 3)을 타깃한 다양한 항암제 임상개발 전략을 공개했다. 암젠은 2일(현지시간)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2019 미국임상종양학회(ASCO)’에서 포스터 발표를 통해 DLL3 항원을 발현하는 소세포폐암 환자에게 CAR-T 및 BiTE(Bi-specific T-cell Engager) 후보물질을 적용한 임상 진행현황을 소개했다. 발표에 나선 Lauren Averett Byers MD 앤더슨 암센터(MD Anderson Cancer Center) 박사는 임상 결과를
면역을 활성화해 암을 없애는 컨셉의 면역관문억제제는, 기존의 진행성 비소세포폐암(NSCLC) 치료 개념을 바꿔놓고 있다. 머크(MSD)는 키트루다를 1차 치료제로 투여받은 환자에게서 5년후 생존률이 23.2%라는 결과를 지난 1일 공개했다. 보통 3b기~4기 단계에 있는 비소세포폐암 환자군이다. 키트루다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한 최장기간 데이터로, 머크는 비소세포폐암 분야에 중요한 이정표를 보여주고 있다는 설명이다. 스콧 에빙하우스(Scot Ebbinghaus) 머크 임상개발 부사장은 "면역항암제 이전에 폐암 환자가 5년후까지 생존
저분자 항암제를 개발하는 미국 터닝포인트 테라퓨틱스(Turning Point Therapeutics)는 시카고에서 열린 2019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Amer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에서 ROS1 돌연변이를 가진 비소세포폐암(NSCLC, Non-Small Cell Lung Cancer) 환자 대상 타이로신 인산화효소 억제제(TKI, Tyrosine Kinase Inhibitor) ‘레포트렉티닙(Repotrectinib)’ 임상1/2상(TRIDENT-1, NCT03093116) 중간결과를 지난
일본 아스텔라스(Astellas)는 시카고에서 열린 2019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Amer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에서 항체-약물 접합체(ADC, Antibody-drug conjugate) ‘엔포투맙 베도틴(Enfortumab Vedotin)’ 임상2상(EV-201, NCT03219333) 중간결과를 지난 3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아스텔라스는 엔포투맙 베도틴을 미국 시애틀 제네틱스(Seattle Genetics)와 공동개발하고 있다. 아스텔라스에 따르면 백금 기반 1차 치료에 실패한 진행
길리어드 자회사 카이트가 '예스카르타'를 이을 새로운 항CD19 CAR-T 치료제의 임상 결과를 1일(현지시간) 미국 시카고에서 개막한 '2019 미국임상종양학회(ASCO)'에서 공개했다. 재발성/불응성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ALL)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항 CD19 CAR-T 치료제 후보물질 ‘KTE-X19’의 안전성을 확인하고, 최적 용량을 설정하기 위한 ZUMA-3 임상 1/2상(NCT02614066) 중 1상에 대한 최종 결과다. ZUMA-3 임상을 이끈 Bijal D. Shah 미국 리 모핏 암센터 연구소(H. Lee Mo
최근 노바티스(Novartis)의 주도로 3000만달러의 시리즈B를 유치한 이스라엘 아얄라 파마슈티컬스(Ayala Pharmaceuticals)는 2019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에서 삼중음성유방암(TNBC, Triple Negative Breast Cancer) 대상 pan-Notch 신호 경로 억제제 ‘AL101’ 전임상시험 결과를 지난 2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아얄라는 pan-Notch 신호 경로를 억제해 항암효과를 얻는 AL101을 개발하고 있다. 감
암,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를 개발하는 미국 넥타 테라퓨틱스는(Nektar Therapeutics)는 시카고에서 열린 2019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에서 ‘NKTR-214+옵디보(Opdivo)’ 병용 임상2상(PIVOT-02, NCT02983045) 결과를 지난 1일(현지시간) 발표했다. 넥타는 1년간 진행된 4기 흑색종(Melanoma) 환자 38명 대상 PIVOT-02 연구에서 ‘NKTR-214+옵디보’ 병용요법이 객관적반응률(ORR, Objective Re
항암제를 개발하는 이스라엘 아얄라 파마슈티컬스(Ayala Pharmaceuticals)는 3000만달러 규모의 시리즈B 투자를 유치했다고 지난 28일(현지시간) 발표했다. 노바티스(Novartis)가 주도한 아얄라의 시리즈B에는 SBI JI 이노베이션 펀드(SBI JI Innovation Fund), 이스라엘 바이오테크 펀드(Israel Biotech Fund), 에이문 펀드(aMoon Fund), 하렐 보험 & 금융 그룹(Harel Insurance & Finance Group)이 참여했다. 아얄라는 암세포의 증식과정에 관여하는
미국 벨리쿰 파마슈티컬스(Bellicum Pharmaceuticals)가 고형암 타깃 CAR-T의 가능성을 확인한 ‘BPX-601’의 임상 1/2상 중간 결과를 공개했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혈액암 대상의 항 CD19 CAR-T 치료제 분야가 활발한 가운데 벨리쿰은 고형암 공략을 위해 PSCA를 타깃함은 물론 CAR-T 세포의 생존 및 활성을 조절할 수 있는 보조 약물을 활용하는 전략으로 주목받고 있다. 벨리쿰 파마슈티컬스는 1일(현지시간)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2019 미국임상종양학회(ASCO)’에서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개발
심혈관질환 치료제를 개발하는 아일랜드 아마린(Amarin)은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제출한 고중성지방혈증(Hypertriglyceridemia) 치료제 후보물질 ‘바세파(Vascepa)’의 심혈관질환 위험 감소에 대한 적응증 확대 허가신청이 우선심사대상(Priority Review designation)으로 지정됐다고 지난 29일(현지시간) 발표했다. 바세파 우선심사 지정 발표 이후, 아마린의 주가는 17.01달러에서 19.64달러로 15.5% 올랐다. 아마린은 지난 3월 FDA에 바세파의 심혈관질환 위험 감소에 대한 적응증
유전자치료제 시장이 커지면서 생산·제조에 막대한 돈이 투자되고, 다양한 형태의 딜이 늘어나고 있다. 최근 미국 재생의료연합(Alliance for Regenerative Medicine, ARM)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분기에만 372건의 유전자 치료제 임상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 가운데 임상3상은 32건, 임상2상은 217건, 임상1상은 123건이다.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해 17% 증가한 수치다. 이제 유전자 치료제는 제품으로서 실제 구현되고 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2번째 유전자치료제로, 지난주 노바티스의 A
노바티스(Novartis)는 ‘통제할 수 없는 천식(Inadequately controlled Asthma)’ 환자 대상 치료제 ‘QMF149’ 임상3상(QUARTZ, NCT02892344)에서 종결점을 충족했다고 지난 30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천식은 폐에 만성 염증이 생겨 기도가 좁아지거나 경련이 일어나는 질환이다. 천식이 생기면 폐 기능이 떨어지면서 강제호기(FEV1,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최고호기유속(PEF, Peak Expiratory Flow)이 감소해 충분한 양의 호흡
롯데바이오, 송도 바이오캠퍼스 '1공장 상량식' 개최
노보노디스크 "후폭풍 감내", 9000명 해고 '결단'
바이오엔텍-BMS, ‘PD-L1xVEGF’ 글로벌 2상 “히트”
뷰노, 마이허브에 ‘골연령 분석 AI’ 27억 "매각"
中항서, 이번엔 ‘심혈관’ NewCo와 “10.8억弗 L/O 딜”
세르비에, 카에루스서 ‘BK채널 조절제’ 4.5억弗 인수
루닛, 프랑스 최대 공공의료 조달기관 "입찰 수주"
릴리, 'AI 약물발굴 플랫폼' 출시 "스타트업에 제공"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셀트리온, 고용노동부 '일자리 으뜸기업' 선정
SG바이오, 넥셀과 ‘hiPSC+오가노이드’ 항암제 평가 협력
보령, 안산 캠퍼스 '페니실린 생산시설' 증설
일동제약, 印尼칼베와 고지혈증 ‘드롭탑’ 공급계약 확대
동국생명과학, 제이앤제이와 'MRI 소프트웨어' 공급계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