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애브비(Abbvie)의 '달반스(Dalvance, dalbavancin)'가 급성 세균성 피부 및 연조직감염증(acute bacterial skin and skin structure infections, ABSSSI)에 대해 18세 이하 소아를 대상으로 승인받았다. 지난 2014년 성인 ABSSSI 환자를 대상으로 승인받고 약 7년만이다.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등 그람양성 박테리아로 인한 ABSSSI 소아환자에게 단일용량으로 30분간 정맥투여(
알비레오(Albireo pharma)가 희귀 간질환인 ‘진행성 가족성 간내 담즙정체증(Progressive Familial Intrahepatic Cholestasis, PFIC)’에 대한 경구용 치료제 ‘바일베이(Bylvay, odevixibat)’의 미국 식품의약국 시판허가 승인을 받았다. 이번 승인으로 현재까지 치료 옵션이 외과적 수술로 제한적이었던 PFIC의 치료에 새로운 옵션이 생겼다. 알비레오(Albireo pharma)는 지난 20일(현지시간) IBAT(Ileal Bile Acid Transport) 저해제 바일베이가
출혈질환이나 혈전증에 대한 치료제를 개발하는 히맙(Hemab)은 22일(현지시간) 시리즈A로 5500만달러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는 노보홀딩스(Novo Holdings), 헬스캡(HealthCap), RA 캐피탈 매니지먼트(RA Capital Management)가 주도했다. 히맙은 투자금을 회사의 단일클론 항체와 이중항체 파이프라인 개발에 사용할 계획이다. 히맙은 우선적으로 글란즈만 혈소판무력증(Glanzmann's Thrombasthenia, GT)과 같은 희귀 출혈질환에 집중하며 이후 점차 혈전증처럼 흔한 질병으로
마이크로바이옴 신약 개발회사 베단타 바이오사이언스(Vedanta Biosciences)가 지난 21일(현지시간) 시리즈D로 6800만달러의 투자금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이번 베단타의 시리즈D 투자는 마그네타 캐피탈(Magnetar Capital)이 주도했으며, 베어리션 펀드매니지먼트(Verition Fund Management), 푸싱 헬스 캐피탈(Fosun Health Capital), 공동 설립자 퓨어테크 헬스(PureTech Health) 등 9개 투자자가 참가했다. 이번 시리즈D에는 지난 1월에 신설된 ‘화이자 혁신성장 이
퍼시픽바이오(Pacific Biosciences, Pac Bio)가 숏리드(short-read) 시퀀싱 업체 옴니옴(Omniome)을 8억달러에 인수하며 숏리드 시퀀싱 기술을 추가했다. 팩바이오의 롱리드 시퀀싱이 커버하지 못했던 분야였던 암 조기진단, 암 재발 등 예후진단, 치료제 선택, 임상 타깃 환자군 선택, 비침습적 산전검사(NIPT)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롱리드 시퀀싱은 동/식물의 유전체 연구, 인체내 면역반응 등 생명과학 기초연구, 미생물 연구 등 연구용으로 주로 사용된다. 숏리드 시퀀싱은 분석속도가 빠르고 정확도가 높
세레스(Seres therapeutics)가 궤양성대장염(Ulcerative Colitis, UC) 치료제로 개발중인 마이크로바이옴 신약 ‘SER-287’이 임상에서 위약 대비 임상적 관해율(clinical remission rate)을 개선시키지 못하며 1차종결점 달성에 실패했다. 세레스는 22일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후보물질 SER-287로 진행한 궤양성대장염(UC) 임상 2b상 탑라인 결과를 발표했다. 이같은 결과에 세레스의 주가는 결과 발표 전날보다 무려 61% 하락했다. 세레스는 미국과 캐나다에서 203명의 경증~중등증의
미국 머크(MSD)가 HIV 치료제 ‘이슬라트라비어(islatravir, MK-8591)’에 대해 월 1회 경구투여 만으로 8주간 체내 약물농도를 유지했다는 장기지속(long-acting) 데이터를 공개했다. 이번 이슬라트라비어의 장기지속 효능은 지난 1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HIV 치료제로 승인받은 경쟁사 비브 헬스케어(ViiV healthcare)의 장기 지속형 주사제 ‘카베누바(Cabenuva)’ 보다 4주 연장된 기간이다. 머크는 지난 20일(현지시간) 경구용 HIV 치료제 이슬라트라비어의 안전성 및 내약성 프
인공지능(AI)을 이용해 정신건강(mental health) 플랫폼을 개발하는 워봇헬스(Woebot Health)는 21일(현지시간) 시리즈B로 9000만달러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워봇헬스는 이번 투자금을 플랫폼 및 리드 프로그램 개발, 시장 출시 등에 사용할 예정이다. 이번 투자는 재즈 벤처파트너스(JAZZ Venture Partners)와 테마섹(Temasek)이 공동 리드했으며 미래에셋캐피탈(Mirea Asset Capital), 킥커 벤처스(Kicker Ventures), 알룸나이 벤처스(Alumni Ventures) 등이
사이토키네틱스(Cytokinetics)가 미오신 저해제 'CK-274'를 투여한 폐쇄성비후성심근증(oHCM) 환자들의 78% 이상에서 치료 목표수준까지 좌심실유출로의 압력이 낮아진 결과를 확인했다. 치료 중단이 필요한 심박출 저하 부작용 또한 발생하지 않았다. 이 소식이 알려진 후 사이토키네틱스의 주가는 발표 전일 대비 40.41% 급등했다. 미오신 조절을 통한 심장병 치료제 개발을 하는 사이토키네틱스는 지난 19일(현지시간) 폐쇄성비후성심근증(oHCM) 환자 대상 미오신 저해제 CK-274의 임상2상 탑라인 결과를 공개했다. 비
당과 지방의 대사 속도를 높여 대사 및 심혈관계 질환을 치료한다는 컨셉을 가진 리부스(Rivus Pharmaceuticals)가 20일 시리즈A로 3500만달러의 투자금을 유치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시리즈 투자는 론지튜드 캐피탈(Longitude Capital)과 메딕시(Medicxi)가 리드했으며 Rx캐피탈(RxCapital)이 참여했다. 리부스는 이번 투자금으로 제2형당뇨, 비알콜성 지방간염(NASH), 중증 고중성지방혈증(severe hypertriglyceridemia, SHTG), 박출률 보존 심부전(heart failu
아밀릭스(Amylyx Pharmaceuticals)는 20일(현지시간) 루게릭병(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치료제 후보물질 ‘AMX0035’의 미국 임상 3상 및 후속 파이프라인 개발을 위해 시리즈C로 1억3500만달러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이번 시리즈C 투자는 바이킹 글로벌(Viking Global)이 주도해 베인캐피탈(Bain Capital Life Sciences), 퍼셉티브(Perceptive Advisors), 락스프링 캐피탈(Rock Springs Capital) 등 15개 투자사가
프랑스 소재 바이오텍 AB사이언스(AB Science)의 신약 후보물질 ‘마시티닙(Masitinib)’이 초기 루게릭병(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환자의 전체 생존기간(Overall survival)을 25개월 연장했다는 새로운 장기추적 임상결과를 발표했다. 그러나 초기가 아닌 중증도의 루게릭병 환자들을 대상으로한 장기추적 결과에서는 유의미한 개선효과를 보이지 못했다. 이번 결과는 지난 2018년에 종결한 임상2/3상(NCT02588677)에 참가한 394명의 환자들 중 하위그룹을 대상으로 평
바이오엔텍(BioNTech)이 카이트(Kite Pharma)의 신생항원(neoantigen) TCR 세포치료제 개발 플랫폼과 미국 제조시설을 사들였다. 화이자(Pfizer)와 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해 유명해졌지만, 세포치료제를 이용한 항암제 개발은 바이오엔텍의 핵심 연구분야 중 하나다. 바이오엔텍은 자체적으로 개발한 신생항원 이용 세포치료제의 임상을 진행 중이며, 지난해에는 TCR 세포치료제 개발기업인 네온 테라퓨틱스(Neon Therapeutics)를 6700만달러에 인수했다. 카이트 역시 이번 매각을 통해 기존에 승인받은 CA
미국 머크(MSD)가 한번에 15가지 혈청형의 폐렴구균에 대해 예방이 가능한 접합백신 ‘백스누반스(Vaxneuvance)’의 미국 식품의약국(FDA) 시판허가를 받았다. 이번 승인으로 머크는 현재 폐렴구균 백신 1위 '프리베나13(Prevnar 13)'을 갖고있는 화이자와 더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머크는 오랫동안 큰 매출을 가져다준 폐렴구균 백신 '뉴모백스23(Pneumovax 23)'을 가지고 있다. 머크는 지난 16일(현지시간) 15가 폐렴구균 백신 ‘백스누반스(Vaxneuvance)’에 대해 미국 FDA의 시판허가 승인을
만성 이식편대숙주병(cGVDH)에 대한 첫 ROCK2 저해제 ‘레주락(Rezurock, belumosudil)’이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승인받았다. 현재 이식편대숙주병(GvHD)에 대해 승인받은 치료제로는 노바티스/인사이트(Novartis/Incyte)의 JAK1/2 저해제 ‘자카피(Jacafi, ruxolitinib)’와 애브비/J&J(Abbvie/J&J)의 BTK 저해제 ‘임브루비카(Imbruvica, ibrutinib)’ 등이 있다. 특히 임브루비카는 만성 이식편대숙주병(cGvHD)에 대해 승인받았으며, 자카피는 스
인공지능(AI) 기술을 사용한 심혈관의 3D 모델링 시스템을 개발한 하트플로우(HeartFlow)가 스팩(SPAC) 합병을 통해 미국 주식시장에 상장한다. 하트플로우는 지난 15일(현지시간) 기업인수목적회사(special purpose acquisition company, SPAC) 롱뷰(Longview Acquisition Corp)와 인수합병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하트플로우의 기업가치는 24억달러로 평가됐으며, 합병 후에 하트플로우는 4억달러의 현금을 확보하게 된다. 거래가 완료되면 합병된 기업은 하트플로우 그룹(Hear
리가켐, 美고테라퓨틱스서 "ADC 신규항체 도입"
에이비엘, 'CLDN18.2x4-1BB' 위암1차 "확대..2상 추진"
中항서, 이번엔 ‘심혈관’ NewCo와 “10.8억弗 L/O 딜”
BMS 베팅 '이중항체 ADC+타그리소' 폐암 1차 "ORR 95%"
AC이뮨, ‘BBB 투과 ADC’ 개발중단..인력 30% 감축
릴리, 'AI 약물발굴 플랫폼' 출시 "스타트업에 제공"
바이오엔텍-BMS, ‘PD-L1xVEGF’ 글로벌 2상 “히트”
뷰노, 마이허브에 ‘골연령 분석 AI’ 27억 "매각"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동국생명과학, 제이앤제이와 'MRI 소프트웨어' 공급계약
루닛, 프랑스 최대 공공의료 조달기관 "입찰 수주"
입셀, 오노와 ‘iPSC 기반’ 효능평가 서비스 계약
신라젠, 'TTK/PLK1' 국내 1상 "IND 변경 승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