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에이비엘바이오(ABL Bio)가 리드 프로그램 PD-L1x4-1BB ‘ABL503’의 임상1상 중간 결과에서 5mg/kg 이상의 효능용량에서 전체반응률(ORR) 30%를 확인한 결과를 공개한다. 이는 에이비엘바이오의 이중항체 플랫폼 ‘그랩바디-T(Grabody™)’을 통해 PD-L1을 발현하는 종양미세환경(TME) 특이적으로 4-1BB 매개 T세포를 활성화하는 전략이며, 기존 4-1BB 항체의 오프타깃(off-target) 이슈를 극복해 치료용량범위(therapeutic winow)를 개선하기 위한 접근법이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아
셀트리온(Celltrion)은 24일 자체개발한 '옴리클로(OMLYCLO, CT-P39)'가 유럽연합집행위원회(EC)로부터 첫번째 ‘졸레어(XOLAIR, omalizumab)’ 바이오시밀러로 승인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승인으로 옴리클로는 유럽에서 정식 승인받은 첫 졸레어 바이오시밀러로 ‘퍼스트무버(First Mover)’ 제품이 되되면서 해당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게 됐다. 셀트리온은 유럽 6개국에서 만성 특발성 두드러기(Chronic Spontaneous Urticaria) 환자 619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옴리클로의 글로벌 임상
이엔셀(ENCell)은 23일 금융위원회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본격적인 코스닥 상장절차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이엔셀의 공모주식수는 156만6800주, 희망 공모밴드는 1만3600~1만5300원이다. 이에 따른 총 공모금액은 213억~240억원이다. 이엔셀은 6월 17일부터 21일까지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을 진행해 최종공모가를 확정하고, 6월 25일과 26일 양일간 일반청약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후 7월 중 코스닥 시장에 상장할 예정이다. 상장주관사는 NH투자증권이다. 이엔셀은 지난 2018년 장종욱 삼성서울병원 교수가 교원창
큐리언트(Qurient)는 호주 임상심사위원회(IRB)로부터 감염증 후보물질 ‘텔라세벡(telacebec)’의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았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임상시험은 부룰리궤양(buruli ulcer) 환자를 대상으로 텔라세벡을 4주간 투여해 첫 투약 52주차에 치료 효능을 확인하는 허가 임상으로 진행된다. 오는 6월부터 40명의 환자를 모집해 임상을 시작할 예정이며, 이후 서아프리카 지역으로 확대해 200명을 대상으로 임상이 진행될 예정이다. 텔라세벡은 균 에너지 대사에 관여하는 사이토크롬bc1 복합체(cytochr
셀트리온(Celltrion)은 23일 자가면역질환치료제 ‘램시마SC(인플릭시맙 피하제형, 미국 제품명: 짐펜트라)’의 글로벌 임상3상 결과가 국제학술지 ‘소화기학(Gastroenterology, IF: 29.4)’에 게재됐다고 밝혔다. 셀트리온이 해당 논문에 공개한 내용은 ‘램시마SC의 염증성 장질환 유지요법(Subcutaneous Infliximab as Maintenance Therapy for Inflammatory Bowel Disease)’을 주제로 크론병 환자 343명, 궤양성대장염 환자 438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글로
앱클론(AbClon)은 어피바디(affibody) 기반 지퍼스위치(zipper switch) 물질에 대한 미국 특허를 취득했다고 22일 밝혔다. 어피바디 지퍼스위치는 CAR-T 세포 활성의 조절을 위한 스위처블(switchable) CAR-T ‘zCAR-T’ 플랫폼에 사용된다. 현재 zCAR-T는 니코틴의 대사물인 코티닌(cotinin)을 어피바디와 결합한 스위치 물질을 사용한다. 코티닌은 CAR-T 세포에, 어피바디는 암세포에 각각 결합해 CAR-T 세포를 활성화시키고 항암 효과를 유도하는 방식이다. 기존 CAR-T 약물이 항원
Lunit (KRX:328130.KQ), a leading provider of AI-powered solutions for cancer diagnostics and therapeutics, proudly announces the successful completion of its acquisition of Volpara Health Technologies, a global leader in medical software for breast cancer screening. This landmark acquisition, compl
웨어러블 AI 진단∙모니터링 서비스 전문기업 씨어스테크놀로지(Seers Technology)는 베트남 국영 통신기업인 비에텔그룹 산하의 비에텔 솔루션즈(Viettel Solutions)와 전략적 파트너십 협약을 체결하고 베트남 진출을 본격화한다고 22일 밝혔다. 이에 앞서 양사는 하노이 최대 공립병원인 Bach Mai 병원에서 씨어스의 웨어러블 AI 서비스의 상용화를 위한 실증을 진행해왔고, 이번 협약을 통해 본격적인 상용화를 추진하게 된다. 비에텔 솔루션즈는 비에텔그룹의 IT 및 통신 인프라를 활용해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회
온코닉테라퓨틱스(Onconic Therapeutics)는 이달 18일부터 21일까지(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2024년 미국소화기질환주간(Digestive Disease Week 2024, DDW 2024)’에 참가해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GERD) 환자 대상으로 P-CAB 제제 ‘자큐보(자스타프라잔 시트르산염)’의 효능과 안전성을 확인한 임상3상 결과를 발표했다고 22일 밝혔다. DDW는 전세계 소화기학 분야의 의사, 연구자 및 업계 전문가 1만명 이상이 참석해 최신 연구와 임상 경험을 공유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소화
JW중외제약(JW Pharmaceutical)은 22일 인공지능(AI) 신약개발 벤처기업 온코크로스(Oncocross)와 AI 기술 기반의 혁신신약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이번 계약에 따라 JW중외제약이 개발하고 있는 항암, 재생의학 분야의 ‘first-in-class’ 혁신신약 파이프라인에 대해 AI를 이용해 신규 타깃질환(적응증)을 탐색하고 개발 가능성을 검증한다. 이를 위해 온코크로스의 ‘랩터(RAPTOR) AI’ 플랫폼을 활용한다. 랩터 AI는 신약후보물질이나 기존 개발된 약물에 대한 최적의
HK이노엔(HK inno.N)이 지난 18일부터 21일까지(현지시각)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소화기질환주간(Digestive Disease Week 2024, DDW 2024)에서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P-CAB ‘케이캡(성분명 테고프라잔)’의 최신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22일 밝혔다. 학회에서 공개한 연구는 ▲장기 투여 후 위 생리의 변화 및 소장 마이크로바이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P-CAB과 PPI를 비교한 비임상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PCI) 후 항혈소판제를 복용하는 환자에서 케이캡과 PPI 제제의 상부 위장관 사건(GI
큐라클(Curacle)은 21일 프랑스 떼아 오픈이노베이션(Thea Open Innovation)으로부터 당뇨병성 황반부종(DME)과 습성 황반변성(wAMD) 치료제 후보물질 ‘CU06-RE’의 권리반환을 통보받았다고 공시했다. 큐라클은 지난 2021년 떼아와 계약금 600만달러를 포함해 총 1억6350만달러 규모로 아시아 지역을 제외한 CU06-RE의 글로벌 권리를 라이선스아웃(L/O)하는 계약을 맺은 바 있다. 공시에 따르면 떼아는 이달 16일 CU06-RE의 권리반환 의향을 큐라클에 통보했으며 30일간 두 회사간 미팅, CE
한국다이이찌산쿄(Daiichi Sankyo Korea)와 한국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 Korea)는 항체-약물접합체(ADC) ‘엔허투(Enhertu, 트라스투주맙데룩스테칸)’가 지난 20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HER2 저발현 전이성 유방암과 HER2 변이 전이성 비소세포폐암(NSCLC) 치료에 대한 적응증을 확대승인 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허가로 엔허투는 ▲이전에 전신요법을 받았거나 보조 화학요법(adjuvant chemotherapy)을 받고 6개월 이내에 재발한 절제불가능한 또는 전이성 HER2 저발현(IHC 1+
큐리언트(Qurient)는 미국 국립보건원(NIH) 산하 국립암연구소(NCI)와 정맥투여 CDK7 저해제(CDK7i) ‘Q901’의 병용요법에 대한 공동연구개발협정(CRADA)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CRADA는 미국의 연방정부기관과 비정부기관 간에 체결하는 공동 연구협약을 뜻하며, 미 연방정부기관이 보유한 기술, 자원, 인력, 시설 등을 활용할 수 있다. 이번 협약에 따라 큐리언트와 NCI는 소세포폐암(SCLC)을 포함한 진행성 고형암에서 Q901과 TROP2 항체-약물접합체(ADC) 병용요법에 대한 임상1/2상을 진행하게
일동제약그룹의 신약 연구개발 회사 아이리드비엠에스(iLeadBMS)는 21일 미국 흉부학회(ATS 2024)에서 특발성폐섬유증(IPF) 치료제 후보물질 IL1512의 전임상 연구결과를 포스터로 발표했다고 밝혔다. IL1512는 CXCR7(C-X-C chemokine receptor 7)에 높은 선택성을 가지는 작용제(agonist) 기전의 약물이다. CXCR7은 케모카인(chemokine) 리간드 중 CXCL11(I-TAC), CXCL12(SDF-1)와 결합하는 G 단백질 결합 수용체로 섬유화와 염증유발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한다.
임종훈 한미사이언스 대표는 21일 대표 취임 후 첫 성장 전략 메시지를 사내 전산망을 통해 임직원들에게 전달했다. 임 대표는 ‘함께 협력해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 나갑시다’란 제하의 이 메시지에서 “최근 1년 동안 겪은 다양한 변화들을 뒤로 하고, 미래에 집중해야 할 성장 전략에 대해 설명드리겠다”며 “한미그룹은 제약산업의 핵심 플레이어로 중요한 역할을 해왔지만, 이제는 한미사이언스가 더 큰 성과를 달성할 수 있는 잠재력을 펼쳐야 할 시기”라고 말했다. 임 대표는 “한미사이언스 계열사 중 하나인 ‘온라인팜’을 중심으로 유통사업의
펩트론, ADC의 "세포유입∙효능↑" 플랫폼 초기결과 '공개'
유한양행, ‘TKI’ EGFR 엑손20도 효능..‘EGFRx4-1BB’ 공개
셀트리온제약, 신규 '이중페이로드' 플랫폼 "첫 공개"
릴리, ‘GLP-1/GIP’ 폭발적 증가 "1Q 매출, 전년比 45%↑”
머크, ‘키트루다' 美 생산시설 착공..”10억弗 투자”
노바티스, 레귤러스 17억弗 인수.."신장질환 강화"
AZ, 신경과학 임상개발 "3건 중단..파이프라인 제로(0)"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이엔셀, 셀트리온 출신 염건선 이사 영입
삼진제약, BD담당에 이서종 이사 영입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오스코텍, 'EP2/4 저해제' 고형암 "FDA 1상 IND 신청"
티움바이오, TGF-β/VEGF+키트루다 2상 "ASCO 발표"
이뮨온시아, 공모가 상단 3600원 확정.."329억 조달"
바이젠셀, 테라베스트와 'GD2 CAR-NK' 공동개발 계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