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 항암신약 개발기업인 언코메트플러스 파마슈티컬(OncoMet+ pharmaceuticals)은 13일 '메티메디 파마슈티컬(MetiMedi Pharmaceuticals)'로 사명을 변경했다고 밝혔다. 메티메디 파마슈티컬은 항암제 개발에 중점을 둔 바이오텍 회사로서 현존하는 항암제의 여러 독성 및 제한된 적응증을 개선 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항암제를 개발하고자 2016년 2월 설립됐다. 대표는 듀퐁 파마슈티컬(DuPont Pharmaceuticals)과 BMS를 거쳐 녹십자 R&D 총괄 CTO, 오송 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신약
한미 생명과학 협력 컨퍼런스(Koera-US Cooperative Conference for Life Science 2017, KUCCLS 2017)가 오는 11월 2일부터 4일까지 미국 메릴랜드주 워싱턴D.C. 인근에 위치한 IBBR(Institute for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Research)에서 열린다. KUCCLS 2017는 한국과 미국의 생명과학 전문가와 산업계들이 모여 첨단 생명과학 기술에 대해 논의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국가간 전문가간 협력을 모색하는 자리로 이번 행사에는 20개 이상의
On September 25, 2017, Jeil Pharmaceutical said that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KHIDI), a government-affiliated institution, has selected its next-generation innovative type 1 diabetes drug, JP-2266 (low molecular compound), as part of a government program to cultivate blockbuster
대전에 새로운 바이오 클러스터 조성 작업이 시작됐다. 초기 벤처에서부터 상장사까지 다양한 바이오기업들이 연구개발 및 교류·협력 확대를 위해 클러스터 참여를 희망하고 있어 국내 바이오산업 도약의 새로운 전진기지로 성장할지 주목된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최근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지구로 개발중인 대전 유성구 신동·둔곡지역의 연구용지와 산업용지에 대한 분양 공고를 냈다. 과학벨트 거점지구는 기초과학연구원과 KAIST 등 대덕연구개발특구에서 나오는 우수한 연구 성과들을 과학기반 비즈니스별로 특화된 기능지구로
신라젠은 미국 국립보건원(NIH) 산하 국립암연구소(NCI)와 공동으로 연구하는 대장암치료제 개발을 위한 임상1상시험을 시작한다고 12일 밝혔다. 미국 메릴랜드주의 베데스다) 소재 미국 국립보건원 임상센터에서 오늘 16일부터 환자 등록을 진행한다. 이와 관련 신라젠과 NCI는 지난 8월 대장암 신약 개발에 관한 공동연구 협약을 체결했다. 임상시험은 NCI 주관으로 전이성 대장암 환자, 완치 절제술이 듣지 않는 환자, 1차 화학치료제 실패한 환자, PD-1/PD-L1억제제 단독치료에도 MSI-High인 환자 등 대장암 진행 상
의약바이오컨버젼스연구단과 서린바이오사이언스 등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제5회 바이오아트 국제공모전' 수상작이 결정됐다. 바이오아트 국제공모전은 생명이 가진 아름다움을 찾아내고 이를 형상화해 대중과의 공유를 취지로 한 대국민 과학 이벤트로 이번에는 '가상생명'을 주제로 지난 5월 1일부터 8월 20일까지 약 4개월간 전세계에서 총 332점의 작품을 접수받았다. 생명과학계, 예술계, 교육계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은 예술성, 독창성 등을 기준으로 최종 수상작을 결정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상에는 홍콩의 Kayan Kwok 의 'A
Yuhan Corporation takes full charge of domestic sales of biosmilar developed by Samsung Bioepis. On October 11, Yuhan announced that they have signed exclusive sales contracts for two types of biosimilars in Korea with Samsung Bioepis. Brenzys and Renflexis, biosimilars of Remicade and Enbrel, are
삼성바이오로직스의 2공장이 FDA(Food and Drug Administration)로부터 첫 번째 제조승인을 받으며 바이오의약품 상업 생산을 본격 시작한다. 2015년 11월 3만리터 규모의 1공장이 첫 FDA 인증을 획득해 상업생산을 시작한 지 2년만에 5배 규모의 2공장(15만 2000리터) 가동이 본격화되는 것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난 9월 말 미국의 식품의약품 품질안전성 인증기관인 FDA로부터 2공장 생산제품의 첫 번째 제조승인을 획득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제조승인 획득을 통해 삼성바이오로직스는 1공장에 이어
삼성바이오에피스가 자체개발한 바이오시밀러의 국내 판매를 유한양행에 맡겼다. 한국MSD가 마케팅과 영업을 전담했지만 원 개발국에서의 판매 부진이 지속되자 1년여만에 판매 업체를 전격 교체했다. 유한양행이 다국적제약사의 신약 제품 판매를 통해 영업력을 검증한데다 과거 ‘레미케이드’를 판매한 경험이 있다는 점에서 판매 적임자로 낙점된 것으로 분석된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유한양행과 바이오시밀러 2종의 한국내 독점 판매계약을 체결했다. 삼성바이오에피스가 개발한 항체 바이오시밀러 ‘브렌시스’와 ‘렌플렉시스’의 국내 마
알테오젠은 차세대 항체-약물접합(ADC) 치료제(ALT-P7)의 임상 1상이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의 범부처전주기신약개발사업 지원 과제로 선정됐다고 11일 밝혔다. ALT-P7는 알테오젠이 자체 개발한 항체-약물 접합(ADC) 플랫폼 기술인 NexMabTM 기술을 활용해 강력한 효능의 항암약물이 암세포에만 작용토록 하는 차세대 항암치료제다. 알테오젠은 앞으로 26개월간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의 범부처전주기신약개발사업을 통한 연구비 지원금을 포함해 총 약 36억원을 투자해 국내 최초로 차세대 유방암 항체-약물접합 (ADC) 치료제의 임상
일동제약의 종합비타민 ‘아로나민’이 분기 매출 신기록을 갈아치우며 국내 일반의약품 1위 자리를 고수했다. 11일 의약품조사업체 IMS헬스의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국내 판매 중인 일반의약품 중 단일 품목으로는 일동제약의 ‘아로나민골드’가 가장 많은 매출을 기록했다. 지난해 상반기보다 17.3% 증가한 179억원어치 팔린 것으로 집계됐다. 동아제약의 감기약 ‘판피린큐’, 한독의 붙이는 진통제 ‘케토톱’이 각각 각각 165억원, 158억원의 매출로 선두권에 올랐다. 광동제약의 ‘광동우황청심원’, 동화약품의 ‘까스활명수큐’,
An early diagnostic kit for lung cancer using the nucleic acid material, Aptamer, was first approved in Korea. On 27th, Aptamer Science revealed that their self-developed ‘AptoDetectTm-Lung’, which is an early diagnostic kit for lung cancer, received approval as a class III medical device from KFDA.
바이로메드가 중국에서 중증하지허혈 유전자 치료제 ‘VM202-PAD’의 마지막 임상에 돌입한다. 특히 중국 정부가 최근 빠른 신약 승인을 위해 해외 임상 데이터를 인정하는 신약허가 가이드라인 지침을 마련해 긍정적인 영향이 기대된다. 바이로메드는 중국 국가식품약품감독관리총국(CFDA)으로부터 중증하지허혈을 대상으로 하는 ‘VM202-PAD’의 임상 3상 개시 승인을 받았다고 11일 밝혔다. 지난 6월말 북경 지방청 심사를 통과한 뒤 중국 본청(CFDA)의 심사를 시작한지 약 4개월만의 신속 승인이다. 바이로메드는 지난 2004년
제일약품은 자체 개발 중인 위식도 역류질환 치료 신약 ‘JP-1366’의 임상1상시험 계획을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승인받았다고 11일 밝혔다. ‘JP-1366’은 칼륨-경쟁적 위산분비억제(P-CAB, Potassium Competitive Acid Blocker) 기전의 차세대 위식도 역류질환 치료제다. P-CAB 계열 약물은 ‘가역적 억제’ 기전으로 위벽세포에서 산분비 최종 단계에 위치하는 양성자펌프를 칼륨이온과 경쟁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저해하는 위산분비억제제다. 회사 측은 "JP-1366은 기존 위산분비억제제 치료제 시
대웅제약은 한국산도스로부터 산도스의 골다공증치료제 '산도스졸레드론산주'의 국내 판권과 허가권을 인수했다고 11일 밝혔다. 산도스졸레드론산은 대표적 골다공증 치료 약물인 비스포스포네이트(BP) 계열의 주사제로 1년에 1회 투약한다. 폐경 후 여성의 골다공증 치료 및 예방, 남성의 골다공증 치료, 저충격 고관절 골절 후 새로운 골절예방 등 BP 제제 중 가장 많은 적응증을 가지고 있다. 대웅제약은 한국산도스와의 유통ㆍ판매 계약에 따라 2014년부터 산도스졸레드론산의 국내 판매를 담당했고 이번에 허가권을 인수했다. 골다공증 치료제
유한양행이 삼성바이오에피스가 개발한 바이오시밀러의 국내 판매를 전담한다. 11일 유한양행은 삼성바이오에피스와 바이오시밀러 2종의 한국내 독점 판매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레미케이드와 엔브렐의 바이오시밀러 제품인 브렌시스와 렌플렉시스가 유한양행이 판매하는 제품이다. 브렌시스와 렌플렉시스 모두 종양괴사 인자(TNF-α)가 발현되는 것을 억제하는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다. 크론병, 류마티스관절염 등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이다. 당초 한국MSD가 삼성바이오에피스의 바이오시밀러 제품의 판매를 담당했지만 판매 부진 등의 이유로 판매 업체
에이비엘, "이번엔" 릴리에 'BBB 플랫폼' 26억弗 L/O
삼성에피스홀딩스, 바이오 '플랫폼 개발' 자회사 설립
HLB 엘레바, 'FGFR2 저해제' 왜 인수? 확장성은?
올릭스, ‘MyD88 RNAi’ 황반변성 1상 “최종결과 수령”
릴리, 메이라 '초희귀 안구질환' AAV 4.75억弗 L/I
로슈, '경구 BTK저해제' MS 3상 2건 ‘1차종결점 달성”
루카스, ‘바이러스 세포치료제’ 접근법 “개발 전략은?”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광동제약, 경영총괄 사장에 박상영 부사장 승진
[인사]일동제약 임원 인사
씨어스, 디지털 기반 "글로벌 의료격차 해소" 비전
[기고]『아웃포스트』, 신약개발 최전선을 기록하다
보령, ‘오픈이노베이션 활성화’ 유공자 포상 수상
SK바팜, 서울바이오허브와 오픈이노베이션 운영 MOU
대웅제약, 씨어스 '스마트병상' 포항 좋은선린병원에 공급
셀트리온, '램시마' 등 바이오시밀러 3종 "유럽 처방1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