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씨티씨바이오가 보유한 인트론바이오 주식 일부를 매각해 57억원을 확보했다. 씨티씨바이오는 이 자금을 항암제·복합제 개발 및 임상 자금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 씨티씨바이오는 인트론바이오 주식 29만1000주(0.97%)를 56억8600만원에 매도했다고 26일 공시했다. 씨티씨바이오는 이날 장 시작전 블록딜 방식으로 주식을 매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회사측은 이번 매각이 신약개발 투자 및 복합제 임상 3상 자금 확보를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씨티씨바이오는 KIST와 공동으로 BRAF V600E 변이 타깃 차세대 흑색종 표적 항암 신약의
셀트리온그룹이 26일 임원 승진 인사를 단행했다. 셀트리온에서는 김종현 DP생산본부장, 양성욱 DS생산본부장이 상무로 조종문 세포공정담당장, 전호성 인사담당장, 서준석 운영지원담당장이 이사로 승진했다. 또 셀트리온제약 김중철 종병사업담당장, 셀트리온화학연구소 문병관 제품개발담당, 셀트리온스킨큐어 장영근 관리본부장이 이사로 승진했다. □셀트리온그룹 임원 승진 인사 ◇셀트리온 △김종현 (DP생산본부장) △양성욱 (DS생산본부장) △조종문 (세포공정담당장) △전호성 (인사담당장) △서준석 (운영지원담당장) ◇셀트리온제약 △김중철 (종병사
셀트리온제약이 생산설비 구축을 통해 램시마SC 완제의약품을 생산한다. 셀트리온제약은 25일 이사회를 개최해 청주공장에 램시마SC(Subcutaneous) 제형 생산을 위한 설비 도입 투자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투자기간은 2019년 2월부터 2020년 12월까지로 총 582억원 규모다. 램시마SC는 셀트리온 바이오시밀러 램시마의 피하주사제형으로 작년 11월 유럽 판매를 위한 허가 신청서를 제출해 현재 유럽의약품청(EMA)의 심사를 받고 있다. 이르면 올 하반기 유럽 허가를 예상하고 있다. 셀트리온제약은 케미컬의약품 생산 및 판매, 바
대원제약이 국내 바이오벤처 티움바이오의 신약후보물질 도입으로 차세대 자궁내막증·자궁근종 치료제 개발에 나선다. 대원제약은 26일 티움바이오와 신약후보물질 ‘TU2670’의 국내 판권에 대한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TU2670은 GnRH 수용체를 억제해 에스트로겐 분비를 감소시키는 GnRH 길항제(antagonist) 계열인 차세대 신약 후보물질로 국내 1a상을 완료했다. TU2670은 경구용 약제로서 주사제 제형인 기존 치료제 대비 복용편의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것이 특징이다. 이번 계약으로 티움바이오는 대원제약에 신약
셀트리온이 2018년 9821억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연매출 1조원 돌파를 눈앞에 뒀다. 하지만 바이오시밀러 경쟁 격화에 따른 단가 인하, 1공장 증설에 따른 비용 증가 및 가동중단 등의 영향으로 영업이익은 33% 줄었다. 셀트리온은 25일 연결 기준 매출액 9821억원, 영업이익 3386억원을 기록한 2018년 경영실적을 잠정 공시했다. 매출은 3.48%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33.3% 감소한 결과다. 당기순이익도 2536억원으로 34.3% 감소했다. 셀트리온은 2017년 2분기 유럽 출시한 혈액암 치료용 바이오시밀러 '트룩시마'와
바이로메드가 천연물 건강기능식품·의약품으로 개발중인 다래추출물 'PG102'의 작용기전을 규명한 연구를 내놨다. PG102는 건선 및 각종 피부질환과 관련한 체내물질 항균 펩타이드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사이토카인 계열 인터루킨-37(IL-37)을 활성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이로메드는 다래(학명: Actinidia arguta)로부터 분리한 단일 추출물인 PG102의 건선 치료 작용기전을 규명해 국제학술지인 ‘Mediators of Inflammation’에 발표했다고 25일 밝혔다. 바이로메드 연구팀은 지난 2018년 10월에도
에이비엘바이오(ABL Bio)가 면역항암제 포토폴리오를 확대하기 위해 글로벌 수준의 'best-in-class' 이중항체 플랫폼과 항체 서열을 도입한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이제까지 공동개발 파트너십으로 신약개발 리스크를 줄였다면, 앞으로 우수한 물질을 도입해 개발에 속도를 내겠다는 전략이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중국 우시바이오로직스(Wuxi Biologics)가 보유한 우시바디(Wuxibody™) 이중항체 플랫폼과 2개의 신규 면역항암 항체서열을 라이선스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총 2억2050만 달러(약 2472억원) 규
유유제약이 자체 개발한 항혈소판제 '유크리드'가 혈소판 기능이 저하된 경동맥 스텐트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항혈소판 효과를 입증했다. 유유제약은 유크리드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4년간 삼성서울병원 등 6개 병원에서 진행한 임상연구 결과가 SCI급 국제학술지인 'Frontiers in Neurology'에 게재됐다고 25일 밝혔다. 경동맥 협착은 최근 생활습관이 서구화되면서 국내 발생 빈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스텐트 삽입술을 시행할 때, 표준치료법으로 사용하는 클로피도그렐의 경우 한국인이 서구인과 비교해 약물저항성이 높다
셀트리온이 이달부터 5만리터 규모의 1공장 의약품 생산을 본격 재개했다. 1공장에 추가 증설중인 5만리터 설비는 올해 상반기 준공해 하반기 상업생산에 돌입한다는 계획이다. 25일 셀트리온에 따르면 작년부터 진행한 1공장 개선작업 및 증설 연계 작업이 완료됨에 따라 2월 초부터 기존 5만리터 설비의 생산을 재개했다. 셀트리온은 1공장의 생산 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설비 개선 공사를 진행해왔다. 그 결과 기존 설비의 생산성이 향상됐으며 1공장 5만리터 설비의 연간 최대 생산가능 배치로 램시마 생산을 가정할 때 450억원 상당의
The first two Biomarkers based on Blood enabled early diagnosis of Acute Coronary Syndrome (ACS), such as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nd Unstable Angina Pectoris. This is the key source technology of the bio-venture ACS Diagnostics (ACS), founded in November 2018 by Dr. Kim Jie-wan (CEO) and Profes
신생 신약개발기업 미토이뮨테라퓨틱스가 LG화학의 미토콘드리아 표적 신약후보물질을 도입해 염증성 질환 치료제 개발에 도전한다. 비임상 및 임상 1상을 통해 안전성을 확인한 신약후보물질이라는 점에서 빠른 임상개발, 상업화가 기대된다. 미토이뮨테라퓨틱스는 최근 LG화학과 미토콘드리아 표적 염증성 질환 치료제에 대한 기술 실시권 및 글로벌 생산/판매 권리에 대한 도입 계약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미토이뮨은 이번 계약을 통해 LG화학에서 자체 임상 1상을 완료한 혁신신약(First-In-Class) 물질인 NecroX-7(LC28-01
The presence of domestic biosimilars in the global market is ever-intensifying. This is due to the ongoing expansion of domestic biosimilars, such as Humira, Herceptin, and Rituxan, as well as the well-known Remicade and Enbrel into the domains of other block-buster markets of bio-pharmaceuticals. I
차바이오텍이 코스닥 관리종목에서 벗어났다.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는 차바이오텍이 관리종목에서 해제됐다고 22일 공시했다. 이에 따라 차바이오텍의 소속부는 관리종목(소속부 없음)에서 중견기업부로 변경됐다. 이번 관리종목 해제는 차바이오텍이 최근 한국거래소에 신청한 상장관리 특례적용이 받아들여진 데 따른 것이다. 지난해 도입한 ‘상장관리 특례적용’은 일정 요건을 충족한 바이오기업은 4년 연속 영업적자를 내도 관리종목 및 상장폐지 대상 지정을 피할 수 있다. 정부 지침에 맞게 재무제표를 재작성하고 시가총액이 1000억원을 넘는 기업 등
셀트리온헬스케어가 작년 영업이익이 1500억원 이상 급감하면서 적자전환했다. 해외 바이오의약품 직판체제 도입을 위해 파트너사의 재고 비중을 줄인 영향이 컸다. 램시마 가격 인하, 허쥬마·트룩시마 마케팅 비용 증가도 실적을 악화시켰다. 셀트리온헬스케어는 2018년 잠정실적 공시를 통해 매출액 7135억원, 영업손실 252억, 당기순이익 114억원을 기록했다고 22일 밝혔다. 매출액은 전년 9209억원에서 22.5%, 당기순이익은 1574억원에서 92.7%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1537억원에서 적자전환했다. 셀트리온헬스케어 관계자는 "
국내 신생 RNAi 신약개발기업 인핸스드바이오가 73억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를 유치했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이번 투자에는 CKD창업투자, 한국벤처투자, 마그나인베스트먼트, 동유기술투자, 서울투자파트너스, 삼호그린인베스트먼트 등 총 10개 기관이 참여했다. 특히 인핸스드바이오는 중소벤처기업부와 한국벤처투자가 결성한 일자리 창출 성장지원 펀드(일자리 매칭펀드)의 투자 유치 업체로도 선정됐다. 이 펀드는 일자리창출 성과가 우수한 기업을 중심으로 기관투자자와 매칭해 투자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는데 CKD창업투자와 동일 조건으로 연계 투
알테오젠이 22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ALT-L9) 임상 1상을 진행하기 위해 임상시험 계획(IND) 숭인을 신청했다. 이번 임상시험은 신생혈관성 습성 노인성 황반변성 환자들에게 알테오젠이 개발한 ALT-L9를 투여해 안전성, 유효성 및 약동학적 평가를 위한 시험으로 무작위 배정, 이중 눈가림, 활성 대조 등의 프로토콜로 설계됐다. 대조약은 오리지널 제품인 아일리아를 사용하며 임상은 국내 5대 병원 중 1곳에서 진행할 예정이다. 알테오젠은 지난해 미국 비임상시험을 완료한 이후 GMP설비에서 임상시약을 생산, 품질
삼성에피스홀딩스, 바이오 '플랫폼 개발' 자회사 설립
에이비엘, '이번엔' 릴리에 'BBB 플랫폼' 26억弗 L/O
올릭스, ‘MyD88 RNAi’ 황반변성 1상 “최종결과 수령”
[인사]일동제약 임원 인사
큐로셀, 서울대서 '고형암 CAR-T' 기술독점권 사들여
지놈앤컴퍼니, ‘마이크로바이옴’ 위암 2상 “최종 결과”
머크, ‘경구' PCSK9 고지혈증 3상 "LDL-C 56%↓"
루카스, ‘바이러스 세포치료제’ 접근법 “개발 전략은?”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인사]삼양그룹, 정기 임원인사 및 조직개편
씨어스, 디지털 기반 "글로벌 의료격차 해소" 비전
[기고]『아웃포스트』, 신약개발 최전선을 기록하다
뷰노, 3Q 매출 108억·영업익 10억 "흑자전환"
삼진제약, 복지부 'AI신약개발사업' 공동기관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