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K이노엔(HK inno.N)은 31일 브렉소젠(Brexogen)과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 치료제의 세포주 위탁생산(CMO)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계약에 따라 HK이노엔은 브렉소젠이 개발중인 심근경색증 치료제 및 비알콜성지방간염(NASH) 치료제 후보물질의 세포주를 생산한다. 계약금액 및 생산규모는 공개하지 않았다. 이번 계약은 지난 4월 체결한 업무협약에 이어 이뤄졌다. 세포주 생산은 경기도 하남시 소재의 HK이노엔 세포유전자치료제 센터에서 맡는다. 세포주 특성분석과 함께 균질성을 확보한 세포주를 생산할 계획이다. 세포주는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Bridge Biotherapeutics)는 내달 9일부터 12일까지(현지시간) 싱가포르에서 개막하는 2023 세계폐암학회(IASLC 2023 WCLC)에서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을 대상으로 4세대 EGFR TKI로 개발하는 ‘BBT-176’의 임상1상 중간 결과를 업데이트한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임상1상 결과는 9월11일 ‘EGFR과 HER2 표적치료제’ 세션에서 임선민 연세암병원 폐암센터 교수 발표를 통해 공개될 예정이다. BBT-176는 EGFR C797S 변이를 포함한 여러 EGFR 변이를 억제
지아이이노베이션(GI Innovation)은 유럽 종양학회(ESMO 2023)와 미국 면역항암학회(SITC 2023)에서 인공지능(AI) 분석 데이터들이 포함된 주요 면역항암제(IO) 파이프라인 등 총 6건에 대한 연구 발표를 진행한다고 30일 밝혔다. ESMO는 오는 10월 20~24일까지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SITC는 11월 1~5일까지 미국 샌디에고에서 각각 개최된다. 지아이이노베이션이 발표할 총 6건의 연구결과중 2건은 ESMO에서, 4건은 SITC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이번 발표에는 IL-2/CD80 융합단백질인 ‘GI
제넥신(Genexine)이 중국 파트너사 아이맵(I-MAB)이 진행중인 지속형 소아 성장호르몬 치료제 ‘GX-H9(eftansomatropin alfa)’의 중국내 임상 3상 결과에서 1차종결점을 충족했다고 30일 밝혔다. 제넥신은 올해말 GX-H9 임상3상 최종결과를 받아 볼 수 있을 것이며, 이후 계획에 발맞춰 내년 중국 CDE에 바이오의약품허가신청서(BLA)를 제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GX-H9 임상은 아이맵이 지난 2020년 10월 중국 식약처 CDE(Center for Drug Evaluation)로부터 승인받아,
바이오의약품 플랫폼 기업 알테오젠(Alteogen)은 식약처 품목허가 심사를 진행하고 있는 히알루로니다제 단독제품 ‘테르가제(Tergase®)’의 임상시험에서 중화항체(neutralizing antibody)를 포함한 항-약물 항체(anti-drug antibody, ADA)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30일 밝혔다. 테르가제는 알테오젠이 개발한 첫 자체제품으로 통증완화, 부종치료, 히알루론산 필러 부작용 치료 등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히알루로니다제 단독제품(stand alone)이다. 기존에 시판되고 있는 동물유래 제품에 비해 불순물
지놈앤컴퍼니(Genome & Company)는 CNTN4 항체인 ‘GENA-104’의 고형암 임상1상에 대한 임상시험계획서(IND)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제출했다고 30일 밝혔다. 해당 임상은 최대 80명의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하며, 임상 진행기관은 서울대병원 등 두 곳으로 예정되어 있다. 지놈앤컴퍼니는 이번 임상1상에서 용량증량 코호트(dose escalation)를 통해 1차 목표인 안전성과 내약성을 입증하고, 유효성에 따라 보충코호트(backfill)를 통해 2차 목표인 유효성을 확인할 예정이다. 임상시험 기간은 3년으
메디톡스(Medytox) 관계사 리비옴(Liveome)은 29일 호주 인체연구윤리위원회(HREC)로부터 염증성장질환(IBD) 치료를 위한 마이크로바이옴 신약 후보물질 ‘LIV001’의 호주 임상1상을 승인받았다고 밝혔다. 리비옴은 오는 9월 개시될 호주 임상1a상을 통해 LIV001의 안전성, 내약성, 약물동태 등을 확인할 예정이며, 이후 염증성장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다국적 임상1b을 진행해 초기 유효성 등을 평가할 계획이다. LIV001은 면역조절 효능 유전자를 미생물에 도입해 면역질환에 대한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개발된
큐라클(Curacle)은 29일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에 ‘CU06-1004’의 임상1b상에 대한 임상시험계획(IND)을 제출했다고 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큐라클은 건강한 코카시안 성인을 대상으로 CU06-1004 캡슐을 반복투여해 안전성, 내약성, 약동학적 특성 등을 평가한다. 임상시험 실시기관은 서울대병원으로, 24명을 모집해 임상을 진행할 계획이다. 임상의 1차종결점은 안전성과 내약성, 2차종결점은 CU06-1004의 혈중 약물 대사체 및 약동학적 특성 등이다. 큐라클은 CU06-1004를 600mg, 900mg, 1200m
김유선 아주대의대 교수가 NAMPT(nicotinamide phosphoribosyltransferase) 유래 대장염 마우스모델에서 장 길이, 세포사멸, 생존율 등을 개선한 연구결과를 내놨다. NAMPT는 세포에서 에너지생성, 산화환원 반응조절 등 다양한 과정에 관여하는 필수적인 대사물질인 NAD(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수치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비정상적인 NAD 대사로 NAD 항상성(homeostasis)이 무너지게 되면 당뇨병, 암, 관절염, 염증성장질환 등 다양한 질병이 유발된
자이메디(Zymedi)가 KARS1 (lysyl tRNA synthetase 1)를 저해하는 기전의 비알콜성지방간염(NASH) 치료제 후보물질 개발 연구가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 ‘신약 R&D 생태계 구축 연구’ 과제에 선정됐다고 29일 밝혔다. 자이메디는 저분자화합물 기반의 KARS1 저해제를 개발하며, KARS1이 NASH 질환의 주요 원인으로 여겨지는 단핵구(monocyte), 대식세포(macrophage)를 조절하는 새로운 인자이다. 이번 선정으로 자이메디는 향후 2년동안 NASH 치료제 후보물질 도출에 필요한 9억원
셀트리온(Celltrion)과 셀트리온헬스케어(Celltrion Healthcare)는 28일 이사회를 열고 1450억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주가안정 및 주주가치 제고가 목적이다. 셀트리온이 이번에 매입할 자사주는 총 69만6865주, 취득 예정금액 1000억원 규모이며, 셀트리온헬스케어는 총 69만주, 취득 예정금액 450억원 규모다.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는 오는 8월29일부터 11월28일까지 장내매수를 통해 자사주를 취득할 계획이다.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는 최근 합병을 결정하고 미래성장동력에 대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Bridge Biotherapeutics)는 28일 이사회에서 운영자금 조달을 위해 총 60억원의 3자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브릿지바이오는 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LegoChem Biosciences)를 대상으로 30억원 규모의 보통주 발행을 통해 자금을 조달한다. 주당 발행가는 4995원이며, 총 60만600주의 보통주가 발행된다. 브릿지바이오는 "회사 경영상 목적 달성 및 필요자금의 신속한 조달을 위해 투자자의 투자의향 및 납입능력, 시기 등을 고려하여 이사회에서 대상자를 선정했다
일동홀딩스의 신약개발 컨설팅 계열사 애임스바이오사이언스(AIMS BioScience)가 인공지능(AI) 신약개발 플랫폼 기업 칼리시(CALICI)와 '신약개발 효율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칼리시는 단백질 신약분야의 도메인 지식(Domain Knowledge)과 AI 기술이 결합된 오픈 플랫폼 ‘파마코-넷(Pharmaco-Net)’을 활용해 신약개발 관련 데이터,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다. 이번 MOU를 통해 애임스는 컨설팅 과제 중 단백질 구조 기반 저분자화합물 신약 및 기능성 물질 등의 개발을
JW중외제약(JW Pharmaceutical)은 28일 Wnt 활성제(activator) 기반 탈모치료제 후보물질 ‘JW0061’이 ‘2023년도 1차 국가신약개발사업’ 지원 과제로 선정돼 국가신약개발사업단과 연구개발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JW중외제약은 국가신약개발사업단으로부터 향후 2년간 JW0061의 비임상 연구비를 지원받는다. 국가신약개발사업은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국민건강 증진을 위해 국가가 신약개발 전주기 단계를 지원하는 범부처 연구·개발(R&D) 사업이다. JW중외제약은 오는
김윤희 경희대 교수가 mTORC2 타깃 저해제를 통해 알츠하이머병(AD)과 자폐스펙트럼장애(ASD) 마우스 모델에서 관련 증상을 개선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특히 mTORC2 저해제는 AD의 발병원인인 아밀로이드베타(Aβ) 억제 외에도 Aβ 축적으로 손상된 신경세포의 재생을 유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기반으로 김 교수는 AD의 지연을 목적으로 개발됐던 기존 항체치료제와 달리 mTORC2 저해제를 통한 AD의 실질적인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 교수는 지난 24일 서울 방배동 한국제약바이오협회에서 개최된 제 15회
그래디언트 자회사인 테라펙스(Therapex)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비소세포폐암 치료제로 개발하는 4세대 EGFR TKI 표적항암제 ‘TRX-221’의 임상1상 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았다고 28일 밝혔다. TRX-221은 3세대 EGFR TKI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내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C797S 변이를 저해하는 4세대 EGFR TKI에 속한다. 테라펙스에 따르면 기존 1세대와 2세대 치료제 내성변이에도 높은 저해 활성을 가지며, 혈뇌장벽(BBB)을 투과할 수 있다. 테라펙스는 이번 임상1상에서 C797S를 포함한
노보노, 새 CEO 취임 하루前 “비만에셋 2개 중단”
릴리 "기대주", '경구 GLP-1' 첫 비만 3상 "기대 이하"
베링거, 마침내 '경구' HER2 변이 폐암 "美가속승인"
와이바이오, 350억 CB발행 완료.."바이오VC 참여"
LG화학, '에스테틱사업' VIG에 "2000억 매각"
中밍후이, pre-IPO 1.31억弗..‘PD-1xVEGF’+ADC 임상
스트랜드, 시리즈B 1.5억弗..'IL-12 mRNA' LG 투자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비나이 프라사드, 사임 “10일만에” FDA 복귀
삼진제약, HR담당에 신승원 이사 영입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네오이뮨텍, 'NT-I7' 美1b상 후속 연구자임상 "승인"
씨젠, 2분기 매출 1141억 "전년比 14% 증가
제이피아이헬스, 공모가 2만원 확정 "밴드 상단"
큐로셀, 성인 ALL 대상 ‘안발셀’ 1/2상 "IND 변경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