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독(Handok)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고혈압 복합제 ‘아프로바스크’의 허가를 받았다고 29일 밝혔다. 한독과 사노피 아벤티스 코리아(Sanofi-Aventise Korea)가 공동개발한 아프로바스크는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ARB) 계열 약물 '이르베사르탄(Irbesartan)'과 칼슘경로차단제(CCB) 계열 ‘암로디핀(amlodipine)’ 성분을 결합한 고혈압 복합제다. 이르베사르탄과 암로디핀 조합으로 개발된 고혈압 복합제는 아프로바스크가 최초로, 한독은 앞서 진행한 2건의 임상3상을 통해 이르베사르탄 단일요법 대비 아
한올바이오파마(HanAll Biopharma)의 미국 파트너사 이뮤노반트(Immunovant)는 지난 28일(현지시간)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로 개발하고 있는 차세대 FcRn 항체 ‘HL161ANS(IMVT-1402)’의 임상1상에서 고용량투여 600mg 다중용량상승시험(MAD) 결과를 업데이트했다. HL161ANS는 한올바이오파마가 지난 2017년 리드 FcRn 프로그램인 ‘바토클리맙(batoclimab)’과 함께 이뮤노반트의 모회사인 로이반트(Roivant Sciences)에 라이선스아웃한 차세대 FcRn 항체이다. 이뮤노반트는
SK바이오팜(SK Biopharmaceuticals)과 미국 자회사인 SK라이프사이언스(SK Life Science)가 내달 1일부터 5일(현지시간)까지 미국 플로리다 올랜도에서 열리는 2023 미국뇌전증학회(AES 2023)에서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10건의 연구결과를 발표한다고 29일 밝혔다. SK라이프사이언스가 12월 2일 저녁 6시에 주최하는 심포지엄에서는 ‘지속적인 발작의 영향과 발작 감소/소실 전략’이라는 주제로 뇌전증 환자의 발작 감소/소실을 향한 여러 치료 전략과 발작완전소실에 대한 미충족 수요(Unmet needs)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Lunit)은 지난 28일(현지시간)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북미 영상의학회(RSNA 2023)에서 코어라인소프트(Corelinesoft)와 의료AI 분야 해외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협약식에는 루닛 서범석 대표와 김기환 최고의학책임자(CMO), 코어라인소프트 김진국 공동대표, 최정필 공동대표, 백상현 전무 등 관계자 1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MOU를 통해 양사는 향후 유럽, 중동·아프리카(EMEA) 시장에서 상호 협력한다. 구체적으로 양사는 ▲협력 파
GC셀(GC cell)의 임상시험 검체분석 자회사 지씨씨엘(GCCL)은 인간화 마우스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국내 비임상 CRO인 휴믹(Humic)과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맺었다고 28일 밝혔다. 휴믹은 인간화 마우스 기술을 이용해 인간의 면역 시스템과 유사한 환경에서 유효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항암, 자가면역질환, 뇌질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오가노이드의 생체 유사성을 기반으로 동물모델을 분석하는 PADO(Patient Derived Organoid) 서비스, 멀티오믹스 분석 서비스 및 단일세포 유전자 분석 서비스를 제공
아이진(Eyegene)은 28일 코로나19 mRNA 백신 후보물질 ‘이지-코비드(EG-COVID)’와 ‘이지-코바로(EG-COVARo)‘ 부스터샷 호주 임상2a상에서 2차접종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임상2a상은 기존에 사용을 승인받은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한 건강한 성인 46명을 대상으로 야생형(우한종)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이지-코비드(EG-COVID) 400㎍, 800㎍ 투여군 각각 6명과 20명, 오미크론 변이형 백신 이지-코바로(EG-COVARo) 800㎍ 투여군 20명 등 총 3개군에서 안전성, 내약성, 면역원성을
손세진 인하대 교수가 다당류 나노캡슐(polysaccharide nanocapsule(NC)) 기반 항암백신의 작용기전과 다양한 암세포 동물모델에서 항암효과와 생존기간 개선을 보인 동물모델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손 교수는 지난 24일 인천 송도컨벤시아 프리미어볼륨에서 열린 '바이오 인천 글로벌 컨펙스(Bio InCheon Global Confex 2023, BIGC 2023)'에서 “체내 면역반응을 활성화시키는 미생물 표면에서 발현되는 다당류인 만난(mannan)을 이용한 나노캡슐을 개발했다”며 “기존 항암백신과 달리 특정 암항원
바이옴에이츠(Biomatz)가 중소벤처기업부의 딥테크 팁스(Deep-tech TIPS)에 선정됐다고 28일 밝혔다. 딥테크 팁스는 10대 신산업 분야 유망 스타트업 육성을 목적으로 중기부가 발표한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바이옴에이츠는 지난 2022년 4월 설립된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 빅데이터 및 복합균주 설계에 주력하는 스타트업이며,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특허기술을 출자받았다. 바이옴에이츠는 시드투자로 재무적투자자(FI)로 한국투자파트너스와 경남벤처투자, 전략적투자자(SI)로
삼성바이오로직스(Samsung Biologics)가 1건의 신규, 4건의 증액 위탁생산(CMO) 계약을 체결했다고 28일 공시했다. 모두 아시아 소재 제약사이며, 총 5건의 계약을 체결함에 따라 늘어난 수주금액은 총 7608억원이다. 고객사의 요청에 따라 회사명과 제품명은 공개하지 않았다. 이로써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올해 누적 수주금액이 3조4867억원으로 집계됐으며, 창사이래 처음으로 연간누적 수주금액이 3조원을 넘어섰다고 설명했다. 연간 기준 역대 최고치이며, 지난해 매출액 1조7835억원 대비 2배 증가한 수준이다. 삼성바이오
차바이오텍(CHA Biotech)은 27일 NK세포치료제와의 병용요법을 위해 상트네어바이오사이언스(Centenaire Biosciences)와 HER2 항체 물질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상트네어는 지난 2021년 메디톡스(Medytox)로부터 항체기술을 도입하며 설립된 항체 치료제 전문 바이오텍이다. 올해 바이오노트(Bionote)가 추가 투자를 통해 지분 28.39%를 확보해, 메디톡스 지분 22.9%를 넘어서게 됐다. 이번 계약에 따라 상트네어는 HER2 표적 항체인 ‘CTN001’을 차바이오텍에 이전해 공동연구를 진행
동아에스티(Dong-A ST)는 지난 24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DA-4505’의 임상1/2a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았다고 27일 밝혔다. DA-4505는 아릴탄화수소수용체(aryl hydrocarbon receptor, AhR) 길항제(antagonist)로, 선천과 후천성 면역반응을 모두 조절한다고 알려진 AhR을 저해해 종양미세환경(TME)에서 억제된 면역반응을 복구시키는 컨셉이다. 이번 임상은 국소진행성 또는 전이성 성인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DA-4505 단독요법 혹은 PD-1 항체인
신라젠(SillaJen)은 전이성 또는 절제 불가능한 신세포암(RCC) 환자를 대상으로 항암바이러스(oncolytic virus) ‘펙사벡(pexa-vec)’과 리제네론 파마슈티컬(Regeneron Pharmaceuticals)의 PD-1 면역관문억제제 ‘리브타요(성분명 세미플리맙)’를 병용투여한 임상1b/2a상의 최종결과보고서(CSR)를 24일 공시했다. 신세포암은 신장암의 90~95%을 차지하는 가장 흔한 타입이다. 펙사벡은 백시니아 바이러스(vaccinia virus)에 티미딘키나아제 유전자(thymidine kinase g
CJ바이오사이언스(CJ Bioscience)가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CJRB-101’의 국내 고형암 임상1상에서 약물 투약을 시작했다. CJ바이오사이언스는 면역관문억제제(ICI)의 불응성을 타깃하는 전략으로 CJRB-101과 PD-1 항체인 ‘키트루다(Keytruda)’ 병용요법을 평가하고 있다. CJ바이오사이언스는 올해초 CJRB-101의 임상1/2상 임상시험계획(IND)을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승인받은 바도 있다. 홍광희 CJ바이오사이언스 Discovery센터장은 지난 24일 인천 송도컨벤시아 프
아이엠바이오로직스(IMBiologics)가 면역항암제로 개발하는 신규 HLA-G 항체신약 후보물질 ‘IMB-201’이 중소벤처기업부의 시장확대형 ‘스케일업 팁스’ 과제로 협약체결을 완료했다고 27일 밝혔다. IMB-201은 자체 항체 라이브러리에서 발굴한 신규 면역관문인자 HLA-G 단백질을 타깃하는 항체이다. 중기부의 스케일업 팁스(TIPS) 사업은 그 운영사가 10억원 이상을 투자한 유망기업을 추천하면, 우수한 과제를 선정하여 정부가 최대 3년간 12억원 이내의 연구비를 지원하는 과제이다. 아이엠바이오로직스는 이번 사업의 운영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Lunit)은 AI 바이오마커 ‘루닛 스코프 IO(Lunit SCOPE IO)’를 활용한 대장암 재발과 치료 반응을 예측한 연구결과가 네이처(Nature) 자매지인 npj Precision Oncology(IF 10.123)에 게재됐다고 26일 밝혔다. 종양조직내 종양침투림프구(Tumor-Infiltrating Lymphocyte, TIL)는 종양에 대한 면역반응을 반영하는 특성에 기반해 암치료 이후 예후를 예측하는 마커(prognostic marker)로 제시되고 있다. 대장암에서도 TIL은 예측
차세대 NK세포 치료제 바이오텍 인게니움 테라퓨틱스(Ingenium Therapeutics)가 시리즈A로 53억원 규모의 투자유치를 완료했다고 24일 밝혔다. 지난해 4월 pre-시리즈A 단계로 60억원을 유치한 데 이은 후속투자로, 이로써 누적 투자액은 140억원이 됐다. 이번 라운드에는 기존 투자자로 캡스톤 인베스트먼스, 케이그라운드, 라플라스 등이 참여했으며, 신규 투자자는 대우당헬스케어가 참여했다. 인게니움은 이번 투자유치를 통해 연구개발비와 운영자금을 확보하면서, 기억세포 유사 NK세포(memory-like NK cell
리가켐, 'World ADC Awards' 2개부문 동시 수상
릴리 “新기준”, ’아밀린 단독‘ 비만 2상서 "20% 감량"
노보노, 항암·MASH 초기에셋 "중단"..주력분야 '베팅'
암젠 "희망 불씨", 'FGFR2b' 병용 3상 "효능부족" 중단
삼양그룹, 삼양 이노베이션 'R&D 페어 2025’ 개최
리가켐, 'B7H4 ADC' 고형암 1상 "고용량 코호트 추가"
인사이트, 프렐류드와 ‘JAK2 변이형’ 9.35억弗 옵션딜
루카스, ‘바이러스 세포치료제’ 접근법 “개발 전략은?”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인사]삼양그룹, 정기 임원인사 및 조직개편
일동생활건강, 박하영 신임 대표 선임
씨어스, 디지털 기반 "글로벌 의료격차 해소" 비전
[기고]『아웃포스트』, 신약개발 최전선을 기록하다
씨젠, 3분기 매출 1135억 "전년比 4.3%↑"
일동제약, 디앤디파마텍 5만3023주 전량 "매각 결정"
한미약품, 'AI 신약개발' 구축 "국책과제 연구기관 선정"
리스큐어, ‘LB-P8’ 희귀간질환 글로벌 2상 "환자투여"
동아 메타비아, ‘GLP-1/GCG’ 신규 전임상 “美학회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