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항체 신약개발 바이오텍 노벨티노빌리티(Novelty Nobility)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망막질환 치료용 후보물질 ‘NN2101’의 임상1상 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았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임상은 당뇨병성황반부종(Diabetic Macular Edema, DME) 환자를 대상으로 약물의 안전성과 내약성, 약동학,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된다. NN2101은 c-Kit 을 저해하는 단일클론 항체다. 회사측은 아일리아(Eylea, aflibercept)나 루센티스(Lucentis, Ranibizumab
압타바이오(Apta Bio)는 16일 이사회를 열고 111억원 규모의 전환우선주(CPS) 발행을 통한 3자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압타바이오는 또 389억원 규모의 전환사채(CB)도 발행한다. 이번에 조달한 500억원은 임상시험을 위한 운영자금으로 400억원, 타법인주식 취득자금으로 100억원을 사용할 계획이다.
바늘없는 연속혈당측정기(CGM) 개발 스타트업 아폴론(APOLLON)은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 산하 레이저생의학연구센터(LBRC)와 향후 2년간 라만분광을 이용한 비침습 CGM을 개발하고 임상을 진행한다고 16일 밝혔다. 아폴론은 이번 임상결과를 바탕으로 5년내 미국 식품의약국(FDA) 인허가를 마치고 상용화를 진행할 계획이다. 이번 공동연구는 피터 소(Peter T. C. So) MIT 기계공학과, 생물공학과 교수 겸 MIT LBRC 소장이 총책임자가 되며, 강전웅 MIT 기계공학과 박사가 주관한다. 또한 아폴론의 김영
김윤희 경희대 교수가 mTOR2 복합체 형성을 억제하는 PPI(protein-protein interaction) 후보물질의 치매 및 자폐스텍트럼을 개선한 연구결과를 발표한다. 김 교수가 개발한 물질은 500Da 이하의 저분자화합물로 혈뇌장벽(BBB)을 투과할 수 있고 높은 표적선택성을 가져 부작용을 최소화했다는 설명이다. 치매 및 자폐스펙트럼 동물모델에서 모두 인지능력 개선도 확인했다. 김 교수는 오는 24일 오후 3시25분 한국제약바이오협회 강당에서 열리는 ‘바이오파마 테크콘서트’에서 관련 기술을 공개할 예정이다. 사전신청하면
셀트리온(Celltrion)은 올해 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5240억원, 영업이익 1830억원을 기록했다고 14일 밝혔다.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각각 12.1%, 10.1% 감소했다. 셀트리온은 케미컬부문 국제조달 입찰시기 조정, 용역매출 등 기타 매출 감소로 전년동기 대비 전체 매출 및 영업이익은 감소했지만, 후속 신규 파이프라인 공급으로 주력사업인 바이오시밀러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10.4%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글로벌 시장에서 주요 바이오시밀러 제품의 성장세가 이어가는 가운데 휴미마 시밀러 '유
부스트이뮨(Boostimmune)은 글로벌 위탁연구개발생산(CRDMO) 기업인 우시바이오로직스(WuXi Biologics)와 우시XDC(Wuxi XDC)와 항체기반 항암제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우시바이오와 우시XDC는 각각 바이오의약품과 ADC를 포함한 바이오접합체의 연구, 개발, 생산까지 신약개발 전과정을 지원하는 서비스(end-to-end service provider)를 제공하고 있다. 우시XDC는 항체-약물접합체(ADC)를 포함한 바이오접합체(bioconjugate) 약물에 특화된 회사
큐리언트(Qurient)는 미국 국립암연구소(NCI)와 현재 고형암 대상 임상개발 단계에 있는 CDK7 저해제 ‘Q901’에 대하여 공동연구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계약에 따라 큐리언트와 아니쉬 토마스(Anish Thomas, MBBS, M.D.) NCI 박사팀과 공동으로 소세포폐암(SCLC)에서 Q901의 효능, 표준 치료법과의 시너지 효과 등에 대해 평가할 예정이다. NCI의 선행연구에 따르면 SCLC 모델에서 Q901은 CDK7를 저해, 전사를 조절해 높은 항암 효능을 보였다. Q901은 CDK7에 높은
이중항체 전문기업 에이비엘바이오(ABL Bio)는 2023년 반기보고서를 통해 올해 상반기 매출액 290억원, 영업이익 128억원, 순이익 139억원을 기록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로써 에이비엘바이오는 기술이전 수익으로 4분기째 흑자 달성에 성공하게 됐다. 에이비엘바이오는 2018년 상장 이후 지금까지 차입이나 유상증자 없이 활발한 연구개발 및 임상개발을 이어오고 있다. 현재 에이비엘바이오는 파트너사와 7개의 이중항체·ADC 신약 후보물질(VEGFxDLL4, CLDN18.2x4-1BB, PD-L1x4-1BB 등)에 대한 15개의
강스템바이오텍(Kangstem Biotech)은 지난 11일 이사회를 열고 357억원 규모의 주주배정 유상증자를 결의했다고 공시했다. 주주배정후 실권주는 일반공모를 실시한다. 공시에 따르면 강스템바이오는 신주 180만주를 1985원에 발행할 예정이다. 강스템바이오의 주가는 지난 11일 코스닥시장에서 3010원으로 마감했다. 신주배정 기준일은 9월13일이며, 오는 10월23일부터 24일 구주주 청약, 10월26일과 27일 일반공모 청약을 진행한다. 납입일은 10월31일, 신주상장 예정일은 11월13일이다. 대표주관사는 한양증권이다.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Lunit)이 역대 반기 최대 매출을 기록했으며, 지난해 연간 매출을 반기 만에 뛰어넘는 성과를 거뒀다. 루닛은 올해 상반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164억1600만원을 기록했다고 11일 공시했다. 이는 지난해 전체 매출액 138억 6600만원을 반기 만에 초과한 것으로, 전년동기 대비로는 200% 증가한 실적이다. 올해 2분기 매출액은 54억4500만원으로 전년동기 25억100만원에 비해 118% 증가했다. 해외 매출 증가가 반기 최대실적을 견인했다. 올해 상반기 해외 매출은 140억9100만원으로 전
알테오젠(Alteogen)은 11일 올해 상반기 연결기준으로 매출액 528억원, 영업이익 89억원, 순이익 177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개별기준으로는 매출액 459억원, 영업이익 129억원, 순이익 169억원을 기록했다. 이같은 실적은 알테오젠의 피하투여(SC)제형 플랫폼 'Hybrozyme™(하이브로자임)'의 글로벌 파트너사들로부터 개발 진전에 따른 마일스톤 2100만달러, 임상 후 상업화를 대비한 CMO(위탁생산계약) 관련 용역비 1000만달러 등의 수령에 따른 것이라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하이브로자임은 알테오젠이 지난
제 15회 바이오파마테크콘서트가 오는 24일(목) 오전 11시부터 서울 방배동 한국제약바이오협회 강당에서 개최된다. 이번 바이오파마테크콘서트에는 13가지 유망기술을 소개되며, 관련 연구자∙기업∙투자자간 파트너링을 통해 기술이전 및 사업화를 논의하는 자리가 이어진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과학기술사업화진흥원, 한국제약바이오협회, 바이오스펙테이터가 공동주관한다. 이번 행사는 각 기술별로 20분간 발표 후 개별 파트너링이 진행된다. 사전 접수와 파트너링 신청은 과학기술사업화진흥원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이 가능하다. 이번 행사는 노
큐리옥스바이오시스템즈(Curiox Biosystems)가 10일 코스닥시장 상장 첫날 33.31% 급등한 1만7330원으로 마감했다. 시가총액은 1388억원을 기록했다. 큐리옥스는 상장 첫날 공모가인 1만3000원을 시초가로 거래를 시작해 장중 한때 128.46% 오른 2만9700원까지 상승하기도 했다. 장 마감 기준 거래량은 2300만주를 넘어 상장주식수 801만주의 3배를 육박했다. 큐리옥스의 공모가는 지난달 수요예측을 거쳐 희망공모가 밴드 하단인 1만3000원으로 결정됐다. 당시 최종 수요예측 참여기관은 688개로 경쟁률은
디지털치료기기 연구개발 스타트업 에스알파테라퓨틱스(S alpha Therapeutics)가 소아근시 진행을 억제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SAT-001’의 국내 확증임상에 들어간다. 이로써 본격적으로 SAT-001의 효능을 검증하는 단계로 들어선다. 에스알파는 지난달 25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소프트웨어의료기기(Software as Medical Device, SaMD) ‘SAT-001’의 소아근시 진행억제를 평가하는 확증임상시험계획이 적합하다는 답변에 따라 사이트 개시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10일 밝혔다. SAT-001은 소아근시
SK바이오팜(SK Biopharmaceuticals)은 10일 올해 2분기 연결기준 매출이 전년동기 대비 44% 증가한 770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영업손실은 189억원을 기록했다. 회사에 따르면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제품명: 엑스코프리®/XCOPRI®)의 미국내 매출은 634억원으로 분기 기준으로 역대 최대폭(95억원)의 성장을 보였다. 전년동기 대비로는 57.5% 증가했다. 미국내 총 처방 수(TRx)도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지난 6월 월간 처방 수는 2만1841건으로 경쟁 신약의 출시 38개월차 평균 처방건수의
에이비엘바이오(ABL Bio)는 식품의약품안전처(MFDS)로부터 면역항암제로 개발하는 B7H4x4-1BB 이중항체 ‘ABL103’의 국내 1상 임상시험계획서(IND)를 승인받았다고 10일 밝혔다. B7H4는 키트루다를 포함한 PD-(L)1 면역관문억제제의 불응성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 활발히 개발되고 있는 면역관문 타깃이며, 고형암 환자에게서 PD-L1과 반대되는 발현 패턴(negative correlation)을 보이는 것이 주요 특징이다. B7H4(B7-H4)는 B7 패밀리에 속하는 억제성 면역관문 타깃으로 이중항체를 통해 이를
노보노, 새 CEO 취임 하루前 “비만에셋 2개 중단”
릴리 "기대주", '경구 GLP-1' 첫 비만 3상 "기대 이하"
베링거, 마침내 '경구' HER2 변이 폐암 "美가속승인"
와이바이오, 350억 CB발행 완료.."바이오VC 참여"
LG화학, '에스테틱사업' VIG에 "2000억 매각"
中밍후이, pre-IPO 1.31억弗..‘PD-1xVEGF’+ADC 임상
스트랜드, 시리즈B 1.5억弗..'IL-12 mRNA' LG 투자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비나이 프라사드, 사임 “10일만에” FDA 복귀
삼진제약, HR담당에 신승원 이사 영입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네오이뮨텍, 'NT-I7' 美1b상 후속 연구자임상 "승인"
씨젠, 2분기 매출 1141억 "전년比 14% 증가
제이피아이헬스, 공모가 2만원 확정 "밴드 상단"
큐로셀, 성인 ALL 대상 ‘안발셀’ 1/2상 "IND 변경신청"